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ffective Discharge Based on Practice Based on The Environment and Effect of Practical Education Based on Video Production

영상제작을 바탕으로 한 실무 중심의 교육의 환경과 그 효과에 따른 실무 중심의 효율적 발전 방안 연구

  • 진승현 (호서대학교 문화예술학부 영상미디어전공)
  • Received : 2019.09.17
  • Accepted : 2019.10.28
  • Published : 2019.10.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education centered on the practice in the film field and suggests the effective development plan for the new or improved practice. Recently, as a new breakthrough in infant education in the rapidly declining educational environment, the introduction of arts education, on-site self-study, and practice-centered laboratory exercises are increasing students' satisfaction. However, compared to trend, our practical education and creative education programs are lacking in reality. In this study, we analyze and study the effective development method of education through researching the satisfaction pattern and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students who are the center of the production practice shown in the movie image production, and building the paradigm, I would like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production education.

본 연구는 영화 현장에 실습 중심의 대학 교육의 현황과 그에 대한 환경을 분석하고 수요자인 학생의 만족도를 상황 분석 차원에 조사 분석한 후, 새로운 또는 개선된 실무 중심 실습 교육의 효과적 발전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최근 학령인구의 급격히 감소하는 교육 상황에서 주입식 교육의 새로운 돌파구의 일환으로 예술 교육의 도입, 현장 자율 학습, 실무 중심의 실험실습 등의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트렌드에 비해 실무 교육과 창의적인 교육의 프로그램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 논문은 영화 영상 제작에서 나타는 제작 실습을 중심으로 수요자인 학생들의 만족 패턴과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연구하여 패러다임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패러다임 구축을 통하여 교육의 효과적인 발전 방안을 분석, 연구, 돌출하고 그 방안을 토대로 영상 제작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도 호서대학교의 재원으로 학술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180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