• 제목/요약/키워드: 약용 식물

검색결과 1,149건 처리시간 0.028초

메꽃(Calystegia japonica) 잎 추출물의 함유성분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alystegia japonica Leaf Extracts)

  • 최복동;전호성;이양숙;주은영;김남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50-25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야생 식 약용식물들을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메꽃 잎의 물(WE)과 에탄올(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대한 xanthine oxidase 저해,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능 그리고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메꽃 잎의 세가지 추출물은 0.5 mg/mL에서 90% 이상의 xanthine oxidase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고농도에서는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BHA나 아스코르브산과 유사한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HWE 추출물이 1.0 mg/mL에서 18%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1.0 mg/mL의 pH 1.2에서 세가지 추출물 모두 약 65% 이상, pH 3.0의 조건에서는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WE가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0.1 mg/mL에서 EE가 84.80%로 가장 높았으며, 세가지 추출물 모두 저농도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자공여능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EE는 179.89 mg/g의 폴리페놀과 40.68 mg/g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이상의 결과 메꽃 잎은 우수한 생리활성과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므로 이를 이용한 식음료나 기능성 가공식품, 식품 보존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인 것으로 생각된다.

자화지정(Viola mandshurica)의 아미노산과 유용성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mino Acids and Effective Components from Viola mandshurica)

  • 이양숙;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99-705
    • /
    • 2008
  • 본 연구는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자화지정의 식품학적 가치와 식품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의 기원식물인 제비꽃과 한방재료로 유통, 판매되고 있는 중국산 자화지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화지정 꽃의 환원당과 유리당이 각각 10,485.11 mg%와 118.85 mg%로 가장 많았으며, 수용성 단백질과 폴리페놀의 함량도 각각 1,259.26 mg%와 2366.67 mg%로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중국산 잎에서 2,370.75 mg%이었으며, 잎은 1,844.43 mg%을 함유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잎(5,345.21 mg%) > 뿌리(4,692.24 mg%) > 꽃(3,807.87 mg%) > 중국산 잎 (3,613.81 mg%)의 순으로 특히 뿌리에는 arginine의 함량이 전체의 55 %이상 차지하였으며 모든 부위에서 val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arginine 등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유도체는 잎에서 9,058.80 mg%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alpha$-aminoadipic acid는 모든 부위에서 50% 이상을 함유하였으며 특히 잎에서는 아미노산 유도체(7,124.23 mg%) 중 약 80%를 차지하였다. 무기질 함량은 중국산 잎이 5,917.57 mg%로 가장 높았으며, 모든 부위에서 K, Ca와 Mg의 함량이 매우 높았으며, 특히 잎과 꽃의 95%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상의 결과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의 잎이 중국산 잎보다는 환원당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그리고 무기질의 함량은 낮았으나 수용성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하였으며,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의 뿌리와 꽃에서도 유용한 유용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므로 음료나 건강보조식품 등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는 한방약용자원인 것으로 사료된다.

1,2,3,4,6-Penta-O-gallolyl-β-ᴅ-glucose가 인간 유래 신경모세포주인 SK-N-SH세포의 인지기능 표지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2,3,4,6-penta-O-gallolyl-β-ᴅ-glucose on markers of cognitive function in human neuroblastoma SK-N-SH cell line)

