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무실습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3초

문헌정보학 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이 실무기술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eld Practice on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Skills of College Stud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은주;윤유라;신영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227-234
    • /
    • 2024
  • 본 연구는 도서관 현장실습이 학생들의 실무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현장실습 프로그램이 적절하게 설계 및 운영되었는지를 확인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정보학의 6개 전공영역과 30개의 세부실무기술을 도출하고, D대학교 문헌정보학과 4학년 학생 19명을 대상으로 현장실습전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세부 실무기술 중 9개에 대한 중요도와 15개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으며, 실제 현장실습에서 다뤄진 실무기술에 대한 항목은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장에서 다뤄지지 않은 실무기술에 대해서는 수준 향상 뿐 아니라 중요성 대한 인식조차 기존의 생각이 유지되거나 부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에 향후 학생들이 실습에서 함양해야 할 기술이 무엇인지 세부항목별로 제안하고, 현장에서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습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등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선택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vanced Clinical Practicum on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

  • 김지수;김영숙;김혜순;조현숙;이은자;이여진;김윤미;박광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1-382
    • /
    • 2011
  • 본 연구는 4주간의 종합선택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 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4주간의 종합선택실습을 이수한 4학년 간호 대학생 128을 대상으로 하였고 임상실무수행능력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실무능력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종합선택실습 전의 임상실무능력이 70.4점에서 실습 후에는 124.8점으로 증가(p<.001)되었고 직접간호활동과 간접간호활동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실습 후의 임상실무수행능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상위 성적 30% 학생의 종합선택실습 후의 임상실무수행능력이 중간 40%의 학생에 비해 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47).

  • PDF

현장실습 전 현장적응교육이 치위생과 재학생의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daptation Education 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Practical Skill of Dental Hygiene Students before Field Practice)

  • 김명은;김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20-62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첫 현장실습을 시작하는 치위생과 재학생들에게 현장적응교육을 수행한 후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치위생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15시간 동안 현장적응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행자신감을 조사하였고 교육 후 간접 및 직접 실기 평가를 통해 실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현장실습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교육 전후비교는 paired t-test, 현장적응교육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현장실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교육 수행 후 재학생의 수행자신감, 간접실무능력 및 직접실무능력은 교육 전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수행자신감, 간접/직접실무능력, 교육만족도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연관성 분석 결과, 교육만족도가 현장실습만족도 중 '교육내용', '현장실습에 도움' 영역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에 따라 현장적응교육은 첫 현장실습의 적응력을 높이고 현장실습 만족도를 높이므로 향후 다양한 적응 교육을 개발하여 운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영상제작을 바탕으로 한 실무 중심의 교육의 환경과 그 효과에 따른 실무 중심의 효율적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Discharge Based on Practice Based on The Environment and Effect of Practical Education Based on Video Production)

  • 진승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35-143
    • /
    • 2019
  • 본 연구는 영화 현장에 실습 중심의 대학 교육의 현황과 그에 대한 환경을 분석하고 수요자인 학생의 만족도를 상황 분석 차원에 조사 분석한 후, 새로운 또는 개선된 실무 중심 실습 교육의 효과적 발전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최근 학령인구의 급격히 감소하는 교육 상황에서 주입식 교육의 새로운 돌파구의 일환으로 예술 교육의 도입, 현장 자율 학습, 실무 중심의 실험실습 등의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트렌드에 비해 실무 교육과 창의적인 교육의 프로그램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 논문은 영화 영상 제작에서 나타는 제작 실습을 중심으로 수요자인 학생들의 만족 패턴과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연구하여 패러다임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패러다임 구축을 통하여 교육의 효과적인 발전 방안을 분석, 연구, 돌출하고 그 방안을 토대로 영상 제작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내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교 4학년의 현장실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 적용- (The Impact of Simulation Education within Schools on the Clinical Practice Ability of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 a Nursing College: Applying Community Nursing)

  • 김진;차남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543-550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 후 임상에서의 현장실습 능력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은 2022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간호학과 4학년 10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연구 설계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도구는 비판적 사고, 자기효능감, 실무능력, 임상실습 만족도이었고 통계 분석은 SPSS 27.0 버전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무능력은 임상실습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실무능력은 비판적 사고와 자기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실무능력에의 영향요인은 임상실습 만족도(β=.85, p<.001)와 자기효능감이었고(β=.25, p<.05) 설명력은 57.0%(F=13.25, p<.001)이었다.

