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7초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커피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ood-Related Lifestyle on Coffee Consumption Behavior)

  • 오염곤;김광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65-75
    • /
    • 2012
  • 외식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커피 시장도 빠른 시간 내에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국내 커피 시장은 계속해서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커피 산업 내의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시장에서 경쟁우위확보를 위해서는 커피를 소비하는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커피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총 5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요인에 특성에 따라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 외식추구 라이프스타일, 맛 추구 라이프스타일, 계획구매 라이프스타일, 편리성추구 라이프스타일로 나타났다. 또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중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 외식추구 라이프스타일, 맛추구 라이프스타일이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의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프스타일은 건강추구 라이프스타일, 외식추구 라이프스타일, 맛추구 라이프스타일, 편리성추구 라이프스타일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이 한식소비와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Food-Related Lifestyle on the Consum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s, and Intention to Revisit)

  • 김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70-380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여 한식소비행동에 있어서 인구통계적인 특성비교와 한식에 대한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건강추구, 편의성, 안전성, 경제성, 맛추구요인 등 다섯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성별, 거주지역, 연령, 직업, 학력, 소득 등 인구통계적 특성과 한식소비행동특성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0대 연령층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편의성과 맛추구성향이 높으며, 40대 이상 연령층은 경제성과 맛을 동시에 추구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안전성추구성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건강과 맛추구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현지 소비자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세분화에 따른 식행동 연구 (A Study on Dietary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Segmented by Dietary Lifestyle)

  • 오지은;윤혜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83-393
    • /
    • 2017
  •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의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구분함으로써 중국소비자들의 식행동의 차별성을 소비자 집단에 따라 세분화 하여 분석하고, 향후 타겟 소비자의 식품과 음식에 대한 속성과 특성 요구를 수용하는 상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음식의 맛과 질을 중요시여기는 미식요인(Gourmet factor), 건강요인(Healthy factor), 편의요인(Convenience factor), 경제요인(Economic factor) 등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점수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4개 그룹은 차별화된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룹 1 미식경제군은 20대의 젊은이들의 구성비율이 높고 자취의 비율이 높으며, 외식횟수가 높으며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들은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미식요인과 경제적 요인에 민감한 반면 건강요인과 편의요인에의 민감도가 낮았으며, 식행동에서도 규칙적이며 균형잡힌 식생활에 대한 실천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음식과 식품에 대하여 품질에 있어서 맛을 추구하지만 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식생활의 실천은 낮은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룹 2 두루관심군은 30대 구성 비율이 높았고 고학력층과 고소득층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 전반에 대한 추구성향이 타 그룹들에 비해 높아, 다양하고 새로운 음식, 외식과 삶에 대한 즐거움을 즐기는 미식을 추구하고, 건강과 관련되는 웰빙 식재료와 식품에 대한 추구도 높았다. 그러나 경제적인 요인인 쿠폰 활용, 가성비 등을 따지고 상대적으로 편의 식품을 적게 소비하며, 식행동 및 식습관에서도 다른 그룹보다 규칙적이며, 특히 유제품과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높고, 균형 잡힌 건강식을 섭취하는 식생활 고관심의 스마트 컨슈머의 성향을 보인다. 그룹 3 건강경제군은 40대 이상의 남성비율과 주부의 구성 비율이 높으며 소득수준이 다른 그룹에 비해 낮은, 가족형의 소비자군을 구성한다. 즉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서도 건강식품, 자연식재료 등에 건강성을 추구하고 식품구매에 있어서 경제적인 가성비를 추구하는 성향을 보이나 식행동 및 식습관 분석 결과 가공식품의 섭취가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그룹 4는 30대 이상,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대학 이상의 교육수준도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 이들은 가격과 편의성보다는 건강과 맛을 추구하는 그룹으로 중국의 중년여성들의 로하스 지향성이 가장 많이 나타나며,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직접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인의 식생활은 최근 10년 사이 전통적인 농수산물의 소비에서 간편식이나, 서구식 식사 등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도시거주민 등을 중심으로 웰빙과 건강, 식생활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미식과 웰빙, 가성비와 간편식 등을 추구하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유럽 등에서도 보편적인 식행동 등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중국인들은 높아진 소득과 더불어 건강과 미식 등을 지향하는 다양한 식생활 행동패턴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유형별 집단으로 구별되며 차별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이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식행동 및 식습관은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즉 소비자들이 유지하는 식생활은 그들이 유지하는 식생활에 대한 태도, 행동, 의견에 따라 차별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식생활관련 라이프스타일은 소비자들의 삶의 가치와 의식이 반영되는 것이며, 그들만의 고유한 특성이 식생활에 반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사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집단은 세분화된 소비자 집단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세분화된 집단별로 구매행동의 차이를 보이거나, 선호하는 상품의 유형과 특성에 차이를 보이며,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라서도 구분되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식품이나 음식 상품의 개발에서 식품과 식생활에 관련된 미식적, 건강적, 편의적, 경제적인 요소가 주요한 차별점이 될 수 있으며, 중국인들은 과거와 다르게 식품의 건강성과 미식성 등을 고려하고 있고,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과 인구학적인 특성, 식행동 등으로 세분화된 타겟 소비자들의 수용성과 욕구를 고려한 본 연구의 결과가 상품개발 마케팅 활동자료로써 의미 있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국의 지역적인 분류를 고려하지 않은 온라인을 활용하는 소비자들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어 조사대상자에 대한 연구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중국의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민족적 특성을 반영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주지역 대학생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식행동 연구 (Research on the Dining-out Behavior of Cheong-Ju Undergraduates by Food-related Lifestyle)

