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Using Ful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by Poverty Status

학업성취와 학교만족도의 종단적 상호 관계 : 빈곤 및 비빈곤 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 Park, Hyun-Sun (Graduate School of Policy Science, Sejong University) ;
  • Lee, Hyun-Joo (Dept of Social Welfare, Sungkyunkwan University) ;
  • Chung, Ick-Joong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박현선 (세종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
  • 이현주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정익중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1.05.08
  • Accepted : 2011.06.1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using a data of the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SPSC). Ful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analysis and multi-group comparison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wo constructs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were stable over time in non-poverty group. Academic achievement at the 4th grade significantly affected the school satisfaction at the 6th grade and it subsequently affect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8th grade in non-poverty group. In contrast,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consistent over time in poverty group. Only the school satisfaction at the 6th grade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8th gra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various practical implication for school interventions. It is more important to keep supporting the children to maintai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non-poverty group. While, in poverty group, it is essential to make school satisfaction and academic motivation increase with school attachment programs.

본 연구는 학업성취와 학교만족도간의 종단적 관계의 양상이 빈곤집단과 비빈곤 집단에서 어떻게 차이 나는지를 규명하고자 1차년에서 5차년까지의 서울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완전 기회귀교차지연분석(Ful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비빈곤 집단은 초등학교 4학년 학업성취수준이 초등학교 6학년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중학교 2학년 학업성취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 시기의 학업성취가 학교만족도 및 중등시기의 학업성취에 까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빈곤집단의 경우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학업성취는 중학교시기의 학업성취 및 학교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다만 초등학교 6학년 시기의 학교만족도가 중학교2학년 학업성취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시기에 학업성취가 좋았던 빈곤 아동들도 중등 과정에서는 그렇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비빈곤 아동과 빈곤아동에 대한 학업성취 지원을 위한 교육적 접근도 상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비빈곤 아동의 경우 직접적인 학업지원을 통해 학업적으로 낙오되는 아동들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학교만족도 증진 전략이 될 수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중등교육과정의 학업성취로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빈곤아동의 경우에는 직접적인 학습지원보다 우선적으로 학교와의 애착을 높여주는 프로그램이 병행 또는 선행되어 학교만족도를 높여주고, 학업성취에 대한 동기를 높여줌으로써 궁극적으로 중등교육과정의 학업성취 지원전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복지접근의 중요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08-005-J01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