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장세분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1초

생태체험마을 방문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Segmenting Ecotourism Village Visitors by Motivation)

  • 김경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3호
    • /
    • pp.25-52
    • /
    • 2014
  • 본 연구는 생태체험마을 방문객을 방문 동기에 따라 시장세분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6개의 생태체험마을에 방문한 20세 이상의 방문객 25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생태체험마을 방문 동기는 휴식, 모험, 자연체험, 가족여행으로 나타났으며, 군집분석 결과 다목적추구형(45.3%), 휴식추구형(34.6%), 가족체험추구형(20.1%)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는 연령, 월소득, 직업, 학력, 결혼여부에서 군집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광행동 특성별로는 거주지와 정보획득경로, 지출비용, 동반자에서 군집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체험추구형의 경우 40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생태체험마을 방문객의 세분시장별 특성을 바탕으로한 운영과 마케팅 전략으로 생태체험마을 방문객의 만족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일 양국 신세대의 소비문화에 관한 비교연구 :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 및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umption Cultures betwee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New Generations : laying emphasis upon their lifestyle characteristics & leisures)

  • 최석신;가타가미 히로시;이광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4권4호
    • /
    • pp.75-96
    • /
    • 2002
  • 본 연구는 같은 동양문화권에 속하면서도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른 한국과 일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 특성과 여가시간 활용을 비교 분석하므로써 양국대학생들의 소 비문화를 추론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새로운 세대로 지칭되는 대학생들은 이미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세분시장으로서 마케터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지만, 국가간 시장을 세분화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과연 효과적인가를 탐색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라이프스타일은 AIO 분석에 근거하여 의생활분야, 구매 및 쇼핑분야, 가치관분야, 정보추구분야, 인터넷 광고분야 등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영역별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두 2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양국 대학생 집단은 모두 18개 부문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5개 부문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여가 및 시간활용에서는 양국 대학생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많았으며, 인구 통계적 요인이 국적과 상호작용을 통해 여가활동에 서로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문화적 환경이 다른 소비자 집단의 특성을 이해하고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시간 활용에 따라 차별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국제적인 마케팅전략수립을 위해 효과적인 시장세분화 기준을 제공하고 소비패턴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시니어 소비자의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 형성 요인 연구 (The Determinants of Digital Trust of Senior Consumer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 전미나;김미예;한정수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91-112
    • /
    • 2022
  • 시니어 세대의 디지털 포용이라는 관점에서 이들의 디지털 소비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디지털 소비여건에 대한 신뢰 관리가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디지털 환경에 대한 소비 연구는 온라인 소비를 주도해가는 주 소비자 계층인 밀레니얼 세대나 Z세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시니어 소비자가 인식하는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선행변수들간의 작용이 디지털 신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니어의 시장세분화를 실시하였다. 또한 세분시장별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소비자원에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그 중 60대 이상의 소비자 17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니어 세대의 디지털 소비신뢰에 영향을 끼치는 선행요인으로는 소비자 역량, 기업책임인식, 소비자 문제해결 창구 인식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시니어 소비자의 시장세분화를 실시한 결과 기업 책임신뢰 부정 집단, 소비자 역량 부정 집단, 문제해결 인식 부정 집단, 긍정인식 집단의 4개 세분시장으로 분류되었다. 각 세분시장별로 인식하는 디지털 신뢰를 분석한 결과 긍정인식 집단이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시니어 소비자는 자신의 소비 역량과 기업 책임에 대한 인식, 그리고 지역 사회의 문제해결 창구에 대한 인식이 모두 높을 때 디지털 소비여건에 대한 신뢰를 높게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대는 온라인 소비나 디지털 소비 여건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다른 수준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세대를 구분하여 시니어 소비자 계층의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살펴본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의가 있다. 또한 시니어 세대가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소비여건이 마련되기 위해서는 소비자, 기업, 지역 공공기관 모두의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되도록 관리되어야 함을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GAP 인증 수삼의 표적시장 연구 (Studies on Target Market of GAP Certified Raw-Ginseng)