  • 손일락;김연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347-355
    • /
    • 2008
  • 본 연구는 청주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213부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청주지역 대학생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요인분석 한다. 둘째,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에 따라 대학생들의 집단을 분류한다. 셋째,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분류된 집단의 외식행동을 연구한다. 연구 결과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레스토랑에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청주지역 대학생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의 요인분석결과 "유행 추구형", "건강 추구형", "안전 추구형", "장식 추구형", "미각 추구형" 그리고 "웰빙 추구형" 의 6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군집분석 결과는 안전 추구형 집단, 소극적 식생활 집단, 식생활 고관심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COVID-19 불안감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드론 음식배달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태도 (The Influence of the COVID-19 Anxiety and Dietary Lifestyles on the Drone Food Delivery Service Attitude)

  • 조군위;박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175-184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불안감이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드론 음식배달 서비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356명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연구결과는 첫째, COVID-19 불안감은 건강 지향형, 안전 지향형, 편의 지향형 라이프스타일과 정(+)의 관계가 있었다. 둘째, 건강 지향형, 유행 지향형, 편의 지향형의 경우 드론 음식배달 서비스의 안정성, 신속성, 부합성 인식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각 지향형 라이프스타일은 서비스 안정성 인식, 안전 지향형 라이프스타일은 안정성 및 신속성 인식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의 인식된 안정성, 신속성, 부합성은 서비스 이용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COVID-19 불안감이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연관되어 드론 음식 배달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부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된장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on the Effect of Dietary Lifestyle on Consumption Pattern of Soybean Paste among Housewives)

  • 김효정;김미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76-9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류 소비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미래 장류 산업 발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주부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살펴보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된장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추구형, 편의추구형, 안전추구형, 유행추구형, 미각추구형으로 분류되었다. 된장 제조 방법에 대한 인지도를 살펴보면 '확실히 알고 있다' 34.6%, '대략의 과정을 알고 있다' 28.4%, '약간만 알고 있다' 17.9%, 그리고 '모른다' 19.1%이었고, 건강추구형 라이프스타일, 편의추구형 라이프스타일, 안전추구형 라이프스타일, 유행추구형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된장 제조 방법에 대한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된장 조달 방법을 살펴보면 '시댁, 친정 등 가족, 친척으로부터 받는다'가 37.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시중에서 사 먹는다' 36.7%, '집에서 직접 담근다' 26.3% 순이었으며, 건강추구형 라이프스타일, 편의추구형 라이프스타일, 유행추구형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된장 조달 방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된장 조달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에서 된장을 담근다'라고 응답한 경우 '시중에서 사 먹는다'라고 응답한 경우에 비해 연령, 취업 여부, (시)부모 또는 기타 어르신과의 동거 여부, 주거 형태 및 편의추구형, 안전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시중에서 사 먹는다'라고 응답한 집단에 비해 '시댁, 친정 등 가족, 친척으로부터 받는다'라고 응답한 경우에는 연령, 월가계 소득, 건강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광주광역시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운영방안의 융합적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the Operation Plan according to the Diet Life Styl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김성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53-461
    • /
    • 2019
  • 본 연구는 식생활 증진을 목적으로 광주광역시 거주 230명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정식사대용식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한 후 연구가설 검증은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도구의 적합도는 높게 검증되었고 평균분산추출량은 0.5이상으로 집중타당성을 갖으며 유의수준 p<.001수준에서 모두 유의하다는 라이프스타일, 선택속성, 제품만족의 관계를 알아보는 성과는 있었지만 일부 대상만을 연구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향후 인원 및 지역의 확대 연구가 된다면 국민 식생활증진에 보탬이 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식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관한 영향 연구 - 소비문화를 조절변수로 - (A Study on Consumer Eating out Purchases in Accordance with the Food Lifestyl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 Culture -)

  • 양동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3-24
    • /
    • 2016
  • 본 연구는 2016년 2월 1일 4주간의 조사기간을 두어 실시하였고, 자료 수집은 수도권에 위치한 레스토랑 및 일반음식점 방문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를 보면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외식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건강은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었으나 미각과 편리는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식소비자가 소비문화의 조절효과는 1단계에서는 결정계수는 0.649, F=18.244(p<0.01)로 모형은 유의적으로 나왔다. 또한, 조절변수인 '소비문화'가 추가된 2단계 모형에서는 '소비문화'의 추가로 인한 설명력의 증가는 65.1%이고, 이에 대한 F=142.119(p<0.01)로 '소비문화' 추가는 유의적으로 나왔다.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상호작용항이 추가로 들어간 3단계에서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소비문화'의 추가적인 투입으로 인한 설명력의 증가는 65.9%이고, 이에 대한 F=84.469(p<0.01)로 조절효과는 유의적으로 나왔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소비문화의 개별적인 조절효과를 보면 건강지향성과 편리지향성은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었으나, 미각 지향성은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이 있었다.

A Study on Consumer Confidenc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n Convenience Store Lunch Boxes by Food-related Lifestyle Type

  • Bok, Mi-Jung;Hong, Eun-Si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57-164
    • /
    • 2022
  • 본 연구는 편의점 도시락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488명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 한 후 소비자신뢰,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k-평균 군집분석, 교차분석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외식추구형(11.7%)', '편의추구형(18.3%)', '음식무관심형(15%)', '식생활관심형(55%)' 등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월평균 가계소득, 월평균 용돈, 직업, 월평균 편의점 도시락 구입횟수, 도시락 구입 시간대 및 1회 평균 도시락 구입비용 등의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신뢰에서는 편의추구형과 식생활관심형이,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서는 식생활관심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국인 외국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시장별 한식 편의식품 상품화 의견 (Opinion of Commercialization of Ready-to-Eat Korean Foods by Food-Related Lifestyle Segments in Koreans and Non-Koreans)

  • 이나영;최보람;장혜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02-612
    • /
    • 2016
  • 본 연구는 한식 상품화를 위한 내 외국인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기초로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시장의 특성과 한식 즉석편의식품 개발 대상을 규명하였다. 2009년 6월부터 9월에 걸쳐 국내외 거주 또는 방문 내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식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478명(한국인 266명, 외국인 212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 17개 항목은 요인분석에 의해 맛추구, 건강추구, 편의추구, 경제추구의 4요인으로 분류한 후 조사대상자의 유형을 군집 분석하였다. 내국인의 세분시장은 건강추구형, 무관심형, 합리추구형, 가격민감형으로 분류되었고, 외국인은 맛추구형, 합리추구형, 무관심형, 편의추구형으로 세분화되었다. 각 세분시장별로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서로 차이가 있었고 한식 인지도와 기호도에 차이가 있었다. 내국인과 외국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세분시장별로 상품화 시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평가한 결과 내국인 중 건강추구형, 가격민감형은 비빔밥을, 외국인 중 맛추구형은 불고기를, 합리추구형과 무관심형은 비빔밥을 상품화가 필요한 제품이라고 응답하였다. 상품화 시 구매하고 싶은 음식은 내국인 중 건강추구형은 잡채, 무관심형은 비빔밥을 꼽았고, 외국인 중 맛추구형은 불고기, 합리추구형과 편의추구형은 잡채, 무관심형은 비빔밥을 선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국내외 한국인과 외국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여 특정 세분시장별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으로 상품 출시 및 홍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식 즉석편의식품 상품화 시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별 시장성이 예상되는 상품들의 전략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