  • 윤현석;박소연;김윤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15-721
    • /
    • 2021
  •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노인 인구 증가로 지난 10년간 치매환자수와 경도인지장애 환자수가 급증하였다. 치매는 예방이 중요한 만큼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소재 탐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PGG는 다양한 약용식물에 함유되어있는 gallotannins로 소교세포에서 항염증효과, amyloid beta 단백질 침착 억제효과, beta-secretase 억제효과가 알려져 있으나 인지 기능과 관련된 지표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GG가 신경모세포주인 SK-N-SH세포에서 인지기능과 관련된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관련 기전에 대해 평가하였다. 퇴행성질환 등에서 그 분비가 증가되는 AChE 효소활성이 PGG 처리에 의해 시험관실험과 세포실험에서 모두 억제되었다. 또한, PGG는 neurotrophin 중의 하나인 BDNF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증가하였다. 이러한 PGG의 BDNF 발현 증가에 대한 분자적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CAMKII-CREB 신호경로를 측정한 결과, PGG는 CAMKII를 인산화하였고, BDNF의 전사인자인 CREB를 활성화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hydrolyzed tannins의 하나인 PGG가 신경세포에서 CAMKII-CREB 경로를 활성화함으로써 BDNF의 발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AChE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8). 추가적으로 이러한 PGG의 효과가 인지기능이 저하된 동물모델 등에서도 효과가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료가 축적이 된다면 향후 PGG가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생물막 형성 억제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Diospyros malabarica Stem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 김혜수;이상우;콩마니 시다래;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0-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TLC, TLC-bioautography, HPLC, ESI-MS 등을 이용하여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로부터 S. mutans KCTC3065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항균물질을 분리하고 주사전자현미경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추출물이 S. mutans의 생물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 mutans에 대한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극성이 낮은 n-hexane 분획물에서 확인되었고 TLC, TLC-bioautography, HPLC에 의해 분리된 항균물질의 분자량은 ESI-MS분석 결과 188로 추정되었다.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1 mg/ml) 처리에 따른 S. mutans의 바이오필름 바이오매스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는 추출물 처리구에 비해 세포가 군집을 이루고 모여 있었으며 세포 주변에서 바이오필름이 관찰되었지만 추출물을 처리한 처리구의 세포 주변에서는 바이오필름을 관찰할 수 없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바이오필름 생성 과정에서 치면 부착에 필수적인 GTFs의 발현 양상을 조사한 결과, 인도감나무 추출물이 0.2-1.0 mg/ml의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gtfB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지만 gtfC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은 바이오필름 형성 단계에서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 mutans의 초기 치면 부착을 저해함으로서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엉겅퀴의 엽록체 TrnL-F와 Matk 영역 염기서열의 HRM 분석을 통한 특이적 SNP 분자마커의 개발 (Development of Specific SNP Molecular Marker from Thistle in the DNA Sequences of Chloroplast TrnL-F and Matk Region Using HRM Analysis)

  • 이신우;이수진;김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24-529
    • /
    • 2019
  • 엉겅퀴는 대표적인 다년생의 약용식물이다. 최근 국제적 추세에 따라 자국의 유전자원의 발굴, 보존 등이 강화 됨에 따라 인접국가와 국내 자생 엉겅퀴 계통을 판별 할 수 있는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분자생물학적 판별 기술의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토종과 해외 유래 엉겅퀴종의 기원을 판별하기 위해 엽록체에 존재하는 trnL-trnF와 MatK 유전자단편에서 SNP를 이용한 판별 프라이머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보완하여 보다 신속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HRM 분석 기술을 이용한 판별 마커와 그 조건을 확립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SNP 마커는 다양한 지역 또는 국가에서 서식하는 엉겅퀴 종들의 신속한 확인을 위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 섬유육종세포에서 비쑥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암전이 억제 효과 (Anti-invasive Effect of Artemisia scoparia Halophyte Extract and its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in Human Fibrosarcoma Cells)

  • 김준세;공창숙;심현보;서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00-1109
    • /
    • 2021
  • 염생식물인 비쑥은 식용이 가능한 약용식물로서 살충, 항염, 항콜레스테롤, 해열, 항균 활성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로 자극된 인간 섬유육종 HT-1080 세포에서 5가지 활성검색방법 즉 : gelatin zymography, MMPs ELISA, wound healing ass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비쑥의 조추출물과 그 용매 분획물의 MMP-2와 MMP-9 효소 활성에 대한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쑥 시료들을 메틸렌 클로라이드(MC)와 메탄올(MeOH)로 각각 2번 추출하여 합한 것을 조추출물로 사용하였으며 이 조추출물은 MMP-2와 MMP-9 효소활성에 대해 유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조추출물은 용매극성에 따라 다시 n-hexane, 85% aq.MeOH, n-butanol 및 물 분획층으로 분획되었으며 이렇게 얻어진 4개의 용매 분획물들중에 n-hexane과 85% aq.MeOH 분획이 gelatin zymography와 MMP ELISA assay에서 MMP-2와 MMP-9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wound healing assay, RT-PCR 및 Western blot assay에서 H2O 분획을 제외한 모든 용매 분획물들이 세포 이동, 그리고 MMP-2 및 MMP-9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중국 연변에 자생하는 약용 식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연구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Chinese Medicinal Plants in Yanjin o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 박예진;서종환;길태영;천세윤;박인철;이상우;차윤엽;안효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1-78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fulfilled to investigate nominee materials as anti-inflammatory agent from ethanol extract of Chinese medicinal plants in Yanjin. Among the 20 candidates, we selected most effective one, the ethanol extract of Cicuta virosa L. (CVL).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VL is not clearly identified as yet. Accordingly, we clarifi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VL and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Methods : RAW264.7 macrophages were incubated with CVL (12.5, 25, or $50{\mu}M$) and/or lipopolysaccharide (LPS) ($1{\mu}g/m{\ell}$). Cytotoxicity was determined using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and the level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measured with Griess reagent. The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was measured with enzyme immunoassay kits and the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was determin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Among the 20 ethanol extract of Chinese medicinal plants of Yanjin tested, CVL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duction of NO in a dose-dependent manner via inhibition the protein expressions of iNOS without cytotoxicity on th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In addition, CVL also effectively declined the production of $PGE_2$ in LPS-s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VL possesses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NO and $PGE_2$, and pro-inflammatory protein iNOS express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섬바디 부위별 추출물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An Evaluation of the Anti-thrombosi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Dystaenia takeshimana)

  • 강덕경;이윤진;김종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03-309
    • /
    • 2022
  • 섬바디(Dystaenia takesimana)는 대한민국 울릉도 등지에만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 식물의 하나로, 잎은 식용 및 사료로, 뿌리는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섬바디 뿌리의 항균, 항염증, 항산화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보고된 바 있으나, 섬바디의 항혈전 활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산 섬바디의 잎(DT-L), 줄기(DT-S) 및 뿌리(DT-R)를 구분하여 각각 70%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혈액응고 저해, 혈소판 응집저해, 항산화 활성 및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DT-L 추출물은 2.5 mg/ml 농도까지 혈액응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0.25 mg/ml 농도에서 aspirin과 비교할 만한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활성을 보였으며, 우수한 활성 라디컬 소거능(DPPH anion, ABTS cation 및 nitrite)과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DT-L 추출물은 적혈구 용혈활성도 나타나지 않아 신규의 항혈전제 소재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DT-S 추출물은 혈액응고 저해, 혈소판 응집저해 및 항산화 활성이 미약하였으며, DT-R 추출물은 트롬빈 저해 및 혈액응고인자 저해에 의한 혈액응고 저해활성이 우수한 반면 혈소판 응집 촉진활성도 강력하였으며 적혈구 용혈활성도 강력하여 항혈전 용도로 이용은 제한되었다. 본 연구는 섬바디의 항혈전 활성에 대한 최초 보고이며, 전 세계적으로 희귀한 섬바디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생물소재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성충의 예찰을 위한 최적 성유인제 조성 (Optimal Composition of Sex Attractant for Monitoring Adults of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idae) in Korea)

  • 정충렬;부경생;배순도;한경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77-83
    • /
    • 2022
  • 본 연구는 담배거세미나방 국내 개체군의 예찰에 필요한 성유인제의 최적 조성을 찾기 위해 수행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암컷 성충에서 알려진 두 성페로몬 성분인 (Z,E)-9,11-tetradecadienyl acetate, (Z,E)-9,12-tetradecadienyl acetate를 5.5 ~ 10.0 및 9:1 ~ 99.1, 9:1 ~ 39:1 비율 사이에 여러 조성으로 만들어 고무격막 방출제에 담아 펀넬트랩을 이용하여 콩과 땅콩포장에서 수컷 성충에 대한 유인력을 비교한 결과, 두 성분의 19:1 비율이 가장 적절한 유인 조성으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Z9E11-14:Ac 단독 성분 미끼에는 수컷 성충이 거의 유인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담배거세미나방 성충 예찰용의 성유인제 구성에는 두 성페로몬 화합물이 반드시 필요한 성분임을 나타낸다. 미끼에 담긴 성페로몬은 0.1 ~10 mg 사이에서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인된 수가 많았다. 적절한 트랩 설치 높이는 1.5 m로 결정하였다.

대황 추출물이 골수유래 대식세포의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hubarb extra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 In-A Cho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9-226
    • /
    • 2023
  • 연구목적: 이 연구는 대황 추출물이 골수 유래 대식세포(BMM)에서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파골 세포는 골 재흡수 및 재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파골 세포의 조절 장애는 다양한 골 관련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잠재적인 항염증 특성을 가진 약용 식물인 대황은 뼈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연구방법: 생후 5주령의 C57BL/6 마우스의 대퇴골과 경골에서 BMM을 분리하고 M-CSF(mous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존재하에 3일간 배양한 후 M-CSF와 파골 세포 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핵 인자-κB 리간드(RANKL)의 활성화제를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대황 추출물로 처리하면 BMM에서 파골 세포 분화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대황 추출물은 파골세포 형성에 필수적인 유전자인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및 CTSK(cathepsin K)의 mRNA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파골세포 분화에 중요한 전사 인자인 활성화된 T 세포 c1(NFATc1)의 핵 인자의 RANKL 유도 발현을 억제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황 추출물이 BMMs에서 파골 세포 형성에 억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대황 추출물은 비정상적인 파골 세포 활동과 관련된 뼈 관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유망한 치료제이다. 잠재적인 임상 적용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 연구와 탐색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