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of Korea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1999-2022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시교차적 메타분석, 1999-2022

  • Sujin Cho (Department of Psycholog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Hyekyung Park (Department of Psycholog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조수진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 박혜경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23.06.29
  • Accepted : 2023.08.16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This study utilized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to explore shifts in self-efficacy level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from 1999 to 2022. We expected that increases i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s, narcissism levels among students, and individualism in Korea might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over the years. Conversely, growing economic disparities, decreasing class mobility, and the increasing instability of job markets might have had negative effects on self-efficacy. To investigate this, we analyzed 293 self-efficacy studies involving Korean college students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22, encompassing a total of 88,904 participants. Our criteria included studies that used the three most prevalent self-efficacy scales in Korea, focused solely on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cross-sectional with a one-time self-efficacy measurement, and provided essential statistics for ou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elf-efficacy levels of Korean college students over the observed period from 1999 to 2022. Additionally, we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various social indicators from different time points (20, 15, 10, and 5 years prior, as well as the year of data collection). Findings revealed that both birth rate and consumer price fluctuation rate were consiste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while gross national income was positively correlated. This study is the first to assess Korea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levels using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offering foundational knowledge for implementing such analytical methods for subsequent research and providing an indirect assessment of the generational gap theor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시교차적 메타분석을 통해 1999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한국 부모들의 민주적인 양육 태도 증가, 한국 대학생들의 나르시시즘 수준 상승 및 한국의 개인주의화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증가했을 가능성과, 경제적 불평등의 증가, 계층 이동 가능성의 감소 및 취업 시장 불안정성의 증가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감소했을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22년 사이에 출판된 한국 대학생 대상 자기효능감 연구 293개(연구 참가자 수 총 88,904명)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기효능감 척도 세 가지를 사용한 연구, 연구 참가자가 한국 대학생들인 연구, 자기효능감을 1회 측정한 횡단 조사 연구 및 분석에 필요한 통계치를 제시한 연구들이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1999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20년 전, 15년 전, 10년 전, 5년 전 및 동 시점의 사회적 지표들과 자기효능감의 상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시점에서 출생률과 소비자 물가등락률은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국민총소득은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최초로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시교차적으로 분석하고, 시교차적 메타분석 기법의 적용과 다양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세대론을 간접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논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숙, 고영숙 (2016). 간호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의료커뮤니케이션, 11(2), 179-189. https://doi.org/10.15715/KJHCOM.2016.11.2.179
  2. 강경아, 조혜영 (2018).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3), 210-218. https://doi.org/10.5762/KAIS.2018.19.3.210
  3. 강부자, 최연실 (2016). 가족건강성이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3(3), 71-90.
  4. 강선모 (2013). 부모화와 안녕감의 구조관계 분석: 수치심,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6), 3409-3431. https://doi.org/10.15703/KJC.14.6.201312.3409
  5. 강소영 (2009). 간호, 보건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성향 및 능력간의 관계. 병원경영학회지, 14(3), 49-66.
  6. 강승혜 (2021). 데이터 세대론: MZ + X. 한국PR학회 학술대회, 2020(11), 83-84.
  7. 강영숙 (2017). 간호여대생의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7), 300-309. https://doi.org/10.5762/KAIS.2017.18.7.300
  8. 강현경 (2015). 일부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의 봉사활동 특성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0), 6688-6697. https://doi.org/10.5762/KAIS.2015.16.10.6688
  9. 강혜승, 김윤영 (2017).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5), 617-625. https://doi.org/10.5762/KAIS.2017.18.5.617
  10. 강혜승, 김윤영, 이홍선 (2018).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3), 389-398. https://doi.org/10.5762/KAIS.2018.19.3.389
  11. 강혜연 (2017).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25, 77-95.
  12. 강혜영 (2011). 이공계 대학생의 흥미-전공일치도, 자기효능감과 전공적응도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2(1), 115-127. https://doi.org/10.15703/KJC.12.1.201103.115
  13. 강혜자 (2011). 지연행동, 자기효능감, 자기통제 및 지각된 스트레스 간의 관계. 지역과 세계, 35(2), 233-251. https://doi.org/10.33071/SSRICB.35.2.201112.233
  14. 강혜자 (2020).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간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8(4), 461-467. https://doi.org/10.14400/JDC.2020.18.4.461
  15. 고경필, 심미영 (2014).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관계 분석. 진로교육연구, 27(1), 19-38.
  16. 고경필, 심미영 (2015).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6), 379-391. https://doi.org/10.5392/JKCA.2015.15.06.379
  17. 고두희, 원주연 (2020).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건강성의 관계: 학습몰입과 교양체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693-715.
  18. 고정미 (2014). 여성노인의 세대 간 사회적 지원교환과 자기효능감이 우울 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4), 277-286.
  19. 고정은 (2003).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관한 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1(2), 97-106.
  20. 고정은 (2004).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역량 및 건강증진행위.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2(2), 73-84.
  21. 고호빈 (2018).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3), 79-91. https://doi.org/10.35873/AJMAHS.2018.8.3.008
  22. 곽윤영, 정문자 (2010).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1(3), 121-141.
  23. 곽혜원, 황성우 (2017).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비교: 수업연한 4년제 전문대학 간호과와 4년제 간호학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2), 239-249. https://doi.org/10.14400/JDC.2017.15.2.239
  24. 구민경 (2018). 간호대학생의 양생(養生)에 미치는 영향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6), 1-18.
  25. 구현영, 임형석 (2013). 학제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 311-321.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311
  26. 국가지표체계 (2023.04.20.). 1인당 국민총소득[데이터 세트].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1
  27. 권영은, 김선영 (2018). 간호대학 졸업예정자의 임상실습 만족도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4(1), 80-88.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1.80
  28. 권일, 김미애 (2021). 분위별 자산․소득 분포 분석 및 국제비교. 국회예산정책처 경제현안분석, (103), 1-94.
  29. 김경선, 이지원 (1999). 여대생 흡연과 환경적 요인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6(2), 185-197.
  30. 김경욱 (2009). 자기효능감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2), 501-519.
  31. 김경욱, 조윤희 (2011).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8(4), 197-218.
  32. 김경은 (2011). 예비유아교사의 정서, 경험에의 개방성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18(1), 1-18.
  33. 김경희 (2021). 보건계열 대학생의 우울,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6(4), 435-441.
  34. 김경희, 김선희 (2016). 보육교사의 자기분화,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4), 289-300.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289
  35. 김남희, 김경원 (2011).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실습만족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5(4), 41-51.
  36. 김남희, 박선영 (2019).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0), 215-230.
  37. 김덕진, 이정섭 (2014).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2), 244-25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244
  38. 김동준, 이성규 (2016).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32(4), 231-255.
  39. 김명숙 (2011).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전공만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159-167.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2.159
  40. 김명아, 이경현, 박혜자, 김은정, 이일현 (2016). 간호대학 신입생의 비합리적 신념,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 적응: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8(2), 1163-1178.
  41. 김미경 (2014). 여대생의 퍼스널 이미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패션 비즈니스, 18(1), 37-49.
