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득불안정성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ssociation between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Non-regular Office Workers in Hospitals (병원 비정규직 사무직의 차별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Yang, Jong-Hyun;Chang, Dong-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5
    • /
    • pp.249-25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non-regular office work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28 employees of 7 university hospitals using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In research methodology, th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Unjust working environment, position unfairness, employment instability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Gender, education, income in general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discrimination of non-regular office woman workers was higher and job satisfaction was lower than that man workers. These results showed that hospitals need active efforts to create friendly work environment for non-regular woman workers.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adults according to age and household food security: Using the data from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연령별 건강 및 영양섭취상태 : 2010~2012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 Park, Geun Ah;Kim, Sung Hee;Kim, Seok Joong;Yang, Yoon J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0 no.6
    • /
    • pp.603-61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adults according to food security by age group. Methods: The subjects were 20~79 year old adults (n = 16,595) who participated i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food security such as secure, mildly insecure, and moderately/severely insecure groups. Dietary intake was estimated by 24-hour dietary recall. As for mental health status, the data on mental stress, sleep hours, depression symptoms, and suicide ideation were used. Results: Korean adults who were exposed to high food insecurity typically had low income levels, lived alone, and were recipients of basic welfare. In the 20~39y group, people with higher food insecurity had lower concentrations of hemoglobin and higher iron-binding capacity. In the 40~59y group, people with higher food insecurity had lower HDL-cholesterol. In the 60~79y group, people with higher food insecurity had higher total cholesterol levels, more stress, more experiences of depression symptoms, and were more suicidal. Mean intakes of energy, protein, calcium, phosphorus, potassium, vitamin A, carotene, vitamin $B_1$, vitamin $B_2$, niacin, and vitamin C were lower in the food insecure groups. Amounts of vegetables, fruits, and seasoning intakes tended to be lower in people with higher food insecurity. The effects of food security on nutrition intake were greater in the 40~59y and 60~79y groups than the 20-39y group. Conclusion: Food insecurity was related to certain health indicators such as anemia and cholesterol levels and affected mental health. The effects of food insecurity on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were different by age group.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Benefits for Water Resources Projects (수자원사업의 농업용수 공급편익 산정 방안 연구)

  • Kim, Gil-Ho;Yi, Choong-Sung;Lee, Jin-Hee;Shim, Myu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50-1554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수리불안전답은 전체 답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총 수자원이용량 대비 농업용수 이 용량은 50% 수준으로 아시아 또는 세계 평균에 비하여 매우 낮은 편이다. 또한, 과거 설치된 수리시설물이 노후화되었고, 국가의 균형적인 농촌사회 개발, 그리고 국내 농업경쟁력 제고 측면에서 추가적인 농업용수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농업용수 공급사업과 관련된 타당성분석 사례를 살펴보면 편익항목의 설정, 분석방법 및 절차에서 일관성이 없는 경우가 많고, 이처럼 일관성이 결여된 분석은 사업의 타당성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사업의 신뢰도를 잃게 되어 투자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편익산정에 앞서 농업용수 공급이 가지는 정성적인 가치를 생산측면, 소득/소비측면, 고용측면, 식량안보측면, 환경측면으로 구분하였고, 이 가운데, 편익산정 시 반영할 항목으로 생산증대편익과 가뭄피해 저감편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농업용수 편익산정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타당성조사 시 편익을 보다 실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고, 향후 관련 사업의 추진 시 사업이 갖는 타당성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Bony Bankart lesion (골성 Bankart 병변)

  • Lee, Seung-Jun;Park, J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15 no.1
    • /
    • pp.50-54
    • /
    • 2011
  • A growing number of people are enjoying sports activity with a rise in national income. In this current, many patients complain of traumatic shoulder dislocation and chronic instability with bony Bankart lesion. Computed tomography arthrography is good diagnostic modality for bony Bankart les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atients' factors such as occupation, sports activity, size of preoperative glenoid bone loss before decision of treatment. As development of arthroscopic treatmen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 of bony Bankart repair between arthroscopic surgery and open surgery. However, open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for patients with preoperative glenoid bone loss more than 25% or in need of collision sports activity.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arious work and unmet dental care needs in South Korea: focus on job and income insecurity (한국 노동시장 불안정성과 미충족 치과의료의 관련성: 고용과 소득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 Che, Xianhua;Park, Hee-Ju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v.42 no.4
    • /
    • pp.167-174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cessibility of dental care services among individuals with precarious employment in South Korea. Methods: We used the $9^{th}$ wave of the Korean Health Panel data (2015) and included 7,736 wage and non-wage earners in our study. We determined precariousness in the labor market as a combination of employment relationship and job income, and categorized individuals based on this into the following four groups: Group A comprising those who report job and income security, Group B comprising those who experience job insecurity alone, Group C comprising those who report a stable job but low income, and Group D comprising those who experience both job and income insecurity. Accessibility to dental care services was determined by experience of unmet dental care needs and unmet dental care needs caused primarily by financial burden.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precarious work on access to dental care services. Results: Individuals with job insecurity (Group B; OR=1.445; 95% CI=1.22-1.70) and both job and income insecurity (Group D; OR=1.899; 95% CI=1.61-2.24) were more likely to have unmet needs than the comparison group. Both groups B and D were also 2.048 (95% CI=1.57-2.66) times and 4.435 (95% CI =3.46-5.68) times more likely, respectively, to have unmet dental care needs caused by financial burden. Education status, health insurance, and health status were all also effective factors influencing unmet dental care needs. Conclusions: Unstable employment and low income resulted in diminished access to dental care services. Therefore, governments should consider health policy solutions to reduce barriers preventing individuals with employment and income instability from accessing adequate dental care.

