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변화

Search Result 1,12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변화를 위한 교사교육에 관한 탐색

  • Heo, Yang-Sun;Kim, Won-G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71-83
    • /
    • 2001
  • 교사가 효과적으로 수업을 하려면 계속해서 개선을 해야 한다.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계속해서 반성함으로써, 또한 교수와 학습에 대한 지식이 변함에 따라 수업이 변하고 발전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교사는 꾸준히 변하는 교사이다. 이러한 교사역할에서의 변화가 요구되는 합의가 암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교사의 역할을 인지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교사교육을 실행공동체에서의 참여의 변화과정으로 개념화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과 효과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에 따른 바람직한 교사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여 수학 교실 향상에 대한 앞으로의 시사점을 얻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PDF

Changes in mathematics pedagogical lexicons: Extension research of the International Classroom Lexicon using a text mining approach (수학 교수학적 어휘의 변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교실수업 어휘 연구의 확장)

  • Lee, Gima;Kim, Hee-jeong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1 no.4
    • /
    • pp.559-579
    • /
    • 2022
  • Research on lexicon and language provides insights into the interests, values and practices of a community where individuals use the language. The International Classroom Lexicon Project, in which ten countries participated, identified own country's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lexicons by investigating mathematics classroom instruction from teachers' perspectives in a speaking-oriented community. This study, as an extens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room Lexicon Project research, investigated pedagogical lexicons used in 「Mathematics and Education」 journals specialized for Korean professional mathematics teachers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of Teachers of Mathematics. Using the text mining approach, we also traced how these pedegogical lexicons have changed quantitatively over the past 10 years with a diachronic perspective. As a results, several novel terms were found in the writing-oriented community, which were not identified in the speaking-oriented community. In addition, we could discover some pedagogical lexicons hav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nd some lexicons appeared(increased) rapidly across years. This implies the teacher community's values and zeitgeist by reflecting these changes in the sociocultural, incidental and social changing (i.e., periodical change) contexts. This study has value as a first step in understanding zeitgeist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n mathematics teacher community according to changes of times over the past 10 years. Also,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methodological insights: the text mining technique provides a methodological contribution to researching changes in interests, values and zeitgeist according to these changes in the times.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Teacher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Students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arget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학생들이 인식한 교사의 특성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 Kim, YongSe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5 no.1
    • /
    • pp.97-118
    • /
    • 2021
  •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at affect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re constantly changing and affecting mathematics achievement, longitudinal studies that can predict and analyze growth are needed. This study used data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3(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2017(second year of high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bal Study(SELS). By classifying the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nto similar subgroups, the direct influence of teachers' characteristics(professionalism, expectations, academic feedback) perceived by students on the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teachers(professional performance, expectation, and academic feedback) in group 1(343 students), which included the top 14.5% of students, did not directly affect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in the middle 2nd group(745, 32.2%) had academic feedback from the mathematics teacher, and the 2nd group(1225 students) in the lower 53%, which included most of the students, showed that the expectations of the mathematics teacher were the longitudinal mathematics achievement. The change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effect. This suggests that support for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also reflect this, as the direct influenc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expectations, and academic feedback on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ispositions of students.

탐구학습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태도와 창의성 변화 연구

  • Lee, Gang-Seop;Kim, Jong-Gy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127-13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탐구학습 과정에서 수학적 태도와 수학 창의성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방법에 탐구학습을 투여한 학습집단은 일반 학습집단보다 수학 창의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05). 둘째, 탐구학습 집단과 일반학습 집단의 수학적 태도는 사전 및 사후의 두 검사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 PDF

함수 그래프 과제에서의 오류 분석 및 처치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교수학적 환경에서-

  • An, Ga-Yeong;Gwon, O-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337-360
    • /
    • 2002
  • 그래프 능력을 바탕으로 한 함수의 그래프 표현은 함수 교수 ${\cdot}$ 학습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러나 부적절한 함수 그래프 과제 교수 ${\cdot}$ 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지식 구성, 이해 과정에 영향을 주면서 수학적 오류를 형성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체계적인 오류 분석을 기반으로 한 좋은 교수학적 프로그램을 통해 수학적 오류를 예견하고 학습 과정에서 그것을 잘 처치,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함수 교수 ${\cdot}$ 학습을 위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필 환경하에서 함수 그래프 과제를 수행한 학생들에게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수학적 오류를 점검하고, 새로운 교육용 테크놀러지 환경하에서 이러한 수학적 오류가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를 위해 고등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함수에 대한 개념 이미지로부터의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고등학생 2명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기존의 수학적 오류가 새로운 교수학적 환경하에서 변화, 극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변수의 교수-학습에서 학생들의 수학화 과정 연구

