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애착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2초

애착 Q-set의 국내 준거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iterion Scores for the Attachment Q-set in Korea)

  • 이영;박경자;나유미
    • 아동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1-14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riterion scores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Attachment Q-set. It further examined distribution of security of attachment scores of Korean infants and differences in attachment scores by the cultural background. The criterion scores of attachment security were developed by 8 judges who are knowledgable in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They used the Q-set to describ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ideally secure infants of 12 and 36 months of age. Distribution of the attachment scores was analyzed with 191 infants, compiled from 4 studies including infant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attachment security criterion scores developed for Korean infants correlated highly with the Waters' criterion scores (1987) for American infants, .90 for 12 months and .88 for 36 months of age. Correlations between attachment scores developed for 12-and 36-month-olds was .89. The attachment security scores of the Korean version was a little higher and more negatively skewed than scores calculated using the American criter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curity of attachment scores by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infants, but not with employment status of the mothers. Infants of nonemployed middle class mot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ecurity of attachment scores than infants of nonemployed lower class mothers. Infants from lower class families had higher "difficulty" scores, and "enjoying physical contact" scores were higher among infants from the middle class.

  • PDF

학령 전이기 유아의 학교준비도 예측요인: 만 1세 영아기 애착안정성과 의도적 통제를 중심으로 (Predictors of Preschooler Readiness for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Attachment and Effortful Control at Age 1)

  • 문영경;장혜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7-174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o explore the effects of mother-child attachment and effortful control at age 1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at age 6, and seco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 child's effortful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attachment at age 1 in relation to school readiness at age 6.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5 five-year-old toddlers(106 boys, 99 girls) recruited for the Korea Child Panel Study. Mother-child attachment was assessed using the Attachment Q-sort(Waters, 1989).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was measured by the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 ECBQ(Putnam, Gartstein & Rothbart, 2006). Preschooler's school readness was measured by the School Readiness Scale Murphey & Burns, 2002).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First, mother-child attachment at age 1 effected school readiness at age 6. Effortful control at age 1 effected school readiness at age 6. Second, effortful control at age 1 mediated the effect of mother-child attachment at age 1 in relation to school readiness at age 6. Conclusion/Implications: Mother-child attachment at age 1 affects school readiness at age 6, and toddlers' effortful control at age 1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attachment in relation to school readiness at age 6.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방식, 또래애착, 교사관계,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parenting styl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ir peer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self-identity with career identity)

  • 노소영;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3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부모양육방식, 또래애착, 교사관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변인과 진로정체감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석에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IBM SPSS 22.0이었으며,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중1 패널 3차년도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 통계, Cronbach's α,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아정체감, 또래애착, 교사관계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부모양육방식은 진로정체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모양육방식과 자아정체감의 상호작용항은 정적 효과가, 교사관계와 자아정체감의 상호작용항은 부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진로 관련 프로그램 개발,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상담, 가정교과에서 진로 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면 진로정체감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아동양육시설 보육사 2교대 제도에 따른 시설 내 변화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hanges in Child Care Institutions Adopting Daily Two-shift Roster of Child Care Workers)

  • 권지성;김정득;상혜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115-14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사들의 2교대 제도가 실시되면서 시설 내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교대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아동양육시설의 관리자와 보육사, 아동들을 대상으로 보육사와 아동의 생활, 시설전체에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 심층면접 등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육사들은 재충전의 기회가 생기고 근무조건이 좋아졌으며, 자기개발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된 반면에 주인의식이 부족해졌다는 지적이 있었고, 아동의 경우에는 개별적인 돌봄이 가능해졌지만 애착관계 형성이 어려워졌으며, 혼란스러움이 있었고 파트너 보육사들간의 상호보완적인 양육이 가능해졌다. 시설 전체로 보면, 인적 자원이 양적, 질적으로 향상되었다는 점이 두드러졌다.

