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the Road Freight Transportation using the Simultaneous Demand-Supply Model

수요-공급의 동시모형을 통한 공로 화물운송특성분석

  • Published : 2001.08.01

Abstract

This study represents a first attempt in Korea to develop the simultaneous freight supply-demand model which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freight supply and demand. As the existing study was limited in one area, or the supply and the demand was separated and assumed not to affect each other, this study take it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the demand affects supply and simultaneously vice versa. This approach allows us to diagnose a policy carried on and helps us to make a resonable alternative for the effectiveness of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m, we use a method of econometrics. a structural equation theory and two stage least-squares(2SLS) estimation technique, to get rid of bias which involves two successive applications of OLS. Based on the domestic freight data, this study consider as explanatory variables a number of population(P), industry(IN), the amount of production of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MMI), the rate of the effectiveness of freight capacity(LE) and the distance of an empty carriage operation(VC). This study describes well the simultaneous process of freight supply-demand system in that the increase of VC from the decrease of VC raises the cargo capacity and cargo capacity also augments VC. By the way. it is analyzed that the increment of VC due to the increase of the cargo capacity is larger than the reduction of VC owing to the increase of the quantify of goods. Therefore an alternative policy is needed in a short and long run point of view. That is to say,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the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 short term supply control and a long run logistic infrastructure are urgent based on the restoration of market economy by successive deregulation. So we are able to conclude that gradual deregulation is more desirable to build effective freight market.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의 수요 또는 공급의 한 측면만을 중심으로 하는 일방향적 단일모형에서 벗어나 화물운송의 수요-공급을 동시에 고려하는 모형을 정립하고 이를 활용하여 국내운송특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단일모형의 한계를 논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수요-공급 동시모형을 도입하여 국내화물운송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공로화물의 특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공차거리율의 감소로 인한 적재효율의 증가는 적재용량(공급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고, 이는 다시 물동량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잘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상호조정 인과관계로부터 정부의 규제완화 조치가 장기적 관점에서 운송시장의 효율성을 재고시킬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런데 물동량의 증가에 따른 공차거리율 감소 폭보다 적재용량의 증가에 따른 공차거리율 증가폭이 훨씬 큰 것으로 분석되어, 조정에 따른 단기적 비효율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물류인프라 구축과 단기적 조절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덧붙여 영세업자의 난립에 따른 소비자 보호를 위한 보완책과 함께 수요와 공급의 시장조절 능력에 따라 단계적으로 규제를 완화에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통학회학술발표회논문집 디지털경제시대의 물류산업발전방안-국내화물운송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류재영
  2. 교통신문 3411호 화물운송시자의 진입규제 완화를 보면서 박남규
  3. 화물자동차 공차운행 감소를 위한 전략방안 신동선
  4.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지역간 화물발생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이강대
  5. 화물유통체계 합리화 방안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6. 제1차 전국 물류현황 조사 교통개발연구원
  7. 운수통신통계조사보고서 통계청
  8. Basic Econometrics Damodar N. Gujarati
  9. Econometric Analysis(4th edition) Green W. H
  10. Transportation Res. - B v.14 A Study of Aggregate Bi - Modal Urban Travel Supply, Demand and Network Behavior Using Simultaneous Equations with Autoregressive Residuals Gaudry M.
  11. Journal of Urban Economics v.30 The Long - Run Elasticity for Demand for Commuter Rail Transportation Voith R.
  12. A Simultaneous Route - Level Transportation v.24 Zhong - Ren Peng;K. J. Dueker;J. Strathman
  13. Transportation v.27 A macroscopic taxis model for passenger demand, taxi utilization and level of services Hai Yang;Yang Wing Lau;Sze Chun Wong;Hong Kam 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