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요공급동시모형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Analysis of the Road Freight Transportation using the Simultaneous Demand-Supply Model (수요-공급의 동시모형을 통한 공로 화물운송특성분석)

  • 장수은;이용택;지준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4
    • /
    • pp.7-18
    • /
    • 2001
  • This study represents a first attempt in Korea to develop the simultaneous freight supply-demand model which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freight supply and demand. As the existing study was limited in one area, or the supply and the demand was separated and assumed not to affect each other, this study take it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the demand affects supply and simultaneously vice versa. This approach allows us to diagnose a policy carried on and helps us to make a resonable alternative for the effectiveness of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m, we use a method of econometrics. a structural equation theory and two stage least-squares(2SLS) estimation technique, to get rid of bias which involves two successive applications of OLS. Based on the domestic freight data, this study consider as explanatory variables a number of population(P), industry(IN), the amount of production of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MMI), the rate of the effectiveness of freight capacity(LE) and the distance of an empty carriage operation(VC). This study describes well the simultaneous process of freight supply-demand system in that the increase of VC from the decrease of VC raises the cargo capacity and cargo capacity also augments VC. By the way. it is analyzed that the increment of VC due to the increase of the cargo capacity is larger than the reduction of VC owing to the increase of the quantify of goods. Therefore an alternative policy is needed in a short and long run point of view. That is to say,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the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 short term supply control and a long run logistic infrastructure are urgent based on the restoration of market economy by successive deregulation. So we are able to conclude that gradual deregulation is more desirable to build effective freight market.

  • PDF

Application of HSPDA Model to Large Water Network (HSPDA 모형의 대규모 상수관망에의 적용)

  • Baek, Chun-Woo;Jun, Hwan-Don;Kim, Jo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84-2088
    • /
    • 2007
  • 상수관망의 수리해석기법은 demand-driven analysis(DDA)와 pressure-driven analysis(PDA)로 구분할 수 있다. 관거 파괴나 용수수요 급증과 같이 용수공급시스템이 비정상상태인 경우 절점의 용수수요는 항상 만족한다는 가정을 사용하는 DDA의 경우 비현실적인 결과를 줄 수 있으며, 절점수요와 절점수두를 동시에 고려하는 PDA의 개념을 이용한 관망의 수리해석이 필요하다. PDA의 개념을 사용하여 개발된 기존의 많은 모형들은 복잡한 실제관망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화음탐색법(Harmony Search, HS) EPANET의 toolkit을 연계하여 개발된 HSPDA모형의 실제 대규모 상수관망에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제 대규모관망에의 적용성 향상을 위해 화음탐색법의 새로운 인자인 PIR를 제안하였으며 적용결과 새롭게 제안된 PIR은 HSPDA모형의 최적해탐색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으며, HSPDA모형을 이용한 실제 대규모관망의 비정상상태 수리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udy on Development of System for Web-Based Water Quality Forecasting (Web기반 수질예측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Ahn, Sang Jin;Jun, Kye Won;Ryu, Byong Ro;Han, Ya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408-1412
    • /
    • 2004
  • 인구의 폭발적 증가, 산업화, 도시화의 급진적, 과학기숙의 발달 등으로 물 소비는 급증하는 반면, 이상기후현상으로 수자원의 절대량이 줄어 수자원의 양적인 문제와 하천 및 저수지의 수질오염에 대한 질적인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하천의 수질현상 및 이송은 상당히 비선형적이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려, 실제로 수질의 예측은 유량의 변동, 오염물질의 이송 및 확산, 하천 구조물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하여 상당히 어렵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한정된 수자원으로 하천의 수량과 수질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물의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면서 기상과 유출예측기술을 활용하여 용수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수량과 수질을 고려한 물관리 운영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입${\cdot}$출력 구성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상태공간 모형과 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금강수계 주요 지점의 수질예측 모형을 구성하고 모형의 적용성을 파악한 후 예측력이 우수한 모형을 Web기반 모형의 수질예측 모듈의 기본모형으로 선정하고 Web 상에서 수질예측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Forecasting of Heat Demand in Winter Using Linear Regresson Models for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한국지역난방공사의 겨울철 열수요 예측을 위한 선형회귀모형 개발)