  42. 김미란 (2014). 대학생들은 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라 어떻게 다른 대학생활을 경험하고 있는가?: 서울의 한 여자대학교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4(4), 25-65. https://doi.org/10.32465/KSOCIO.2014.24.2.002
  43. 김미숙 (2016).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4), 504-513.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4.504
  44. 김미영, 강은희 (2021).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업스트레스, 대인관계 유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1(1), 199-203.
  45. 김미영, 정지수, 양창의 (2020).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20(6), 1267-1284.
  46. 김미옥 (2016).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6), 609-617. https://doi.org/10.5762/KAIS.2016.17.6.609
  47. 김미정, 김문옥 (2021).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 영향요인: 상대적 박탈감,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2), 859-871.
  48. 김미정, 하미경 (2020).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학회지, 1(1), 21-37.
  49. 김병수 (2018).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상태 인식 과 자기효능감이 친밀한 관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 59-65. https://doi.org/10.15207/JKCS.2018.9.1.059
  50. 김보경, 김윤수 (2021).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6(2), 238-245.
  51. 김선경, 강혜영 (2011). Holland 개인 흥미-학과 일치도와 학과 적응도와의 관계: 이공계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75-193.
  52. 김선정, 박수진 (2020). 여대생의 분노, 자기효능감, 식이태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10(4), 69-83.
  53. 김성경 (2003).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2), 215-237.
  54. 김소명, 박상연 (2014). 간호대학생의 귀인성향,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만족도의 관계.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6), 3409-3421.
  55. 김수올 (2016).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진로결정수준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2), 210-219.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210
  56. 김수올 (2017). 자기효능감, 긍정적 사고가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12), 435-444. https://doi.org/10.14400/JDC.2017.15.12.435
  57. 김수올 (2018). 간호학과 신입생의 긍정적 사고,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4(1), 435-444.
  58. 김수올, 김소명 (2015). 간호대학생의 귀인성향과 자기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9(3), 452-462. https://doi.org/10.5932/JKPHN.2015.29.3.452
  59. 김수올, 김소명 (2016).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3), 1717-1727.
  60. 김수올, 김소명 (2022).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Nursing & Health Issues, 27(1), 51-58.
  61. 김수정 (2022). 세대별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베이비붐세대, X세대, 그리고 MZ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社會科學硏究, 35(1), 29-58.
  62. 김순희, 이창은 (2011). 미용관련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7(6), 1138-1149.
  63. 김슬기, 오승은 (2022). 간호대학생의 기업가정신,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이 간호창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7(1), 121-127.
  64. 김아영 (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1(2), 1-19.
  65. 김영대, 김다혜 (2023). 물가 오르고 취업 어렵고 경제고통지수 ↑. 마이더스, 4, 66-67.
  66. 김영명 (2011). 한국 정치의 특수성에 관한 연구 서설: 분단, 압축성장, 단일사회 문화. 비교민주주의연구, 7(1), 5-35. https://doi.org/10.34164/INJEDE.2011.7.1.001
  67. 김영미, 김명회, 서수진 (2012).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효능감 및 공연불안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26, 1-15.
  68. 김영희 (2009). 일 대학 간호학생의 임상실급 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성 및 임상실습 만족도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6(3), 307-315.
  69. 김용준, 윤천성 (2016).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7), 425-453.
  70. 김우성, 허은정 (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10(4), 31-53. https://doi.org/10.17053/JCC.2007.10.4.002
  71. 김유성, 민희정 (2021).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메타인지의 관계에서의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공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8(3), 339-365.
  72. 김유진, 김현영 (2018).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미래교육연구, 8(2), 51-76.
  73. 김윤덕, 김연주, 변희원, 김경필, 유종한, 윤상진 (2022). [2022 젠더리포트] 젠더갈등 뒤엔 세대 불평등... "기성세대가 기회 빼앗아".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2/05/06/DXQ65M25DNEHNGCZSBKFT23RDM/
  74. 김윤선, 김복란 (2014). 춘천지역 대학생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식품영양과학지, 43(6), 934-942.
  75. 김윤영, 최정준, 박효석, 장은수 (2019). 보건의료계열 대학생들의 학업소진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3(4), 109-119.
  76. 김은주 (2104).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목표동기, 자기주도 학습,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2), 303-326.
  77. 김은혜, 성지민 (2014). 보건․복지 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공감력, 자기효능감의 관계.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2769-2779.
  78. 김은희, 서순림 (2014).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피로와 자기효능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3), 328-336.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328
  79. 김의연, 유효숙 (2018). 한국, 일본, 중국 대학생의 스트레스 원인, 스트레스 관리행동과 내용에 대한 비교연구. 교육문화연구, 24(1), 193-211. https://doi.org/10.24159/JOEC.2018.24.1.193
  80. 김정숙, 김성의 (2019). 일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복합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9(5), 48-54.
  81. 김정숙, 서리나, 탁정미 (2006).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및 자기 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학회지, 9(4), 5-14.
  82. 김종운, 양민정 (2014).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2), 283-299.
  83. 김종임 (2022).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8), 44-54.
  84. 김종학, 최보영 (2015).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7(1), 135-162.
  85. 김주선, 손현 (2020). 대학생의 불안애착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12(1), 63-78.
  86. 김주현, 한상완, 주원, 장후석, 백흥기 (2013). 최근 10년간 일자리 구조 변화의 특징: 고용 불안정성이 높은 저소득 임금근로자비중 증가. VIP Report, 522, 1-15.
  87. 김주혜 (2012). 부산장신대학교 재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과적응과의 관계. 부산장신 논총, 12, 471-486.
  88. 김중경, 김원종, 이선주 (2020).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7), 120-126. https://doi.org/10.5762/KAIS.2020.21.7.120
  89. 김지윤, 이기학 (2017).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흥미유연성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36(3), 107-124.
  90. 김지혜, 전해옥 (2016).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영향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지, 25(2), 123-132.
  91. 김해란, 최은영, 강희영, 김성민 (2011). 시뮬레이션기반 응급간호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5-13.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1.005
  92. 김현경 (2020). 대학생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생활태도의 매개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4(2), 105-115.
  93. 김혜옥, 조혜지 (2021).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9(5), 489-500. https://doi.org/10.14400/JDC.2021.19.5.489
  94. 김혜정 (2020).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8), 315-322.
  95. 김홍중 (2009). 육화된 신자유주의의 윤리적 해체. 사회와 이론, 14, 173-212.
  96. 김환, 임진희 (2017). 신조어를 활용한 사회적 아카이빙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52), 315-342.
  97. 김효정, 정미애 (2010).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43-5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43
  98. 김희수, 최정선 (2017). 예비유아교사의 행동억제/활성화체계,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2(6), 169-184.
  99. 김희수, 홍성훈 (2006). 대학생의 전공계열에 따른 인지양식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적응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7(2), 1-21.
  100. 나성윤, 조혜정 (2019).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를 매개변인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7(1), 121-130.
  101. 나예솔, 김원중 (2019).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 의사소통유형과 부모-자녀 관계의 질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교육이론과 실천, 28, 31-59.
  102. 남윤정, 박성희 (201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다문화수용성 인지, 정의, 행동 차원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5), 45-62.