  • 김관후;이가순;이두희;홍승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84-691
    • /
    • 2011
  • GAP 인증제도 도입초기의 시기적 필요성을 반영하여 GAP 인증 수삼이 어떤 소비자를 대상으로 어떠한 방향의 마케팅전략을 수행해야하는지에 대한 방향성 제시를 위해 수삼 선택속성별 부분가치를 산출하였으며 GAP 인증 수삼의 시장예상점유율 시뮬레이션, 시장세분화(segmentation), 표적시장선정(targeting), 표적시장 소비자 특성 등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삼 선택의 주요 속성인 안전성, 크기, 가격에 대한 부분가치효용을 분석해 본 결과 일반 수삼보다는 GAP 수삼을 선호하였으며(1.373), 크기에 있어서는 큰 수삼을 선호하였고(1.014), 가격대는 낮은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각 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안전성이 47.2%, 크기가 35.0%, 가격이 17.8%의 중요도를 나타냈다. GAP 인증 수삼의 가상 상황에서의 시장점유율 시뮬레이션에서는 GAP 인증 수삼이 일반수삼과 비교하여 같은 크기에 가격이 다소 높거나, 같은 가격에 크기가 작은 경우에 도 소비자의 선택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비자 선호특성을 기반으로 군집분석을 통하여 수삼시장을 세분화한 결과, '큰 수삼 선호시장', '안전성 선호시장', '저가격 선호시장' 셋으로 나눌 수 있으며, 표적시장(target market)인 '안전성 선호시장'의 규모는 전체 수삼시장의 26.8%인 약 2,968톤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표적시장 소비자의 구매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구입과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대형 마트에서의 수삼구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장지에 안전성이나 연근에 대한 정보를 표기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가격 및 재배년근과 관련해서는 750g 한 채당 자가 소비용은 2~3만원, 선물용은 5~6만원대를 상대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배년근의 경우에는 4년근 선호비율이 타 군집(세분시장)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GAP 인증 수삼은 굳이 고년근으로 재배할 필요는 없을것으로 생각된다. 표적시장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연령대는 40대 이하가 많았고 학력과 관련해서는 군집 간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박람회 품질평가에 따른 시장세분화 및 특성분석 - 2014 제천한방바이오 방문객 대상 - (Market Segmentation and Characteristics by Fair Participants evaluation Quality - Based on Korean Medicine-Bio Fair 2014 Jecheon Korea -)

  • 김기현;허준;윤유식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3권
    • /
    • pp.17-26
    • /
    • 2016
  • 본 연구는 지역기반형 창조산업 육성을 목표로 산업전시, 지역민 향토축제, 그리고 대국민 문화축제의 제시를 통해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 2014제천한방바이오박람회를 대상으로 시장세분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국내 많은 지역개최 박람회와 차별화를 위한 노력으로 새로운 유형의 지자체 차원에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세분시장별 특성의 파악과 확인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방바이오박람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총 308부의 유효표본을 활용하여 최종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박람회품질평가요인은 행사내용, 박람회상품, 홍보안내, 편의시설, 접근성 등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박람회 품질평가에 따른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접근성 추구집단, 홍보성추구집단, 그리고 다 품질 추구집단으로 군집명을 명명하였으며, 시장세분화를 위한 인구통계 및 일반적 특성의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궁극적으로 박람회 개최를 통해 지역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도모하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제품 수용 정도에 인공지능 속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An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ttributes on the Adoption Level of Artificial Intelligence-Enabled Products)

  • 손권상;유건우;권오병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3호
    • /
    • pp.111-129
    • /
    • 2019
  •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신장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스마트 스피커, 챗봇 등과 같은 AI 기반 제품(AI-Enabled Products)의 출시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AI 기반 제품이 지닌 편익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수용의도를 밝히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AI 기반 제품이 지닌 특징을 고려하여 속성을 분류하여 각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효용 가치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DeLone과 McLean의 IS Success Model을 바탕으로 AI 제품 속성을 AI 속성과 Non-AI 속성으로 구분하고,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각 속성이 지닌 효용 가치를 기반으로 제품 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AI 제품의 수용 시점에 따른 AI 제품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각 응답자의 효용 가치를 기반으로 군집 분석을 통해 시장을 세분화하고, 각 세분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특징과 니즈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AI 기반 제품의 특성과 속성에 대한 개념적으로 구조화된 틀을 제시하는 이론적 시사점과 각 세분시장에 따라 최적화된 AI 제품 개발 방향을 제안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사용확산에 따른 인터넷 패션정보 사용자 시장세분 및 확산성과 연구 (The Study of Segmentation of Internet Fashion Information Users and Diffusion Outcomes: Application of a Use-Diffusion Model)

  • 송기은;황선진;김윤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25-736
    • /
    • 2013
  • This study segments information users according to depth and variety of use diffusion in order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influence of fashion information spread and diffusions from each segmented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a fashion community to perform a social network analysis that used UCINET 6.0. Members completed the survey materials and the network materials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The segmented groups of information users determined the study results according to use diffusion an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m. The variables affecting information diffusion outcomes indicate different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on each segmented market. Information variety and complexity represents elevated information reproductions and verbal acceptances from information diffusion outcomes.

선호의복이미지에 의한 여성 세분시장의 구매행동 연구 (A Study of Purchasing Behaviors on Female Markets Segmented by Clothing Image Preference)

  • 이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3-106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female consumers on the basis of their clothing image preference, and to investigate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of each segmented market. The research method was a questionnaire survey and participants were 700 women aged from 20's to 60'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for clothing image preferenc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and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2$ test, ANOVA and the Scheff$\'{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emale consumers were divided into 7 types(sophisticated, natural, characteristic, elegant, active, feminine, and neat type) by clothing image preference. The 7 segmented market groups differed in many way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rious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clothing selection criteria, purchasing motives, fashion information sources, places of purchase, shopping frequency, and quantity and cost of purch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view that clothing image preference can be a useful and effective variable for female market segmentation.

Mixture model을 이용한 홈쇼핑 이용자의 시장세분화와 세분시장의 특성: 인구통계학적변수와 구매행동변수의 통합적 사용 (The Market Segmentation by the Mixture Model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gmented Home-Shoppers Market)

  • 서정아;이진화;곽영식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589-600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egment home-shoppers by the Mixture model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gmented markets. Total 7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home-shoppers more than 19 years old in Seoul and Busan and analyzed 638 copies with the Mixture model using LatentGold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segmented market 1, women in forties and housewives with a lowly educated person purchased for the most part from 10 A.M. to 5 P.M and the study named them as the average home shopping purchaser group. In the segmented market 2, men in twenties and students with a highly educated person often purchased with a small amount of money at 6, 7, 12 P.M and the study named them as the high-satisfaction frequent group purchasing a few goods. In the segmented market 3, professional men in forties with a highly educated person rarely purchased with a lot of amount of money from 8 P.M to 11 P.M and the study named them as low-satisfaction rare group purchasing not a few goods. Marketing strategies and discussion were suggested in detail.

천연염색 제품의 시장세분화 및 세분시장의 매체 이용 행동과 정보탐색 행동 (Natural Dyed Products Market Segmentation and Usage of Media and Information Sources among the Segments)

  • 홍희숙;남미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8호
    • /
    • pp.113-128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ivide consumers into segments according to their consumption attitude and subjective knowledge about natural dyed products 2) to develop a profile for each segment with respect to the media types, the preferred media programs, the information sources, the lifestyle activities and the demographics. Data(n = 213)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via the internet. By cluster analysis of the consumers' attitude and their subjective knowledge about natural dyed products, four groups were identified 1) the loyal consumption group (20.1%), 2) the conditional/reluctant consumption group(36.6%), 3) the negative/reluctant consumption group(24.2%) and 4) the non purchasers(19.1%).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se four groups were then compared by ANOVA and chi-square statistic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sumption attitude and subjective knowledge could be the criteria for segmenting the consumers and that the segmented groups had unique consumer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