  • Baek, Jong-Kwan;Han, Jung-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3
    • /
    • pp.1488-1494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using linear regression model that forecasts the demand of heated water in winter. To supply heated water to apartments, stores and office buildings, Korea District Heating Corp.(KDHC) operates boilers including electric power generators. In order to operate facilities generating heated water economically, it is essential to forecast daily demand of heated water with accuracy. Analysis of history data of Kangnam Branch of KDHC in 2006 and 2007 reveals that heated water supply on previous day as well as temperatur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forecast the daily demand of heated water. When calculated by the proposed regression model,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for the demand of heated water in winter of the year 2006 through 2009 does not exceed 3.87%.

Effect on Dams' Joint Operation in Geum River Basin using Water Management System (금강유역 물관리시스템의 연계운영 효과)

  • Ko, Ick-Hwan;Kim, Sheung-Kown;Kim, Jae-Hee;Kang, Sh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383-1387
    • /
    • 2008
  • 우리나라는 계절적으로 편중된 강우특성 때문에 이수관리와 치수관리가 분리될 수 없고, 하천유역 상 하류의 수량과 수질은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므로 수자원관리는 하천유역단위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한정된 수자원으로 하천의 수량과 수질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물의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 정보로 획득하면서 기상과 유출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운영기간 동안의 용수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천과 저수지의 수량과 수질을 고려한 유역 저수지군 시스템의 최적 물공급계획을 수립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물관리 Toolkit과 운영 기술이 필요하다. '유역통합 물관리시스템(IRWMS)'은 유역의 유출량 산정과 예측을 담당하는 유역유출 예측시스템(RRFS)과 연동하여 장 단기 저수지군 시스템의 최적운영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월단위 최적운영모형(SSDP), 일단위 최적운영모형(CoMOM), 그리고 유역물배분 모의운영모형(KModSim)이 포함되어 있다. RRFS로부터 예측된 수계내 소유역별 유입량 및 수요량(농업, 공업, 생활용수) 정보를 토대로, SSDP 또는 SSDP-CoMOM 연계모형으로부터 구한 월 또는 일 단위 최적저류량 및 방류량을 산정, 이를 KModSim 모형에 입력하여 장 단기 모의를 통하여 유역 물관리 의사결정의 최종단계에 해당하는 저수지군 최적방류량 결정에 필요한 정보 및 시나리오를 제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저수지운영 요소모형들을 이용하여 금강수계 저수지군의 연계운영에 적용하였다.

  • PDF

ATP Model in SCM Environment for Improving the Value of Customer Service (고객가치 향상을 위한 SCM환경에서의 ATP모델 연구)

  • 김원식;남호기;박상민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0.11a
    • /
    • pp.73-80
    • /
    • 2000
  • 공급망상에서 ATP는 단순히 고객에게 납기를 확약해 주는 고객 서비스 기능이 아니다. 이것은 공급 망상에서 ATP Rule을 기반으로 하여 수요와 공급 일치에 도달하기 위한 핵심 기능이다 따라서 SCM Solution을 이용하여 공급 체인 전반에 걸쳐 제품 가용성에 대한 즉시 및 동시 엑세스를 관리하여 기업의 납기 일의 정확도에 대한 최고의 확신을 가져올 수 있으며, SCM Solution을 통해 주문이나 예측 수주로 인하여 새로운 수요가 제품 가용성에 미칠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급체인 전체의 통합관리 솔루션을 통하여 SCM에 대한 필요성을 정리하고 ATP관련 데이터를 분석을 수행한다. 이 것을 바탕으로 고객관계 관리(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와 연계하여 세부데이터의 흐름 및 고객 가치를 향상 할 수 있는 ATP Rule을 정의한 후, 본 논문에서는 공급망상에 ATP Rule을 적용하여 ATP관련 데이터를 유연성 있게 취합할 수 있는 방안과 분류체계를 제시한 다단계 ATP모형을 제시 한다.

