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적 모형

검색결과 554건 처리시간 0.027초

상황중심의 문제해결모형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실행연구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ing and applying mathematical situation based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odel)

  • 김남균;박영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429-459
    • /
    • 2009
  • 실행연구는 연구자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실제를 개선하고 자신의 전문적 지식을 향상시켜 나가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와 가정에서 수학을 많이 접함에도 불구하고 수학적 문제해결력이 낮고 실생활에 적용시키는 수학적 이해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인식한 교사가 학생들의 수학적 이해력을 높이고 교사 자신의 수학 교수법을 계발하려 데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를 실행한 교사는 수학적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을 학생들 스스로가 잦아보게 하여 수학을 실생활에 적용할 줄 알고 수학과 친숙해지도록 하는 수학적 이해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상황중심의 문제해결 모형을 고안하였다. 본문에서는 교사가 연구자가 되어 학생들의 이해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개발한 상황중심의 수업 모형을 설명하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과 수업의 반성을 통해서 얻은 연구자의 성찰적 지식을 정리하였다.

  • PDF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learning attitude in instruction utiliz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model)

  • 안종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47-17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수학교과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하여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 유발을 위하여 STAD 협동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적용한다. 둘째,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수학과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설계한다. 둘째,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연구에서 조사한다.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할 수 있다.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을 한 집단과 전통적인 교과서 위주의 설명식 수업을 한 집단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본 결과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을 한 집단에서 수학적 성향과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밝혔다.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authentic assessment)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hentic Assessment Model Development in School Mathematics)

  • 손정화;강옥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77-9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의 통합된 부분으로 실제 상황에서 의미있는 실제적인 과제로 학생들의 진정한 수학적 활동 능력을 평가하는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체계로서 참평가의 정의 및 목표, 참평가 과제의 준거, 참평가 과제의 준거, 참평가 채점기준, 참평가 결과 보고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 개발을 위해 상황인지 수업설계 모형을 살펴보고, Guba & Lincoln의 제4세대 평가 모형, NAEP의 고차적 능력 평가 모형, Guliker, Bastiaens, & Kirschner의 참평가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이 모형들로부터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 요소 추출의 근거를 모색하였다. 추출한 참평가 모형의 요소들을 실제 상황에서 수업의 통합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교수 학습 참평가 모형으로 구안하여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은 전문가 검토 및 실제 교수 학습에 적용하여 모형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 PDF

수학 기반 융합 수업 모형의 가능성 탐색 (A Study of the Potentials of Math Based Convergence Instructional Model)

  • 김유경;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107-122
    • /
    • 2015
  • 본 연구는 수학 기반의 융합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자 STEAM 모형, 각 교과 기반의 융합모형 개발연구를 토대로 수학적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둔 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6학년을 대상으로 4차시 수업을 실시하여 수업 모형의 각 단계별 구현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수업 모형의 적절성 및 한계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수업 모형의 각 단계는 학생들이 다양한 문제 해결 방법을 찾고 비판적으로 해결 과정을 검토하며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을 갖도록 하는데 긍정적이었으나, 깊이 있는 수학적 탐구로 이끌거나 감성적 체험을 확장하는 데는 적절한 교사의 역할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기반 융합수업을 구현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인지갈등을 통한 수학과 학습모형( II )

  • 최은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141-153
    • /
    • 2001
  • 지금의 수학교육현장은 결과적인 완성된 지식을 교사 주도하에 연역적으로 지도하는 것에 대해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그에 대한 대안으로 본 논문은 인지갈등을 통한 수학과 학습 모형을 이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지 갈등을 유발하여 학습동기를 부여한 후 학생과 교사가 함께 그 갈등을 풀어 나감으로서 동기유발과 수학적 능력을 길러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보편화된 컴퓨터 환경은 이러한 수업을 더욱 용이하게 함에 주목하고 또 문제 설정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한 수업 모형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주제에 따라서는 수학사적 내용을 첨가하여 흥미 있는 수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업방법은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를 유도하게 되어 효과적일 것이다.