  • Go, Sang-Suk;Gang, Tae-Ge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251-272
    • /
    • 2001
  • 학생들은 변수의 개념을 실제 우리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실제 수학 수업에서는 상당히 어려워 한다. 변수의 교수-학습에서 수학화의 개념을 적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수학화가 이루어지는 과정, 정의적 측면의 변화와 실생활의 적용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변수개념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정의적 측면의 긍정적 변화와 실생활에서의 적용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n Analysis of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의 수학적 모델링 관련 제시 방법 분석)

  • Jung, Seongyo;Park, Mango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9 no.1
    • /
    • pp.103-12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ntences related with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changing of Korean mathematics curricula. In the preliminary analysis, the researchers used the criteria that Kim(2010) had analyzed Mathematics in Context[MiC], and analyzed South Korean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modeling. The researchers revised them for the analysis criteria among South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employed them as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present study. From the mathematical modeling perspective,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extbooks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contexts of real-world situa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s are increased in all areas except Probability and Statistics areas, the methods of expression of mathematical model are diversified in all areas except Patterns area, and the communication types are also diversified and frequencies increased in all areas except Patterns area. Based on this research,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textbooks.

A communicational approach to mathematical process appeared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학생 중심 동료 멘토링 교수법에서 수학적 과정에 대한 의사소통학적 접근)

  • Choi, Sang-Ho;Ha, Jeong-Mi;Kim, Dong-Jo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0 no.3
    • /
    • pp.375-39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athematical process consistently emphasized in our curriculum and to stress the importance of sharing creativity and its applicability to the mathematical process with the value of sharing and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we describe five stages of changing process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conducted by a teacher who taught this method for 17 years with the goal of sharing creativity and examine components of mathematical process and their impact on it in each stage based on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process, and assessment. Results suggest that six principles should be underlined and considered for students to be actively involved in mathematical process. After analyzing changes in the five stages of the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the five principles scrutinized in mathematical process are the principles of continuous interactivity, contextual dependence, bidirectional development, teacher capability, and student participation. On the basis of these five principles, the principle of cooperative creativity is extracted from effective changes of mathematical process as a guiding force.

The Effect of the Storytelling Teaching on the Mathematical Attitudes of the Underachieved Students (스토리텔링 수업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Myoung Gil;Kim, Hong Cha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2 no.1
    • /
    • pp.23-4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torytelling teaching on the mathematical attitudes of Mathematics underachieved thi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5 students with lower than 20% of math grade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provided 36 hours of the storytelling teaching program in 18 weeks. The participant students took the mathematical attitudes questionnaires both before and after the storytelling teaching class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 score of the before and after questionnaires was increased, and t-test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particular, the various details of mathematical attitudes revealed the greatest positive change in 'the application of learning technology', followed by 'interest' and 'self-study'. Therefore, we found that the storytelling teach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athematical attitudes of underachieved students.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도형영역 교수단위 추출 연구

  • Kim, Hyeo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43-156
    • /
    • 2010
  •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수학교육과정도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 교사는 수학교육의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함께 수학, 교육학, 심리학 등 수학교육과 관련된 학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교사에 대한 시대적인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으로 Wittmann(1984)은 수학교과의 특성상 변하지 않는 요소들을 교수단위(Teaching Units)라 하고, 수학교육을 통합시키는 개념으로 교수단위이론으로 제시하였다. 교수단위는 수학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들을 목적, 자료, 활동, 배경 등의 4요소에 따라 작은 단위로 조직화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학연구자나 교사는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와 체계적인 조직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나아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도형영역의 교수단위를 학년별로 추출하고, 추출된 교수단위의 특징과 제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단위가 수학교육과정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도형영역의 교수단위(TU)는 특징과 제목에 따라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의 도형영역 교육과정은 대체로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념적용형이 개념알기형보다 조금 더 많다. 이는 도형영역 교육과정이 학습한 개념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여러 활동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도형의 개념을 좀 더 명확하게 알게 되는 초등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수단위(TU)는 수업자가 도형학습주제에 맞게 수업을 재구성하거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준별 맞춤자료를 제작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학연구자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수립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교수단위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계속 보완되고 진화될 수 있는 모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많은 수학연구자나 현장교사의 참여로 교수단위가 보다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추출된 교수단위를 교사나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용 소프트웨어로 개발하려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