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연구

  • Lee, Eun-Ju (Graduate School of Educti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Dae-Hyun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1.07.19
  • Accepted : 2011.08.26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When mathematicians solve the new problems, they present the solutions to their colleagues for getting the approval. If the solution is accepted, it will be theorems. This phenomenon also happens to classroom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hat is main reason to emphasiz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ctivities in mathematics education.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applicate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two groups and analyze for mathematical thoughts.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3rd grader's activities. Eight students, four are group appli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four are traditional group. The results have been drawn as follows: First, student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group induced richer interactions for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on when we compare to those of traditional group. Second, student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group have the chance to explain their thoughts. And we can observe students to clear on their thought through speaking and discussing. This model makes students to enhance organizing, forming and clearing in their mathematical thoughts and is effective to estimate of students thought for teacher.

우리나라의 2007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수학과 교육 목표의 중요한 부분으로 설정하고 있다. 수학적 의사소통은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 과정을 재정립하고,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수학 교실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학적 의사소통 모형을 개발하고, 개발된 의사소통 모형에 따른 수업과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에서 지식의 형성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에 따른 수업에서는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에 비해 자신의 문제 해결 방법을 모둠원들과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 비교하고, 자신의 의견을 수정하여 가장 적절한 해결 방법을 찾고 합의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주관적 지식을 객관적 지식으로 구성해 나갔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김인숙 (2003). 수학교육에서 Vygotsky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진호 (2009). 수학 수업 중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교실문화 형성하기. 초등수학교육, 12(2), 99-115.
  5. 신준식 (2007). 수학 수업에서 의사소통 분석-언어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10(1), 15-28.
  6. 이미애 (2002).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구체물 활용과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2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이종희, 최승현, 김선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학습 지도의 효과. 수학교육, 41(2), 157-172.
  8. 장순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 .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주경일 (1999). 짝 협동학습에서의 학생 간 의사소통 과정 분석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전평국 (2001). 수학교실에서의 창의력 측정과 평가. 학교수학교육학회 논문집, 1, 23-32.
  11. 최승현 (2002). 수학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2-4-3.
  12.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3. Ernest, P. (1991).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London: The Falmer Press
  14. Mumme, J., & Sheperd, N. (1990).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In T. E. Rowan, (ED.). Implementing the $\kappa$-8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readings from the arithmetic teacher (pp. 7-11).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Mathematics.
  15.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16.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