2019년 거시경제 전망

  • Han, Jeong-Min;Min, Seong-Hwan
    • The Optical Journal
    • /
    • s.173
    • /
    • pp.38-44
    • /
    • 2019
  • 올해 국내 실물경기는 수출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고, 내수도 소비의 둔화와 투자의 감소 전환 등의 영 향으로 완연한 하락세를 보였다. 내수는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크게 감소하면서 급속한 조정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소비도 연 2%대 증가율로 떨어지면서 둔화세를 기록하고 있다. 수출은 물량의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단가는 기저효과로 인한 유가상승 폭의 축소 등의 영향으로 상승률이 떨어지면서 증가세가 둔화되었다. 2019년 세계경제는 선진권의 경기둔화와 개도권의 성장률 정체가 예상되는 가운데 하방 리스크 요인으로 인해 제한적 성장이 예상된다. 선진권은 미국경제의 성장률 하락이 예상되는 한편, 일본과 유로권도 전년보다는 약간 낮은 성장률이, 중국은 연 6%대 초반까지 성장률 하락이 예상된다. 국제유가는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원유의 수요 감소와 미 달러화의 가치 상승 등 금융 요인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나, OPEC의 감산 지속과 지정학적 불안정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연평균 보합이 예상된다. 환율은 미 달러화의 강세기조가 2019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하반기에는 유럽 등지의 통화긴축 전환과 미국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하면서 연평균 기준 소폭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9년 국내경제는 수출과 투자가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소폭 증가에 그치고, 소비가 전년대비 둔화세를 보이면서 2018년보다 약간 낮은 2.6%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소비는 실질소득 감소와 고용 부진 등이 예상되고, 대외 불확실성으로 인한 체감경기 약화로 증가세가 둔화되나, 보건 복지 고용의 지출 확대, 유류세 인하 등 정부 정책은 실질구매력 제고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설비투자는 대외 불확실성과 대내 구조적 취약성 등의 영향으로 인해 제한적인 증가세가 예상되며, 건설투자도 정부의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책과 SOC예산 감축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수출은 세계경기의 성장세 둔화로 인해 수출물량이 소폭 증가에 그치고, 반도체의 가격 하락과 국제유가의 횡보 전망 등으로 수출단가도 하락 압력이 커지면서 2018년 보다 낮은 3.7%의 증가율이 예상된다.

  • PDF

A Study on Wage System and Social Security for Precarious Workers: Focusing on the Award Wage of Construction Workers in Australia (불안정 노동자를 위한 임금 체계와 사회보장 사례 연구: 호주 건설 노동자의 어워드 임금 체계를 중심으로)

  • Lee, Gyunho;Lim, Woontaek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24 no.3
    • /
    • pp.109-142
    • /
    • 2018
  •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ward wage system in Australia for construction workers. Considering low wages and precarious employment situation of construction workers in general, it is of advantage especially for them in Australia. Furthermore, it seems to be instructive for Korean construction workers, who stand in more precarious and unstable situation and furthermore are lack of fair wage and social safety. After strong and longstanding labour struggle in the late 19th century in Australia, it has been established a tripartite institution called as 'tribunal' between trade unions, employers, and the government. Under the highly institutionalized form of industrial relations, it functions as an arbitration and conciliation system between labour and management. The Award wage system stands in the middle point. This Award wage system including various welfare provisions is settled by the tribunal, today renamed as Fair Work Commission. In this wage system should be defined level of minimum wages according to the various skill levels, which are in turn connected with compulsory superannuation and Medicare as well a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urthermore, it provides especially for the construction workers, who suffer from job instability, so-called 'portable benefits', which relate to long service leave and redundancy pay. Considering general conditions of precarious construction workers in Korea, In that respect, the Australian Award wage system would be very instructive for our social wage and safety system for construction workers.

A comparison of rubber smallholder livelihoods in Cambodia and Laos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소규모 고무 자작농 생계에 관한 비교 연구)

  • Andriesse, Edo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4 no.2
    • /
    • pp.167-206
    • /
    • 2014
  • 메콩 경제권(GMS)의 다양한 개발 현장 속에서 고무 나무로부터 채취하는 라텍스는 캄보디아, 라오스를 포함한 인도 차이나 반도 국가들 사이에서 주요 농업 활동으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대형 플랜테이션은 여러 부정적인 결과들을 낳고 있다. 토지 점유, 계약 농업을 통한 착취 등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농촌의 빈곤은 증가하고 있고 해외 투자자에 대한 재정적, 기술적 의존이 심화되고 환경 파괴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소규모 자작농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무 자작농은 고용을 창출하며 토지 점유를 방지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소규모 고무 자작농들의 생계를 비교하며 고무 호황으로 어떠한 이득을 얻고 어떠한 형태로 생계를 개선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의 Tboung Khmum 구역과 Somsanouk 마을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은 세 가지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하였다. 미시-생계 연구, 글로벌 가치사슬 그리고 GMS에 대한 연구들이다. 실증 분석의 초점은 생계의 변화상과 결과(고용 창출과 빈곤 탈출)이다. 전체적으로 소규모 고무 자작농은 전망이 밝았으나 앞서 언급 된 문제점들로 인해 농촌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은 아니다. 중요한 유사성은 소규모 고무 자작농의 사회경제적 공헌이다. 연구 지역 두 곳에서 자작농들은 고무 농사는 생계를 개선하는 데에 좋은 수단이라고 답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은 교육 수준은 그들의 생계 전략을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 양쪽 지역에서 응답자들은 다른 주민을 따라 고무 농사를 시작했다고 대답했으며 경제, 환경적인 위험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한 다른 유사점으로 소규모 자작농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정부의 개입이 없었다는 것이다. 자금 조달은 고무 농사의 심각한 애로 사항 중 하나였다. 명확한 차이점으로 Tboung Khmum의 자작농들은 중개 상인에게 계약 관계를 맺지 않고 라텍스를 판매했으며 Somsanouk의 경우에는 고무 가격이 국제 시장의 영향을 받음에도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상인에게 농민 전체가 같이 판매를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GMS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근대적인 경제 현상 에 농촌 공동체들이 다양하게 연결 되고 있음을 재확인한다. 게다가 Somsanouk 마을에서는 사이짓기를 하는 경우가 없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작농들에게 사이짓기를 장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Tboung Khmum 마을의 경우 고무와 더불어 고무 이전의 주요 작물이던 카사바를 같이 재배했다. 요약하면, 자작농에 의한 소규모 고무농업은 (비록 농촌의 모든 어려움을 해결할 수는 없지만) 토지점유 등 부정적 현상이 나타나는 대규모 플렌테이션에 비해 유의미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미래를 위한 보다 나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농촌 생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7년 간의 고무 생육기간 동안 농가가 감수해야 하는 사회-경제적 불안정성을 해결하고 대안적 소득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of Korea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1999-2022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시교차적 메타분석, 1999-2022)

  • Sujin Cho;Hyekyung Park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9 no.3
    • /
    • pp.361-404
    • /
    • 2023
  • This study utilized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to explore shifts in self-efficacy level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from 1999 to 2022. We expected that increases i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s, narcissism levels among students, and individualism in Korea might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over the years. Conversely, growing economic disparities, decreasing class mobility, and the increasing instability of job markets might have had negative effects on self-efficacy. To investigate this, we analyzed 293 self-efficacy studies involving Korean college students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22, encompassing a total of 88,904 participants. Our criteria included studies that used the three most prevalent self-efficacy scales in Korea, focused solely on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cross-sectional with a one-time self-efficacy measurement, and provided essential statistics for ou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elf-efficacy levels of Korean college students over the observed period from 1999 to 2022. Additionally, we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various social indicators from different time points (20, 15, 10, and 5 years prior, as well as the year of data collection). Findings revealed that both birth rate and consumer price fluctuation rate were consiste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while gross national income was positively correlated. This study is the first to assess Korea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levels using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offering foundational knowledge for implementing such analytical methods for subsequent research and providing an indirect assessment of the generational gap theor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