  103. 남희은, 이미란, 배은석, 김선희, 백정원 (2014). 대학생의 개인주의 - 집단주의 가치성향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디아스포라 연구, 8(2), 227-255.
  104. 노지영, 박수진, 배두이 (2012).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간호사이미지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동서간호학회연구지, 18(2), 88-94.
  105. 도은수, 서영숙 (2013). 학생의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20(2), 129-136.
  106. 라미진 (2022). 개인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이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5(9), 1719-1740.
  107. 류지영 (2010). 고교 조기졸업 대학생들의 성격유형과 기질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청소년학연구, 17(2), 59-86.
  108. 마여연, 김해란 (2015).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3(4), 87-99.
  109. 문미영 (2020).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3), 277-292.
  110. 문양호, 김완일 (2006). 사관생도와 대학생의 스트레스 분석 및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485-501.
  111. 문태형 (2013).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지능 및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아동교육, 22(4), 131-145.
  112. 민소영, 정승교 (2006). 간호학과 학생의 자기효능감 정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간호학회지, 15(3), 299-307.
  113. 민희홍 (2019). 학제에 따른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관련 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19(4), 525-533.
  114. 박경미, 이진령, 강승희 (2020). 전문대학생의 성향적 낙관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3), 1115-1137.
  115. 박경연 (2012). 임상실급 전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손씻기와 실천에 대한 지각된 통제행위와 자기효능감의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19(3), 313-321.
  116. 박동영 (2010). 태권도 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결정태도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19(4), 319-331.
  117. 박동영 (2020).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자아탄력성이 현실충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4), 648-657. https://doi.org/10.5392/JKCA.2020.20.04.648
  118. 박동영, 김미조 (2017). 간호대학생의 가족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6), 561-570.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561
  119. 박미라, 윤지원 (2021). 대학생의 교수-학생상호작용, 교우관계, 자기효능감이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문화와 융합, 43(12), 325-338.
  120. 박미정, 전원희 (2016).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희망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1), 34-41.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1.34
  121. 박미향 (2019).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631-649.
  122. 박병량 (1984). 대학진학의 관련요인 분석. 교사교육연구, 8, 27-59.
  123. 박선일, 이경미 (2012).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학습태도, 자기효능감 및 자기개발의지의 관계.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3(1), 1-12.
  124. 박선정, 김명종, 곽근혜 (2017). 간호대학생의 분만시뮬레이션 교육이 학습태도와 비판적사고 성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1), 293-304. https://doi.org/10.35873/AJMAHS.2017.7.11.028
  125. 박성희, 변은경 (2020).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표준주의 지식,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7), 127-135. https://doi.org/10.5762/KAIS.2020.21.7.127
  126. 박소영 (2019).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돌봄능력, 자기효능감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7(10), 395-403. https://doi.org/10.14400/JDC.2019.17.10.395
  127. 박순주 (2017). 간호대학생의 손씻기 지식과 수행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행위통제의 조절 및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지, 24(3), 219-229.
  128. 박순주, 배다은 (2015).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대인불안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0), 305-3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305
  129. 박신영, 윤경희 (2017).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관계: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8), 405-434.
  130. 박승관 (2003). 한국 사회의 근대화 과정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세계의 변동. 한국정치연구, 12(1), 153-179.
  131. 박영신, 김의철 (2006).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1), 161-195.
  132. 박영주, 장문영 (2015).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13(2), 43-51. https://doi.org/10.18064/JKASI.2015.13.2.043
  133. 박윤미, 양지인 (2019). 취업스트레스가 학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검증. 취업진로연구, 9(2), 55-77. https://doi.org/10.35273/JEC.2019.9.2.003
  134. 박의정, 정경순 (2018).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및 학과만족도의 관계. 대한통합의학회지, 6(3), 113-121. https://doi.org/10.15268/KSIM.2018.6.3.113
  135. 박의정, 정경순 (2020).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대인관계능력. 대한통합의학회지, 8(3), 153-162. https://doi.org/10.15268/KSIM.2020.8.3.153
  136. 박재완 (2017). 압축산업화 이후 한국경제: 과제와 개혁 기조. 한국경제포럼, 10(2), 1-37.
  137. 박재흥 (2009).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제와 사회, (81), 10-34.
  138. 박종희, 이재창 (2018).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 709-718. https://doi.org/10.35873/AJMAHS.2018.8.1.070
  139. 박주영, 우정희, 김두리 (2017). 간호대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5), 107-115. https://doi.org/10.15207/JKCS.2017.8.5.107
  140. 박지원, 김춘자, 김용순, 유문숙, 채선미, 안정아, 유혜라 (2012).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 효능감, 리더십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4(3), 223-231. https://doi.org/10.3946/kjme.2012.24.3.223
  141. 박창식, 이형수 (2011). 보견계열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18(2), 63-71.
  142. 박창식, 이형수, 조병모 (2011).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15(4), 325-349.
  143. 박현숙, 배영주, 정선영 (2002).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응방법 및 학업․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1(4), 621-631.
  144. 박형숙, 윤정미, 이선녀, 이숙련, 이미순 (2018).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 수준과의 관계.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3(1), 35-45.
  145. 박효정, 박주희 (2015).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2(3), 21-39.
  146. 박효진, 유은주, 이화명 (2020).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전공만족도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 310-322.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310
  147. 방소연, 김순이, 양경미 (2010). 대학생의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2), 265-271.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2.265
  148. 배윤경, 류소연, 한미아, 최성우 (2015).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 대한보건연구, 41(2), 99-109. https://doi.org/10.22900/KPHR.2015.41.2.009
  149. 변은경 (2019). 간호여대생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11), 661-671.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11.059
  150. 변은경, 김미영 (2022).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8(1), 167-174.
  151. 변은경, 안은선 (2019).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유머감각, 인지적 정서조절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련성.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8), 75-84.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8.008
  152. 부성숙, 김반재 (2012). 예비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1(4), 649-664.
  153. 사람인 (2022). 인재 유출 심각...기업 84.7%, 1년 이내 조기퇴사자 발생! 사람인 취업 뉴스. https://www.saramin.co.kr/zf_user/help/live/view?idx=108787&listType=news
  154. 서영숙, 정추영 (2017).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5(4), 1040-1047. https://doi.org/10.15205/KSCHS.2017.12.31.1040
  155. 서요한 (2018).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과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과의 인과적 관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5(4), 1156-1174.
  156. 서우석 (2015).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4), 149-171.
  157. 서인균, 이연실 (2015).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 및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2(1), 117-147.
  158. 서재영, 한은정 (2022). 청년세대가 보는 대학교육의 가치에 대한 인식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40(1), 373-397.
  159. 석소현, 신동수, 권자연, 김귀분 (2005).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11(2), 101-109.
  160. 석소현, 신동수, 김귀분 (2006).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5(4), 475-481.
  161. 석소현, 신동수, 오희, 김호미, 김귀분 (2005).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11(5), 51-57.
  162. 설진선, 김수연 (2020). 직장 내 세대갈등 해결을 위한 사내 커뮤니케이션과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의 역할은 무엇일까?: X․Y세대 직장인들과의 질적 인터뷰를 통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59(1), 251-290.