  • PDF

학업성취와 학교만족도의 종단적 상호 관계 : 빈곤 및 비빈곤 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Using Ful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by Poverty Status)

  • 박현선;이현주;정익중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3호
    • /
    • pp.183-206
    • /
    • 2011
  • 본 연구는 학업성취와 학교만족도간의 종단적 관계의 양상이 빈곤집단과 비빈곤 집단에서 어떻게 차이 나는지를 규명하고자 1차년에서 5차년까지의 서울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완전 기회귀교차지연분석(Ful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비빈곤 집단은 초등학교 4학년 학업성취수준이 초등학교 6학년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중학교 2학년 학업성취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 시기의 학업성취가 학교만족도 및 중등시기의 학업성취에 까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빈곤집단의 경우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학업성취는 중학교시기의 학업성취 및 학교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다만 초등학교 6학년 시기의 학교만족도가 중학교2학년 학업성취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시기에 학업성취가 좋았던 빈곤 아동들도 중등 과정에서는 그렇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비빈곤 아동과 빈곤아동에 대한 학업성취 지원을 위한 교육적 접근도 상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비빈곤 아동의 경우 직접적인 학업지원을 통해 학업적으로 낙오되는 아동들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학교만족도 증진 전략이 될 수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중등교육과정의 학업성취로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빈곤아동의 경우에는 직접적인 학습지원보다 우선적으로 학교와의 애착을 높여주는 프로그램이 병행 또는 선행되어 학교만족도를 높여주고, 학업성취에 대한 동기를 높여줌으로써 궁극적으로 중등교육과정의 학업성취 지원전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복지접근의 중요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를 이용한 중학생 삶의 만족도 분석 (The Life Satisfactio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 안지혜;윤유동;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197-20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마이닝의 회귀분석 기법과 의사결정 나무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YCPS) 중1패널 데이터 3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추출된 공통 영향요인은 자아 존중감, 우울, 전체 성적 만족도, 지역사회 인식, 진로 정체감, 연간 비행 피해 경험 유무, 형제자매 유무, 신뢰, 행동통제, 주의집중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는 개인의 정서문제, 자아인식, 또래 애착, 학습습관, 가정환경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예측하기 위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의사결정 나무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자아 존중감, 우울, 진로 정체감, 주의집중으로 나타났다.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 발달경로 (Developmental Pathways from Child Abuse to Delinquency)

  • 정익중;박현선;구인회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3호
    • /
    • pp.223-244
    • /
    • 2006
  • 학대의 영향은 피학대아동의 당시 개인적 피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후 그 피해자가 자식이나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비행에 빠져서 가해자로 재등장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피학대아동이 직접적인 1차 피해를 넘어서 비행의 가해자로 등장하게 되는 발달경로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경로를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서울아동패널'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 아동학대는 직접적으로 비행과 연결되기보다는 자아존중감의 저하라는 경로와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 및 학교애착심의 감소라는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 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정된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학대 유형에 따른 비행화 경로에서의 차이는 없고,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 모두 간접적으로 비행과 연결된다는 사실을 실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따른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 PDF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층모형 분석-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Factors, and Community Factors on Adolescents School Violence Behavior -A multilevel analysis-)

  • 이지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5호
    • /
    • pp.143-171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청소년 개인요인, 학교요인, 지역요인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2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였고, HLM 7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50개 중학교의 총 1,777부 학생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2수준 다층모형 분석결과,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 개인요인으로는 폭력에 대한 태도, 부모 애착, 아동학대 경험, 비행친구접촉으로 나타났고, 학교요인으로는 교사의 폭력적 훈육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 요인으로 주목한 지역무질서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폭력 원인의 이해와 그에 따른 대책마련을 위해서는 청소년 개인, 가정, 학교 외에도 지역사회 등 청소년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환경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정책 및 실천 방안이 논의되었다.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역할 자신감에 대한 영향요인 비교 (Comparative Study on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 정성석;정경화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181-189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mot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145 mothers between 2 and 5 days postpartum.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X^2$ 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among primipara mothers were social support, self-esteem, mode of delivery ($R^2$=.287, p<.001). Whereas, gender of baby, antenatal fetal attachment, and educational status explained maternal confidence among multipara mothers ($R^2$=.270, p<.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when nurses develop programs to encourage maternal confidence for new mothers, they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between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according to the mothers' experience of birth.

다문화가족과 한국인 부모 아동의 모애착,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 우울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Mother's Attachment, Self-concept, Daily Stress, Depress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and Typical Korean Families)

  • 남윤주;이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7-367
    • /
    • 2009
  • This research examin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uch as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mothers, self-concept, daily stress, and depression, in both multicultural and typical Korean families.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3rd to 6th grade were surveyed in Chunnam province. 158 case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181 cases of typical Korean families were analyzed by the methods of Cronbach's a coefficient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program.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less attachment to their mothers and self respect than those from typical Korean families. Regarding daily stres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ighly recognize the economic and physical environments, whereas children from typical Korean families highly recognize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highly prone to depression compared to the children from typical Korean famil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