  • PDF

A Study on Estimating Regional Water Demand and Water Management Policy (물 수요함수 추정과 지역 물 관리 정책 연구)

  • Lim, Dongs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7
    • /
    • pp.1-8
    • /
    • 2018
  • In Korea, water supply capacity and facility investments had been emphasized around the 1980s. The water pricing have gained focuses in water policy since the 1990s. This study analyzes a water demand and estimates the relation of water demand and other socio-economic variable, using econometric models on the city of Busan. Water price and income are two key elements to explain water demand. Modeling approach using translog function provides better results, and water demand responds positively to population and income. Energy and water prices are negative factors in deciding water demand. It is requested that water pricing needs to reflect more production costs. Alternative approaches such as water saving facilities by household and use of digital water information should be emphasized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in a local community.

An Estimation of Price Elasticities of Import Demand and Export Supply Functions Derived from an Integrated Production Model (생산모형(生産模型)을 이용(利用)한 수출(輸出)·수입함수(輸入函數)의 가격탄성치(價格彈性値) 추정(推定))

  • Lee, Hong-gue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2 no.4
    • /
    • pp.47-69
    • /
    • 1990
  • Using an aggregator model, we look into the possibilities for substitution between Korea's exports, imports, domestic sales and domestic inputs (particularly labor), and substitution between disaggregated export and import components. Our approach heavily draws on an economy-wide GNP function that is similar to Samuelson's, modeling trade functions as derived from an integrated production system. Under the condition of homotheticity and weak separability, the GNP function would facilitate consistent aggregation that retains certain properties of the production structure. It would also be useful for a two-stage optimization process that enables us to obtain not only the net output price elasticities of the first-level aggregator functions, but also those of the second-level individual components of exports and impor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odel, we apply the Symmetric Generalized McFadden (SGM) function developed by Diewert and Wales to both stages of estimation. The first stage of the estimation procedure is to estimate the unit quantity equations of the second-level exports and imports that comprise four components each. The parameter estimates obtained in the first stage are utilized in the derivation of instrumental variables for the aggregate export and import prices being employed in the upper model. In the second stage, the net output supply equations derived from the GNP function are used in the estimation of the price elasticities of the first-level variables: exports, imports, domestic sales and labor. With these estimates in hand, we can come up with various elasticities of both the net output supply functions and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exports and imports. At the aggregate level (first-level), exports appear to be substitutable with domestic sales, while labor is complementary with imports. An increase in the price of exports would reduce the amount of the domestic sales supply, and a decrease in the wage rate would boost the demand for imports. On the other hand, labor and imports are complementary with exports and domestic sales in the input-output structure. At the disaggregate level (second-level), the price elasticities of the export and import components obtained indicate that both substitution and complement possibilities exist between them. Although these elasticities are interesting in their own right, they would be more usefully applied as inputs to the computational general equilibrium model.

  • PDF

A study on optimization production with consideration of a product characteristics and demand (제품 특성과 수요를 고려한 최적생산에 관한 연구)

  • 지요한;정석재;임석진;김경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05a
    • /
    • pp.139-144
    • /
    • 2002
  • 과거 공급사슬(SCM)에 관한 연구는 재고관리, 생산계획, 물류흐름의 최적화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는 이러한 분야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으며 특히 생산비와 물류비를 동시에 최소화하는 방안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수송시간과 재고에 대하여 제약을 가지는 공급망에서 최적의 생산을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며, 개발한 수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예제를 통해 모델에 대한 최적값을 제시하였다.

  • PDF

Electricity Demand in the Korean Households-A Technology/Sustainable Option- (우리 나라 가정부문 전력수요에 관한 연구-기술개발/지속적 개발 시나리오)