  • PDF

하천에 유입된 유독성 유기오염물의 농도분포를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 모형의 개발: Dynamic simulations 및 민감도 분석 (A Mathematical Model Proposed for the Prediction of the Fate of Priority Organic Pollutants Spilled in Streams: Dynamic Simulations and Sensitivity Analysis)

  • 고광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265-274
    • /
    • 1992
  • 하천에 사고로 대량으로 유입된 유독성 유기오염물인 anthracene의 농도를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 모형이 제안되었다. 이 수학적 모형은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반응을 고려한 6개의 미분방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개의 입력변수와 9개의 반응계수를 포함하고 있다. 주어진 조건하에 제안된 수학적 모형을 대상으로 dynamic simulations와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유입된 이 오염물의 농도를 검출한계내로 예측이 가능하였고, 용존 빛 부유고형물에 흡착된 이 오염물의 농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어 가장 정확히 추정하여야할 주요 반응계수는 확산계수와 이동계수 및 흡착계수이었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수학적 모형은 anthracene 뿐만아니라 이와 유사한 화학적 특성의 유기오염물의 경우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수학체험교구 개발 모형 및 이를 적용한 최대공약수 교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ools for Math Activities & it's Application)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587-603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중요한 수단이자 교육적 도구인 수학체험교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최근 활동이론(action theory)에 근거한 수학교육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수학체험교구가 개발되고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비교과활동을 통해 활용되고 있지만, 실제 수학수업에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수학체험교구가 개발되어 활용되는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수학과 교육과정에 부합되고, 수학적 근거가 명확한 체험교구는 체계적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체험교구를 개발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으로 체험교구 개발 모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개발 모형에 따라 최대공약수 체험교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형과 실제 구현된 체험교구를 통해 다양한 수학체험교구의 개발이 실제적으로 실행되고, 수학적 기초에 근거한 수학체험교구가 다양하게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웹 기반 학습자 중심의 수학문제 풀이를 위한 단계학습 설계모형 개발 (An Implementation of a Stepwise Learning Model for Learner-based Solving of Mathematical Problems on the Remote Instruction)

  • 조우제;김태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52-757
    • /
    • 2001
  • 본 논문은 웹 상에서 자기 주도적 문제풀이 학습을 통하여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학교과의 학습목표 및 내용, 관련된 학습자료를 탐색하고, 교수자나 다근 학습자와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원격강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을 기초로 웹 기반 코스웨어 설계모형을 제시하고 학습자 중심의 실시간 수학문제 풀이 원격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는 웹 기반의 수학 코스웨어 및 텍스트 모드로 제작 설계되었으며 자기 주도적인 수학 문제 풀이 단계학습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수학과 문제중심학습(PBL)을 위한 문제분석기준 개발과 학습모형 연구 (A Study to Develop Criteria to Judge Mathematical Problems and a Learning Model in Mathematics Problem-Based Learning)

  • 허난;강옥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55-274
    • /
    • 2010
  • 본 연구는 수학교과에서 PBL 환경을 구축하고 수학과 PBL의 실행과 활성화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수학과 PBL 문제분석 기준'과 '수학과 PBL 학습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PBL 문제의 특징을 분류하고 각 영역의 하부항목을 추출하여 작성한 기준표를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사와 신뢰도 검사를 통하여 개발하였다. 개발한 수학과 PBL 문제분석 기준표는 수학과 PBL을 위한 문제개발의 기준이 될 뿐만 아니라 문제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이다. 또한 수학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수학과 PBL 학습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제시한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실행한 PBL 수업의 관찰과 자료 분석을 통하여 수학과 PBL 학습모형을 구체화 하였다. 이는 수학교과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모형을 적용한 기존의 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모형으로서 '미니강의'의 단계가 특징적으로 적용된 모형이다.

  • PDF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 이은주;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2호
    • /
    • pp.135-145
    • /
    • 2011
  • 우리나라의 2007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수학과 교육 목표의 중요한 부분으로 설정하고 있다. 수학적 의사소통은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정을 재정립하고,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수학 교실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학적 의사소통 모형을 개발하고, 개발된 의사소통 모형에 따른 수업과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에서 지식의 형성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에 따른 수업에서는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에 비해 자신의 문제 해결 방법을 모둠원들과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 비교하고, 자신의 의견을 수정하여 가장 적절한 해결 방법을 찾고 합의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주관적 지식을 객관적 지식으로 구성해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