변전운영분야 실무능력 강화를 위한 교육시스템 구축 (The plans of education system of power substation operation division for enhancement of practical abilities)

  • 정규원;김동철;김기일;김병헌;이봉희;박순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351-35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변전운영분야 실무능력 강화를 위한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법을 도출하였다. 변전운영분야의 전문기술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로드맵을 수립하였고, 변전운영분야 근무직원의 고장대처능력강화를 위해 실설비와 연동되는 모의고장시뮬레이터가 구비된 옥내.옥외 변전종합실습장을 구축하였다. 실습장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변전실습강사를 양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교육과정의 실습비율을 60%이상으로 확대하는 등 실무위주의 교육개편 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IEC-61850기반의 변전소자동화 기술 확보를 위한 전문기술교육체계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특화된 전문기술 취득을 위한 과정 개발 등 교육수요자의 요구사항이 반영되는 교육시스템을 제시하였다.

  • PDF

Base camp를 이용한 현장실습 활성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ield placement Activation using Base camp)

  • 이상찬;김종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99-104
    • /
    • 2014
  • 현재 대학에서 수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산학협력 교육은 현장에서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현장실습이다. 현장실습의 목적은 전문성을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취업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며 이론과 실무를 연계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장실습은 학생들의 실무능력을 증대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지만 현장실습 업체와 참여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차이가 많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현장에서의 실습 수행이 어려워 단순작업에 학생들을 투입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장실습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본래의 현장실습의 취지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Base camp를 이용하여 현장실습의 대한 실습능력을 강화시키고 현장실습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무 및 위기대응훈련 강화를 위한 변전종합실습장 구축 (Establishment of the power substation training center for intensifying executive ability)

  • 정규원;김도원;이은혜;김재군;여근택;이봉희;박순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349-35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송변전고장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근원적 고장예방대책으로 실질적인 위기대응훈련과 변전설비운영분야 근무 직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실설비와 연계된 옥내.외 변전소 형태의 변전종합실습장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앙교육원내 정진관을 개보수하여 실변전설비를 활용한 설비점검, 모의고장훈련, 계통시뮬레이터 실습 및 주요 변전설비 전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변전종합실습장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하여 변전분야 전 교육과정에 실습장을 활용한 실습교육을 도입하여 변전설비운영분야 근무자의 실무능력배양을 위한 변전분야 종합 교육센터로 전환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PDF

교육실습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환류분석: T교육대학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Feedback on Field Experiences: Focusing on the Case of T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영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29-239
    • /
    • 2018
  • 본 논문은 교육대학에서 실시하는 교육실습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참관실습, 학습지도실습, 실무실습, 수업실습과 관련하여 만족도, 실습시기와 기간의 적절성, 실습을 통해 얻어지는 교육적 이점, 효과적 운영을 위한 개선점 등의 실태를 예비교사들의 환류를 토대로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지방에 소재하는 한 교육대학에서 위 다섯 가지 형태의 교육실습을 모두 이행한 4학년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5개의 5point Likert scale 문항과 15개의 개방형문항 등 총 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총 353명에게 배부되었고, 이중 92.35%인 326명이 응답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만족도, 시기와 기간의 적절성, 실습의 이점과 개선점 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반응은 각 실습형태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NCS 학습모듈 만족도 분석을 통한 건설 교과 실무과목 수업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onstruction Practical Cours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Level in NCS Learning Module)

  • 이재훈;김선우;박완신;장영일;김태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3-83
    • /
    • 2020
  • 본 연구는 NCS 학습모듈을 효과적으로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건설 교과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되는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학습모듈, 진로 및 현장실습, 실습환경 등에 대해 충청권(대전광역시 포함) 소재 공립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 후 교사의 진로 및 현장실습 지도 측면, 학생의 진로결정 및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개발된 NCS 학습모듈 및 이를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NCS 관련 교사의 연수횟수(유무) 또는 학생의 현장실습 유무가 영향이 있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학생은 전반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만족하는 편을 보인 반면, 교사는 '내용수준', '흥미', '필요지식', '기술습득(기술수행수준)', '실무능력향상(기술수행수준)', '실험실습장규모', '실험실습장기자재' 항목 등에서 불만족하는 편을 보였다. 개발된 NCS 학습모듈 및 이를 활용한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NCS 관련 교사의 연수횟수(유무) 또는 학생의 현장실습 유무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발된 NCS 학습모듈이 실무과목 수업에 충분히 활용되기 위해서는 개념정리 및 직무기술 이해에 관한 중간 매개 역할을 해줄 수 있는 교사의 수업자료의 개발 및 구축이 요구되며, NCS 학습모듈의 개발인력 구성에서 교육훈련전문가의 수를 늘려 교육현장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