  163. 성미혜 (2005).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2), 316-327.
  164. 성원경, 김진영 (2015).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직인․적성의 관계 연구. 직업교육연구, 34(5), 55-71.
  165. 손강숙, 주영아 (201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권위적 양육태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온라인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7(2), 107-130.
  166. 손정희, 김찬석, 이현선 (2021).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고유 특성에 대한 각 세대별 반응 연구: MZ세대, X세대, 베이비붐세대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77, 202-215.
  167. 손향숙 (2004).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진로의사 결정 유형과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12, 61-79.
  168. 손혜경 (2021).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인간호과학학술지, 14, 1-9.
  169. 송미령, 김은경, 유수정 (2010).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우울 의심노인과 정상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4, 61-80.
  170. 송소현, 장윤경, 김주형 (2009). 대학생의 통제감, 사회비교추구성향 및 자기효능감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3(1), 27-39. https://doi.org/10.5932/JKPHN.2009.23.1.027
  171. 송연선, 송현정 (2015). 지방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3), 21-42.
  172. 송위진 (2009). 2000년대 한국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창조'와 '통합'의 지향. 과학기술학연구, 9(2), 1-27.
  173. 송지은, 이정윤 (2013). 진로미결정 여대생 집단의 하위유형 연구. 상담학연구, 14(4), 2107-2123. https://doi.org/10.15703/KJC.14.4.201308.2107
  174. 신관호, 이충열, 김준원 (2001). 한국의 자연실업률 측정과 외환위기 이후의 실업률 상승에 대한 이해. 한국경제의 분석, 7(1), 1-55.
  175. 신기수, 조미경 (2020). 여자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risisonomy, 16(12), 123-132.
  176. 신승옥 (2018).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만족도가 진로태도성숙도에 주는 영향. 융합정보논문지, 8(6), 85-91.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6.085
  177. 신우리, 송헌재, 전병힐 (2020). 최저임금이 물가상승에 미치는 영향. KERI Insight, 20(6), 1-20.
  178. 심미영, 이둘녀, 김은희 (2016).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관계: 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5), 227-236. https://doi.org/10.5762/KAIS.2016.17.5.227
  179. 안세윤 (2017).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결과 기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정상담학연구, 2(2), 75-94.
  180. 안세윤, 김병석 (2019).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통합사회인지 진로모형 구조분석. 교정상담학연구, 4(2), 51-77.
  181. 안홍순 (2016). 청년세대를 위한 사회적 형평성 제고 방안. 사회복지정책, 43(3), 59-83. https://doi.org/10.15855/SWP.2016.43.3.59
  182. 양경희, 이정란, 박복남 (2012).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8(1), 5-13.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005
  183. 양선이 (2014).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7), 334-345.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334
  184. 양승경, 정미라 (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11), 613-629.
  185. 양정남, 최은정, 문영란, 박건영, 박순희 (2011). 자기효능감, 사회복지옹호태도가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 16, 24-47.
  186. 양혜주 (2013). 전문대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사고개발, 9(3), 103-118.
  187. 어용숙, 이경리, 최송실 (2011).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및 부모와의 독립이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6), 3073-3084. 
  188. 연문희 (1985). 청소년들의 발달과업 성취를 위한 상담방법 연구. 교육연구논총, 7(1), 171-193.
  189. 오선영, 왕수경 (2012). 자기효능감에 관련된 대학생의 흡연, 식습관, 영양지식, 비만도: 대전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23, 141-157.
  190. 오원옥 (2011).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7(4), 222-229.
  191. 오유미, 문혁준 (2018). 예비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4), 89-110.
  192. 오윤정 (2017).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5(7), 307-3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7.307
  193. 왕희정, 정선아, 박효은, 유혜숙, 배연의, 김지영 (2016).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9), 619-627. https://doi.org/10.5762/KAIS.2016.17.9.619
  194. 우복진, 이혜경 (2019). 대학생의 건강지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6(4), 1290-1302.
  195. 우영지, 이기학 (2011). 여대생의 문화성향 군집에 따른 다중역할계획태도, 성취동기, 자기효능감의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405-425.
  196. 원영희, 한정란 (2019). 세대갈등과 세대통합에 대한 고찰: 노년교육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노년교육연구, 5(1), 63-85.
  197. 위성욱 (2016). 여대생의 교우관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학습상황에서의 무기력행동과 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9), 277-286. https://doi.org/10.35873/AJMAHS.2016.6.9.026
  198. 유경희, 양진향 (2014).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3), 435-442.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3.435
  199. 유문숙, 손연정, 유일영, 홍성경 (2006). 4년제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간호수기능력과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3(3), 343-350.
  200. 유미옥, 김혜영, 임은미 (2019).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20(3), 695-718.
  201. 유미진, 한혜숙 (2021). 간호대학생의 대인불안과 의사소통능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7(3), 298-305.
  202. 유연화, 서정연 (2020).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기본심리욕구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1115-1134.
  203. 유은주, 김순구, 정숙희 (2013). 미용관련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1(9), 279-287. https://doi.org/10.14400/JDPM.2013.11.9.279
  204. 유정임, 홍혜영 (2020).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이버 불링 주변인으로서의 방어행동 간의 관계: 도덕적 이탈과 죄책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4), 1647-1668. https://doi.org/10.23844/KJCP.2020.11.32.4.1647
  205. 유지은 (2021). 기독교교육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전공 만족도, 취업 의지의 관계. 성경과신학, 98, 71-96.
  206. 유창호, 장석진 (2019).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478-494.
  207. 윤갑정, 우호정 (2012). 예비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 전문성 발달 목표와 걱정이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3), 161-185.
  208. 윤미진, 권영채 (2018).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의사소통 능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11), 433-440. https://doi.org/10.14400/JDC.2018.16.11.433
  209. 윤순영, 김민숙 (2014).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및 간호윤리 가치관 관련성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2), 363-372. https://doi.org/10.14400/JDC.2014.12.2.363
  210. 윤신영 (2020.09.07.). '비난'보다 '이해' 먼저하는 방역 대책이 필요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39568
  211. 윤정애, 윤영숙 (2011). 치과위생사와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방사선안전관리 지식 및 태도에 대한 비교. 한국치위생학회지, 11(5), 729-739.
  212. 이경민, 신민철 (2009). 무용전공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행동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59, 169-184.
  213. 이경임, 정경순 (2017).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도, 대학생활만족도간의 관계. 대한통합의학회지, 5(3), 91-99. https://doi.org/10.15268/KSIM.2017.5.3.091
  214. 이경희, 방은령 (2011). 대학생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교정부학보, 15(1), 325-348. https://doi.org/10.18397/KCGR.2011.15.1.325
  215. 이기라 (2021). 지배이데올로기와 신자유주의 통치성: 1990년대 한국의 '세계화 이데올로기'와 '영어 열풍' 사례 분석. 담론201, 24(3), 231-264. https://doi.org/10.17789/DISCOU.2021.24.3.007
  216. 이기형 (2000). 제2장. "한류현상"의 비교문화적인 함의에 관한 연구: 한류를 둘러싼 담론과 문화논리에 대한 고찰.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54-74.
  217. 이나영, 유지영 (2019). 발달단계별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학연구, 57(3), 119-145.
  218. 이내영, 정한울 (2013). 세대균열의 구성 요소: 코호트 효과와 연령 효과. 의정연구, 40, 37-83.
  219. 이려정 (2011). 대학생의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 간 영향연구: 동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3(7), 489-509.
  220. 이만종 (2006). Analysis of crimes in Korea and preventive measures. 한국공안행정학회보, 0(23), 533-560.
  221. 이명심, 하대현 (2022).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8), 341-364.
  222. 이미라, 전현숙 (2019). 융복합시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융합정보논문지, 9(5), 55-64.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2.064
  223. 이미란, 이혜원, 탁정화 (2017).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그릿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491-512.
  224. 이민하 (2023). MZ세대의 아트페어에 대한 인식과 행동 특성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7(2), 15-27.
  225. 이병인, 이지효 (2009). 예비 유아특수교사들의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유아특수교육연구, 9(3), 61-81.
  226. 이병준, 이지인, 허은정 (2022). 세대 간의 문화 갈등, 융합 그리고 학습: 문화예술기관조직의 사례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7(3), 221-255. https://doi.org/10.15815/KJCAES.2022.17.3.221
  227. 이삼식 (2006). 저출산 원인구조와 정책방향. 보건복지포럼, 111, 5-17.
  228. 이선경, 박선웅, 팔로마베나비데스, 허용희 (2014). 한국 대학생들의 나르시시즘 증가: 시교차적 메타분석(1999-201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3), 609-625.
  229. 이선영, 김윤영 (2016).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4(3), 309-318. https://doi.org/10.14400/JDC.2016.14.3.309
  230. 이선영, 이정숙, 김소연 (2019).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7(1), 249-257. https://doi.org/10.14400/JDC.2019.17.1.249
  231. 이선영, 이정숙, 김윤영 (2017).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5), 401-409. https://doi.org/10.14400/JDC.2017.15.5.401
  232. 이세진 (2010).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소비성향 연구: 현재의 X세대를 중심으로. 社會科學硏究, 23(1), 83-112.
  233. 이소영, 이명주, 권선화 (2014).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대처방식. 한국치위생학회지, 14(1), 67-74.
  234. 이수정 (2004). 여대생의 대인불안, 자기효능감 및 신체상과의 관계 연구. 여성연구논총, 19, 161-181.
  235. 이숙정 (2011).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5), 235-253.
  236. 이숙정, 유지현 (2008).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2(3), 589-607.
  237. 이순례, 김형수 (2017).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역과 세계, 41(2), 157-183.
  238. 이승현, 배정이 (2018).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서의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7(3), 293-302.
  239. 이승희, 박길순 (2011).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복식문화연구, 19(5), 1075-1087. https://doi.org/10.29049/RJCC.2011.19.5.1075
  240. 이시은 (2009). 대학생의 부모-자녀 결합 형태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또래애착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2), 481-500.
  241. 이영만 (2001). 교육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양식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9, 97-132.
  242. 이영숙 (2021).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5), 3027-3040.
  243. 이영은, 정귀임, 권수혜, 안은선, 태영숙 (2018).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프로그램 학습성과 성취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전인간호과학연구소, 11, 20-30.
  244. 이용관 (2018). 청년층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계층이동 가능성 영향요인 변화 분석. 보건사회연구, 38(4), 465-491. https://doi.org/10.15709/HSWR.2018.38.4.465
  245. 이원령, 이한우 (2008). 예비특수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에 관한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24(3), 123-142.
  246. 이유나 (2016). 대학생 초보운전자의 심리적 요인과 안전운전행동간의 관계.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8(1), 1-10.
  247. 이유리, 김남중 (2013). 여자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8), 97-120.
  248. 이유진, 김정미 (2013).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애착, 자아분화, 학과만족도간 관계. 유아교육연구, 33(2), 145-162. https://doi.org/10.18023/KJECE.2013.33.2.007
  249. 이윤희, 안나 (2022).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1), 33-41.
  250. 이인영, 박혜경 (2020). 문화를 비추는 거울: 대중음악 선호에 반영된 한국인의 문화성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3), 221-257.
  251. 이재명 (2009). 정서표현갈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2(1), 1-18.
  252. 이정미, 조영주 (2017). 대학생 자원봉사 참여동기가 자기효능감, 리더십생활 기술을 이중매개로 자원봉사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11(3), 429-458.
  253. 이정민, 남승미 (2021).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2(6), 1157-1170.
  254. 이정숙, 이선영 (2016).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0(4), 239-248.
  255. 이정숙, 이영옥, 배한주 (2019).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4(4), 359-365.
  256. 이정애 (2013).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사회인지적 변인 간의 구조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32(3), 97-116.
  257. 이정인 (200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166-174. https://doi.org/10.5977/JKASNE.2009.15.2.166
  258. 이주연, 이기학 (2014).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사회인지진로이론적 관점에서. 진로교육연구, 27(1), 65-81.
  259. 이지영 (2010).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트레스硏究, 18(3), 219-227.
  260. 이지원, 정향미 (2006). 여대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행,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건강상태의 관계.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5), 1807-1816.
  261. 이지은, 곽혜원 (2017). 간호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조화 간의 관계. 의료커뮤니케이션, 12(1), 31-40. https://doi.org/10.15715/KJHCOM.2017.12.1.31
  262. 이진숙, 권려원, 이연규, 홍경주 (2020).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회복 탄력성 및 셀프리더십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융합연구, 4(4), 63-74.
  263. 이춘엽, 박영주 (2018).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에 따른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8(3), 13-23.
  264. 이춘엽, 박영주 (2022).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및 시간관리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6(4), 285-295.
  265. 이하정, 박미라, 윤지원 (2022).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학풍토, 교수-학생상호작용, 직업탐색,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3), 1737-1750.
  266. 이한우, 이미희 (2013). 대학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양가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9(3), 181-200.
  267. 이현숙 (2015). 대학생의 스트레스 정도와 자아존중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복지, 17, 89-100.
  268. 이현숙 (2016).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스트레스 정도,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4), 163-172. https://doi.org/10.15207/JKCS.2016.7.4.163
  269. 이현숙 (2017).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 139-148. https://doi.org/10.15207/JKCS.2017.8.1.139
  270. 이혜경, 이계희, 서부덕, 권경희 (2017). D 지역대학생의 음주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2), 1055- 1067.
  271. 이혜원, 탁정화, 이미란 (2017).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성격 5요인과 자기효능감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37(3), 249-268.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3.012
  272. 이효정, 이경주, 곽소영 (2021). 간호대학생의 게임중독,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3), 101-109. https://doi.org/10.5762/KAIS.2021.22.3.101
  273. 임기태 (2020). 대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강화를 위한 자기주도학습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분석. 고등교육, 3(1), 55-75. https://doi.org/10.22838/JHER.2020.3.1.55
  274. 임미희, 구인영, 최혜숙 (2011). 치위생화 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의 적응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11(5), 811-822.
  275. 임민숙, 이상민 (2020).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1(5), 71-84.
  276. 임선영 (2010).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김천과학대학 논문집, 36, 43-50.
  277. 임순연 (2012).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통제소재,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12(2), 181-188.
  278. 임순연, 조영식, 배현숙 (2011).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귀인성향,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11(3), 313-323.
  279. 임채식 (2017).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7(1), 191-197.
  280. 임현주, 황세현, 이지영 (2021). 치위생과 학생들의 생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극복력의 관계.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9(4), 18-24.
  281. 임현진 (2005). 한국사회의 세계화와 다중적 근대화.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195-212.
  282. 장경숙, 최소라, 이자옥 (2020).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이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743-763.
  283. 장은주, 이숙정 (2016).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산업교육연구, 33, 75-102.
  284. 장인순, 박승미 (2021). 자기효능감,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간호대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28(2), 121-129.
  285. 장후석 (2002). 월드컵의 성과와 평가, 한국방송광고공사, 7.
  286. 장휘숙 (2008).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시작시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1(4), 109-126.
  287. 장희정 (2015). 간호대학생의 수면, 자기효능감, 직관과의 관계.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3(1), 23-31.
  288. 전대근 (2020). MZ세대의 과시소비성향이 자기사용과 선물 상황에서 의복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 韓服文化, 23(4), 107-119.
  289. 전미경, 오재우 (2017).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무례함, 소진,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5(1), 339-346. https://doi.org/10.14400/JDC.2017.15.1.339
  290. 전미라, 노정식 (2010).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자기의식과 신체이미지, 자기효능감 및 무용수행 불안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21, 1-20.
  291. 전미순, 신지수, 손정인, 양선희, 양혜원, 오세라, 위윤지, 유재은, 황은영 (2020).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및 학과만족도의 관계. 다문화건강학회지, 10(2), 1-10.
  292. 전민경 (2013).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영향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7(4), 119-129.
  293. 전상진 (2002). 세대사회학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인구학, 25(2), 193-230.
  294. 전인희, 조주연 (2016).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다문화건강학회지, 6(1), 49-60.
  295. 전재희, 최은희, 김진희 (2020). 간호대학생의 손씻기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신념, 자기효능감, 손씻기 태도를 중심으로. 근관절건강학회지, 27(2), 132-141.
  296. 정경순, 박의정 (2019).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대한통합의학회지, 7(4), 253-263. https://doi.org/10.15268/KSIM.2019.7.4.253
  297. 정귀임 (2016). 부산시내 일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영향요인. 전인간호과학학술지, 9, 55-65.
  298. 정덕조 (2006). 여대생들의 비만정도가 체중조절 행위, 신체상, 자기 효능감, 건강증진 행위 및 정신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5(4), 365-376.
  299. 정미현 (2017). 간호대학생의 인성,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9), 302-314. https://doi.org/10.5762/KAIS.2017.18.9.302
  300. 정선영 (2021). 양육사회화 가치관 변화의 연령, 기간, 세대 효과: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 수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0(2), 55-74.
  301. 정숙희, 전명희 (2012). 기독대학생들의 인터넷 사용과 사회부적응과의 관계: 공동체리더십훈련의 동료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신앙과 학문, 17(2), 175-200.
  302. 정순둘, 이아영, 박민선 (2022). 사기업 직장인들의 조직 내 세대갈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동시장에서의 세대연대 모색. 노인복지연구, 77(4), 195-226.
  303. 정승교, 김춘길 (2010). 대학생의 우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2(1), 41-50.
  304. 정연재, 주소영 (2019). 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학습참여와 교양교육만족도 간의 관계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1271-1296.
  305. 정연재, 주소영 (2022).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4).
  306. 정연희, 송민선 (2018). 간호계열과 비간호계열 여대생의 자기효능감, 우울 및 건강증진행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4(3), 290-299.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3.290
  307. 정영희, 임현주 (2012). 부산지역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방사선 이용에 대한 의식도, 지식 및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2), 81-89.
  308. 정예슬, 방경숙 (2020). 간호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 1029-1045.
  309. 정우식, 김은혜 (2017). 휴먼서비스 분야 전공대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18(2), 165-186.
  310. 정은혜, 임지영 (2021).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통제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과 자기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9(3), 325-340.
  311. 정인숙 (2018).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8(5), 51-58.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5.051
  312. 정효주, 채민정 (2018).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8), 403-417. https://doi.org/10.35873/AJMAHS.2018.8.8.039
  313. 정효진 (2020). 대학생의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세대 담론에 관한 연구: '온라인 토론' 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19(4), 229-273.
  314. 정훈인, 김승현, 홍지은 (2019). 무도 전공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대한무도학회지, 21(3), 93-110. https://doi.org/10.35277/KAMA.2019.21.3.93
  315. 조명숙, 김지홍 (2022).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코로나우울,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3), 194-204.
  316. 조명현 (2021). 대학생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7), 587-600. https://doi.org/10.5392/JKCA.2021.21.07.587
  317. 조미경, 장혜영 (2015).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영향 요인.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5), 2795-2808.
  318. 조성연, 이정희 (2014).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불안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교사이미지의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1), 63-73.
  319. 조은정 (2003).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도움추구태도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6, 25-45.
  320. 조진성, 홍혜영 (2018). 대학생의 분리 개별화 수준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6(4), 5-16.
  321. 조진희, 진미경 (2018). 대학생의 성격우선순위 유형에 따른 정서, 자기효능감,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대한 차이연구. 인간발달연구, 25(2), 145-162.
  322. 조혜경, 정인숙 (2018). 간호학과 신입생의 의사소통능력,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8(3), 25-32.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3.025
  323. 조혜영, 권희경 (2022). 대학생의 학습역량 및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7), 629-641.
  324. 주소영, 정연재 (2020).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인재 역량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0), 687-708.
  325. 주영주 (2020).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셀프리더십 및 자기효능감의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4), 745-762.
  326. 주현정, 전호선, 박미경 (2019).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7(11), 395-407. https://doi.org/10.14400/JDC.2019.17.11.395
  327. 주호현, 김덕원 (2017).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급구조학회지, 21(3), 85-95. https://doi.org/10.14408/KJEMS.2017.21.3.085
  328. 지민경 (2009).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흡연지식이 금연지도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9(1), 25-34.
  329. 진은영, 이명인, 김윤이 (2017).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의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4), 317-326. https://doi.org/10.14400/JDC.2017.15.4.317
  330. 차은정, 이순희 (2016). 대학생의 결핵에 관한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이 결핵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5), 2857-2870.
  331. 채명옥 (2019).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과 전문직자아개념. 디지털융복합연구, 17(7), 147-156. https://doi.org/10.14400/JDC.2019.17.7.147
  332. 최경아, 김혜원 (2016).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와의 의사소통과 부의 정서표현 및 양성평등의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11), 313-340.
  333. 최금희, 홍민주, 권수혜 (2019).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영향요인: 간호전문직관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지, 26(2), 107-116.
  334. 최대위 (2020). 라떼는 말이야. 새가정, 67(730), 15-19.
  335. 최미숙, 장영호, 윤현경 (2014).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14(2), 155-162.
  336. 최순옥, 박진경, 김상희 (2015).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2), 182-189.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2.182
  337. 최승혜, 이해영 (2013).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808-816.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808
  338. 최은영 (2019). 전문대학 신입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1), 287-295.
  339. 최은정, 송윤식 (2012).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구강보건행동 실천의지의 연관성. 한국치위생학회지, 12(3), 485-493.
  340. 최정명, 김선미 (2021). 정서인식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9(2), 383-389.
  341. 최효진, 이은주 (2012). 간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9(2), 261-268.
  342. 통계청 (2017.11.07.). 2017 사회조사 결과: 복지, 사회참여, 문화와 여가, 소득과 소비, 노동.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6/3/index.board?bmode=read&bSeq=&aSeq=36436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343. 통계청 (2021). 소비자물가지수 분석 사례. https://kostat.go.kr/menu.es?mid=b70202040000
  344. 통계청 (2023). 성/연령별 실업률. [데이터 세트].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DA7102S&conn_path=I2&language=en.
  345. 하연희, 강신영, 김초롱, 김민정 (2022). 예비유아교사의 학교만족도, 학업노력 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인문사회 21, 13(3), 1843-1858.
  346. 하태희 (2016).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7(3), 763-772.
  347. 하혜진, 김은아 (2021).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이미지의 관계: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6(4), 211-217.
  348. 하혜진, 김은아, 김하나 (2021). 산호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생활양식에 미치는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3), 361-369. https://doi.org/10.15207/JKCS.2021.12.3.361
  349. 한광석 (2009). 대학생과 기성세대의 정치성향이 이슈관여와 신문분리 및 능동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2(1), 45-76.
  350. 한국리서치 (2022). 한국리서치 정기조사 여론속의 여론.
  351. 한귀영 (2020). 21대 총선에서 드러난 세대갈등 양상. 동향과 전망, (109), 68-73.
  352. 한금선, 박영주, 김근면, 오연재, 진종희, 강현절 (2008).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형, 자기효능감, 감정조절, 대처방법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7(1), 28-34.
  353. 한송희 (2019). 한국 재난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2010년대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5(2), 98-116.
  354. 한승희 (2016).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과의 관련성.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7), 117-129. https://doi.org/10.35873/AJMAHS.2016.6.7.012
  355. 한승희 (2019).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6), 581-590.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6.056
  356. 한승희, 박선화 (2019).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2), 675-686.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2.066
  357. 한영미 (2020). 남자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8(5), 367-374. https://doi.org/10.14400/JDC.2020.18.5.367
  358. 한은경 (2005). 한류의 소비자 지각상 경제적 파급효과: 한류 파생 문화산업 및 한국 소비재산업에 대한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9(3), 325-360.
  359. 한장헌 (2016).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험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587-597.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587
  360. 한주랑, 김장묵 (2017). 보건의료분야 대학생들의 메타인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5(6), 273-282. https://doi.org/10.14400/JDC.2017.15.6.273
  361. 함연숙, 김화순 (2012). 학제에 따른 졸업학년간호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영향 요인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19(3), 363-373.
  362. 허은정, 김우성 (2003). 베이비붐세대 가계와 X세대 가계의 소비지출 및 저축. 소비문화연구, 6(3), 79-97.
  363. 허재경 (2017.03.31.). 대학생 82.9%, 취업 스트레스에 우울증.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703310861320878
  364. 허재홍 (2008). 사회불안 발생과정에 자기효능감과 체험회피가 미치는 영향: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73-1189.
  365. 현안나 (2018). 예비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가치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학교 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공공정책연구, 35(1), 1-38.
  366. 홍기석 (2018). 청년실업의 결정요인 연구. 한국경제의 분석, 24(2), 91-152. https://doi.org/10.22823/JKEA.24.2.201808.91
  367. 홍성례 (2011). 청년기 남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연구, 29(6), 71-87.
  368. 홍성례 (2012).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4), 71-92.
  369. 홍애순 (2022). 예비유아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31(2), 277-294.
  370. 홍영근, 이경숙, 송호준, 백미숙 (2012). 자기초점주의, 특성불안, 자기효능감이 사회공포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1), 267-286.
  371. 홍은영, 이은희, 김근면, 전은주, 박빈희 (2017). 대학생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건강관리역량을 중심으로. 재활간호학회지, 20(2), 129-139.
  372. 홍정주 (2018). 간호대학생의 간호실무역량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통계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3(8), 123-131. https://doi.org/10.9708/JKSCI.2018.23.08.123
  373. 홍찬숙 (2013). 1980~90년대 한국의 저출산 현상: 젠더 불평등 및 그 문화적 의미. 한국여성학, 29(3), 1-40.
  374. 홍혜영 (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5. 황미진, 신유순, 김병수 (2009).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 수준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17(2), 195-212.
  376. 황선재 (2022). 인구고령화와 세대갈등: 자원배분을 둘러싼 세대간 형평. 사회과학연구, 33(2), 149-172. https://doi.org/10.16935/EJSS.2017.33.2.005
  377. 황성자 (2006).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2), 205-213.
  378. 황소영 (2016). 예비유아교사의 희망과 낙관성,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6), 67-92.
  379. 황영아 (2018). 한국 성인의 발달과업 인식과 교육요구 분석. 한국성인교육학회, 21(1), 65-98.
  380. e-나라지표 (2022). 취학률 및 진학률. [데이터 세트].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20
  381. Achterkamp, R., Hermens, H. J., & Vollenbroek-Hutten, M. M. R. (2015). The influence of success experience on self-efficacy when providing feedback through technolog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2, 419-423. https://doi.org/10.1016/j.chb.2015.06.029
  382. Adler, N. E., Epel, E. S., Castellazzo, G., & Ickovics, J. R. (2000). Relationship of subjective and objective social status wi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unctioning: Preliminary data in healthy, White women. Health Psychology, 19(6), 586-592. https://doi.org/10.1037/0278-6133.19.6.586
  383. Aguayo, D., Herman, K., Ojeda, L., & Flores, L. Y. (2011). Culture predicts Mexican Americans' college self-efficacy and college performance. Journal of 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4(2), 79-89.
  384. Am, O. (2020). Peterson, rand, and antifragile individualism. The Journal of Ayn Rand Studues, 20(2), 410-416. https://doi.org/10.5325/jaynrandstud.20.2.0410
  385. Arnett, J. J. (2000).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55(5), 469-480. https://doi.org/10.1037/0003-066X.55.5.469
  386. Arnett, J. J., Ramos, K. D., & Jensen, L. A. (2001). Ideological views in emerging adulthood: Balancing autonomy and community.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8(2), 69-79. https://doi.org/10.1023/A:1026460917338
  387. Arnett, J. J. (2007). Emerging adulthood: What is it, and what is it good for?.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1(2), 68-73. https://doi.org/10.1111/j.1750-8606.2007.00016.x
  388.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89.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390. Bandura, A. (1991).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248-287.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2-L
  391. Bandura, A., Reese, L., & Adams, N. E. (1982). Microanalysis of action and fear arousal as a function of differential levels of perceived self-effica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1), 5-21. https://doi.org/10.1037/0022-3514.43.1.5
  392. Brender-Ilan, Y., & Sheaffer, Z. (2019). How do self-efficacy, narcissism and autonomy mediate the lick between destructive leadership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ur. Asia Pacific Management Review, 24(3), 212-222.
  393. Brookes, J. (2015). The effect of overt and covert narcissism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beyond self-estee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85, 172-175. https://doi.org/10.1016/j.paid.2015.05.013
  394. Bushman, B. J., & Baumeister, R. F. (1998). Threatened egotism, narcissism, self-esteem, and direct and displaced aggression: Does self-love or self-hate lead to viol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1), 219-229. https://doi.org/10.1037/0022-3514.75.1.219
  395. Cheng, Y. H. A. (2020). Ultra-low fertility in East Asia. Vienna Yearbook of Population Research, 18, 83-120.
  396. Chow, J. T., Hui, C. M., & Lau, S. (2015). A depleted mind feels inefficacious: Ego-depletion reduces self-efficacy to exert further self-control.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5(6), 754-768. https://doi.org/10.1002/ejsp.2120
  397. Costanza, D., Darrow J. B., Yost, A. B., & Severt, J. B. (2017). A review of analytic methods to study generartional differences: Strengths and limitations. Work, Aging and Retirement, 3(2), 149-165. https://doi.org/10.1093/workar/wax002
  398. Dohi, I., & Fooladi, M. M. (2008). Individualism as a solution for gender equality in Japanese society in contrast to the social structure in the United States. In Forum on Public Policy: A Journal of the Oxford Round Table (Online) (Vol. 1, No. 12, pp. 1-12).
  399. Duffy, B., Hewlett, K., Murkin, G., Benson, R., Hesketh, R., Page, B., Skinner, G., & Gorrfried. (2021). Culture wars in the UK: How the public understand the debate. Kings College London.
  400. Eagly, A. H., Nater, C., Miller, D. I., Kaufmann, M., & Sczesny, S. (2020). Gender stereotypes have changed: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of U.S. public opinion polls from 1946 to 2018. American Psychologist, 75(3), 301-315. https://doi.org/10.1037/amp0000494
  401. Elias, H., Noordin, N., & Mahyuddin, R. H. (2010).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 relation to adjust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Social Sciences, 6(3), 333-339. https://doi.org/10.3844/jssp.2010.333.339
  402. Elliott, A., & Lemert, C. (2006). The new individualism: The emotional costs of globalization (2nd ed.). Routledge.
  403. Engels, M., Wahrendorf, M., Dragano, N., McMunn, A., & Deindl, C. (2021). Multiple socail roles in early adulthood and later mental health in different labour market contexts. Advances in Life Course Research, 50, 1-13.
  404. Erikson, E. H. (1956). The problem of ego identity.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4, 56-121. https://doi.org/10.1177/000306515600400104
  405. Erikson, E. H. (1968). In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Gecas, V. (1989). The social psychology of self-efficacy. Annual Review of Sociology, 15, 291-316.
  406. Erikson, E. H. (1994). Identity and the life cycle. W. W. Norton & Company.
  407. Gergen, K. J. (1973). Social psychology as hist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6(2), 309-320. https://doi.org/10.1037/h0034436
  408. Gurin, P., Gurin, G., & Morrison, B. M. (1978). Personal and ideological asp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Social Psychology, 41(4), 275-296. https://doi.org/10.2307/3033581
  409. Han, J., Chu, X., Song, H., & Li, Y. (2015). Social capital,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efficacy. Applied Economics and Finance, 2(1), 1-10.
  410. Hasting, R. P., & Brown, T. (2002).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with autism, parental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107(3), 222-232. https://doi.org/10.1352/0895-8017(2002)107<0222:BPOCWA>2.0.CO;2
  411. Hayek, J., Schneider, F., Lahoud, N., Tueni, M., & de Vries, H. (2022). Authoritative parenting stimulates academic achievement, also partly via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wards getting good grades. Plos one, 17(3), 1-20.
  412. Hofstede, G. (2001).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2nd ed.). Sage.
  413. Judge, T. A., Jackson, C. L., Shaw, J. C., Scott, B. A., & Rich, B. L. (2007). Self-efficacy and work-related performance: The integral role of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107-127.
  414. Kang-Yi, C. D., Grinker, R. R., & Mandell, D. S. (2013). Korean culture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 Disorders, 43, 503-520.
  415. Kashima, Y., & Foddy, M. (2002). Time and self: The historical construction of the self. In Kashima, Y., Foddy, M., & Platow, M (Eds.), Self and identity: Personal, social, and symbolic (pp.181-206). Erlbaum.
  416. Kavanagh, D. J., & Bower, G. H. (1985). Mood and self-efficacy: Impact of joy and sadness on perceived capabilitie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9(5), 507-525. https://doi.org/10.1007/BF01173005
  417. Khalid, S., & Zubair, A. (2014).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creativity among employees of advertising agencies. Parkistan Journal of Psychology Research, 29(2), 203-221.
  418. Klassen, R. M. (2004). Optimism and realism: A review of self-efficacy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9(3), 205-230. https://doi.org/10.1080/00207590344000330
  419. Konaszewski, K., Kolemba, M., & Niesiobedzka, M. (2021). Resilience, sense of coherence and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stress coping style among university students. Current Psychology, 40(8), 4052-4062. https://doi.org/10.1007/s12144-019-00363-1
  420. Kononovas, K., & Dallas, T. (2009). A cross- cultural comparison of perceived stress and self-efficacy across Japanese, U.S. and Lithuanian students. Psychologija, 39, 59-70. https://doi.org/10.15388/Psichol.2009.0.2594
  421. Kumar, R. & Uzkurt, C. (2011).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elf efficacy on innovativeness and the moderating impact of cultural dimens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and Cultural Studies, 4(1), 1-15.
  422. Landis, J. R., & Koch, G. G.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of categorical data. Biometrics, 33(1), 159-174. https://doi.org/10.2307/2529310
  423. Laviolette, E. M., Lebebvre M. R., & Brunel, O. (2012). The impact of story bound entrepreneurial role model on self-efficacy and entreprenuerial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ial Behavior & Research, 18(6), 721-742.
  424. Lee, H. C., & McNulty, M. P. (2003). Korea's economic crisis and cultural transition toward individualism.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Institute Cabinet Office, 71, 1-56.
  425. Levinson, D. J. (1977). The mid-life transition: A period in adult psychosocial development. Psychiatry: Journal for the Study of Interpersonal Processes, 40(2), 99-112. https://doi.org/10.1080/00332747.1977.11023925
  426. Linyan, W., Insoo, O., Mingji, L. (2019).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tudents' stres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2), 349-376. https://doi.org/10.15753/aje.2019.06.20.2.349
  427. Magaletta, P. R., & Oliver, J. M. (1999). The hope construct, will, and ways: Their relations with self-efficacy, optimism, and general well-be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5), 539-551. https://doi.org/10.1002/(SICI)1097-4679(199905)55:5<539::AID-JCLP2>3.0.CO;2-G
  428. Masud, H., Ahmad, M. S., Jan, F. A., & Jamil, A. (2016).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performance of adolescents: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7(1), 121-131. https://doi.org/10.1007/s12564-015-9413-6
  429. Morton, S., Mergler, A., & