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Factors, and Community Factors on Adolescents School Violence Behavior -A multilevel analysis-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층모형 분석-

  • Lee, Ji Hyeon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 이지현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사회복지전공)
  • Received : 2016.07.10
  • Accepted : 2016.09.08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factors, and community factors on adolescent school violence behaviors. Data from a total of 1,777 middle school students from 50 school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were used for analysis. A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ing was employed to conduct a two-leve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attitudes toward violence, parental attachment, child abuse experiences, and affiliation with delinquent peers, as well as school factors including teacher's abusive classroom discipline, affected adolescent school violence behaviors. In addition, neighborhood disord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olescents' school viol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r an understanding of school violence and to prepare countermeasures accordingly, integrated consideration of various environmental contexts in adolescents' daily lives, such as family, school, and community environments, is necessary. A multidimensional, integrated intervention plan to effectively resolve school viole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s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청소년 개인요인, 학교요인, 지역요인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2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였고, HLM 7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50개 중학교의 총 1,777부 학생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2수준 다층모형 분석결과,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 개인요인으로는 폭력에 대한 태도, 부모 애착, 아동학대 경험, 비행친구접촉으로 나타났고, 학교요인으로는 교사의 폭력적 훈육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 요인으로 주목한 지역무질서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폭력 원인의 이해와 그에 따른 대책마련을 위해서는 청소년 개인, 가정, 학교 외에도 지역사회 등 청소년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환경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정책 및 실천 방안이 논의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장로회신학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