  • 박희천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 no.1
    • /
    • pp.1-57
    • /
    • 1994
  • 본 고는 지속적 개발 론에 입각한 적극적인 에너지수요 관리정책을 추진한다는 전제하에 2001년과 2006년의 우리 나라 가정부문 전력수요를 전망하고자 한다. 본 고는 지속적 개발 시나리오를 추정함에 있어서 기존의 계량모형보다 일종의 공학적 모형인 공정분석(process analysis)을 선호한다. 계량모형이 주로 과거 수요의 소득 및 가격 탄성 치를 바탕으로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데 비하여 공정분석모형은 기술발전에 따른 미래의 효율변화(향상)를 비교적 잘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는 덴마크공과대학교 Norgard 교수팀이 개발한 모형을 도입하여 분석모형(수식 (6))을 전력수요 = 기기 수 $\times$ 전력서비스$\times$ 전력집약도와 같이 설정하고 이를 사용하여 냉장고, 텔레비전, 조명 기기, 난방기기 등과 같은 전력사용 기기 별로 2001년과 2006년이 전력수요를 전망하였다. 본 고는 전력수요를 전력사용 기기의 사용용량(300리터 용량의 냉장고 등)과 사용시간을 나타내는 전력서비스와 전력 서비스당 필요 전력사용량을 나타내는 전력집약도로 나누어 구분하고 있는 모형을 이용함으로써 소득향상효과와 함께 기술발전에 따른 효율개선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1)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전력서비스는 지금과 같이 증가한다, 2) 현실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력사용 기기에 대한 최저 에너지 효율 제를 실시한다, 3) 현재 사용중인 기기 들은 원칙적으로 수명이 다한 후 고효율 기기 들로 자연 교체한다, 4) 최저 에너지 효율 제를 제외한 다른 제도 및 정책개선, 사용자의 에너지소비형태 개선에 따른 절전 잠재 량을 고려하지 않는다 등의 가정 하에 전력수요를 추정한 결과 1992년에 796 GWh(100)이었던 우리 나라 가정부문 전력수요는 2001년과 2006년에 29,237 GWh(134)와 33,118 GWh(152)로 각각 34%와 52%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1992년부터 2006년까지 가정용 전력수요 증가율은 연평균 3%로 추정된다. 기기의 서비스(가구수$\times$기기의 보급 율$\times$기기의 전력서비스)가 소득향상에 따라 증가하는데도 불구하고 전력수요의 증가율이 GDP(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증가율 5.7%)보다 매우 낮은 것은 기기의 대형화와 기기의 보급을 증가에 따른 전력의 추가수요가 기기의 에너지효율 개선으로 대부분 상쇄될 것이기 때문이다. 향후 10년 내에 기기에 따라 전력사용량을 25%~50%정도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기술발전에 따른 기기의 에너지효율 개선효과는 본 고의 2006년도 가정용 전력수요의 전망치 33,118 GWh가 기존방식에 의한 한전의 전망치 61,155 GWh의 54%수준밖에 되지 않는데 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한편 본 고는 경제성장과 환경보존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지속적 개발의 실천방안으로서 에너지 수요관리를 논하고자 한다.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조기도입을 촉진시키는 에너지 수요관리 통하여 우리는 에너지효율을 대폭 개선시키며 대기오염 배출량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고는 에너지 공급관리(공급확충)위주에서 에너지 수요관리위주로서의 에너지정책 전환은 불가피하다고 판단한다. 에너지 공급시스템보다 에너지 수요시스템위주로 전체 에너지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최저 에너지효율제의 광범위한 실시와 함께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보급에 필요한 유인책의 도입, 고효율 기기와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정보 등이 필요시 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현재의 산업구조와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에너지 효율의 기준을 미국보다 다소 낮게 설정한다면 최저 에너지효율제의 도입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는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조기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가칭 대기환경보존 및 에너지 수요관리기금의 창설을 제안한다. 전력부문의 경우 기금은 1. 탄소세, 2. 전력소비에 대한 수요 관리 세의 도입 혹은 3. 한국전력공사 전력판매수입의 일정 분으로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선진국들이 탄소세를 예정대로 도입한다는 전제하에 우리 나라가 2000년을 기준으로 탄소 톤당 8달러(석유 배럴 당 85센트)의 탄소세를 도입한다면 연간 7억 2,000만 달러(약5,760억 원)규모의 기금을 조성할 수 있다. 이 중 연간 2,000억 원 정도를 고효율 기기의 개발과 조기도입에 지원한다면 우리 나라 에너지 시스템 효율은 대폭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