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지식

검색결과 840건 처리시간 0.026초

The Development of the Checklists for Students' Interaction with Others in Learning Mathematics (수학 학습에서 학생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도구 개발)

  • Koh Sang Sook;Koh Ho Kyung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제12권4호
    • /
    • pp.443-455
    • /
    • 2002
  • 정보화시대를 맞아 어느 때보다도 활발히 전교과에 걸쳐 학생의 의사소통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학교현장의 수학교육자는 수학교수-학습에서 어떤 상호작용이 일어났는지, 특히 다루기 쉬운 도구로써 계산기가 주어졌을 때 어떻게 학생의 지식 발달이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이루어지는지를 알아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생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때 필요한 분석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예비연구와 본 연구를 통해 언어적 상호작용의 구성요소가 세 영역, 즉, 지식구성 진술, 사회적 상호작용 진술, 그리고 교사의 교육어 진술에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료를 이용하여 특히 학생의 지식 구성 발달에 따른 상호작용의 구성요소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에 필요한 언어적 상호작용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Addition in the 1st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학교수학과 어린이의 수학 지식에 대한 고찰 - 초등학교 1학년 덧셈을 중심으로 -)

  • 김연;박만구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제7권1호
    • /
    • pp.83-10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ddition strategies of the 1st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ared to the strategies recommend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 used interviewed children's worksheets to analyze the children's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ormal strategies the textbook recommended and the children's strategies were so different. Teachers need to articulately comment two strategies when they teach mathematics in the classrooms.

  • PDF

수학 교육에서 concrete와 connected의 의미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제9권
    • /
    • pp.1-13
    • /
    • 1999
  • 수학 교육에서 수학 지식의 추상적 특성으로 인하여 수학 학습에 중요한 발생적 측면으로서 “concrete“ 에 대한 학습론적인 연구가 부족하였다. 또한 구체적 감각 조작 단계에서 형식적 추상적 조작 단계로의 아동의 인지 발달을 강조하다보니 ”concrete“와 ”abstract“의 통상적인 의미가 이분화 됨으로서 수학 학습에서 모든 연령과 수준에 무관한 상보적이고 상호 작용하는 가치를 수학 교육 연구에서 잊고 있었다. 본 논문은 발생적인 그리고 구성주의적 수학 학습에서 ”concrete”가 가져야 할 새로운 의미를 제안하였다. 새로운 의미의 “concrete“는 다양한 경험과 사물 그리고 지식과의 관계 맺음을 의미하는 ”connected“와 같은 맥락을 갖는다고 보고 몇 가지 수학교육에 관련된 의의와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Mathematics Teacher's Development of TPCK (수학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학습 지식(TPCK) 개발)

  • Lee, Kwang-H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제10권2호
    • /
    • pp.247-262
    • /
    • 2007
  • TPCK is the knowledge of intersection in mathematics, technology, and pedagogy. This study investigated a teacher's change of his TPCK. He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hich was designed to develop mathematics teachers' TPCK.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as based on using spreadsheets in teaching mathematics. The researcher suggests a consideration for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a four week summ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nd three actual mathematics classroom teaching. Ten teachers took part in the program. One teacher who changed his TPCK most was selected to investigate what made it change most. Following teaching practic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hanging his TPCK.

  • PDF

A note on fuzzy knowledge spaces (퍼지지식공간론에 관한 연구)

  • Lee, chae-Jang;Kim, Taekyun;Jongduek J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3-36
    • /
    • 2002
  • 최근 수학구조 및 교수-학습과 관련된 연구에 지식공간 이론을 응용하고자하는 논문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유의미 학습과 관련된 수행평가와 수학문제를 푸는 능력에 관한 평가를 연구하는데 지식구조가 응용되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데는 많은 애로사항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어오고 있다. 특히, Schrepp교수는 스피드문제의 경우로 제한하여 지식공간론을 응용한 일반화된 수학구조의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관적 지식의 평가를 하게되는 수학구조 및 공간에 관한 연구를 하는데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퍼지지식공간론에 관한 전반적인 기초 이론을 정의하고 그 성질들을 연구하고자한다.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o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수학학습 멘토링이 예비수학교사의 수학교수지식(MKT)에 미치는 영향)

  • Lee, Heonsoo;Kim, Sol;Kang, Sungm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제24권4호
    • /
    • pp.327-348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activities o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e choose six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at M University.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ducted 1:1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for two hours at a times and twice a week for 15 weeks.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ubmitted the mentor log, which recorded weekly learning and emotional observations. We collected the mentor log and the reflection log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the interviews with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the effects of MKT,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trospection by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We obtained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provides an opportunity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apply the theory of mathematical education to schools. Thu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xpress theoretical knowledge as practical knowledge. Second,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help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studen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attitudes as learners. Third,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helps advance teaching activities by providing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teaching activities. Finally,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has positively influenced the change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and teaching intuition.

상황에서의 수학 학습

  • Park, Seong-S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제8권
    • /
    • pp.343-353
    • /
    • 1999
  • 최근 인간의 인지발달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하려는 노력이 커지고 있다. 특히, 학교 밖에서의 수학과 학교 내에서의 수학을 비교하고, 학교 밖의 일상적 활동에서의 수학적 지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교수가 아닌 상황에서의 수학적 지식 형성을 살펴보고 이를 학교 수학과 어떻게 연결시킬 것인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인지와 상황과의 관계, 인지발달과 사회문화적 관계를 논하고, 일상적 상황에서의 수학학습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A Study on Algebraic Knowledge of Mathematics Teachers on Solving Polynomials and Searching Possibility of Self Learning the Knowledge (다항식의 해법에 대한 수학교사의 대수 내용지식과 자립연수 가능성 탐색)

  • Shin, Hyunyong;Han, Ink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제29권4호
    • /
    • pp.661-685
    • /
    • 2015
  •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program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on the viewpoint of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To do this, we select algebraic subject as content knowledge for solution of polynomials and develop material for group study based on selected subject. We supply the developed material to teachers and discus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nd the acceptability of it. For discussion, we collect data through tests and questionnaire. Through analysing the data, we obtain the positive result.

Relationship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mathematical quality in instruction: Focus on high schools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과 수업의 수학적 질 사이의 관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Kim, Yeo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제59권3호
    • /
    • pp.237-254
    • /
    • 2020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the mathematical quality in instruction in order to gain insight about teacher education for secondary teachers in South Korea. We collected and analyzed twelve high school teachers' scores of the multiple-choice assessment for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developed by the Measures of Effective Teaching project. Their instruction was video recorded and analyzed with the mathematical quality in instruction developed by the Learning Mathematics for Teaching project. We also interviewed the teachers about how they planned and assessed their instruction by themselves in order to gain information about their intention and interpretation about instruc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s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the mathematical quality in instruction. Among three dimensions of the mathematical quality in instruction, mathematical richness seemed most relevant to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because subject matter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Furthermore, working with students and mathematics as well as students participation were critical to decide the quality of instru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study discussed offering opportunities to lear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philosophy about how teachers need to consider students in high schools particularly in terms of constructivism.

예비 초등교사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교과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 Lee, Jon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제16권
    • /
    • pp.331-34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교과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29명의 예비 초등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개방형 답을 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초등교사들은 문장제에서 의미론적 구성과 합병과 구차의 상황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적 방법에서는 알고리즘에 의한 설명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뺄셈을 설명하는데 몇 가지 오개념을 보였다. 이 결과는 앞으로 초등교사양성대학의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기초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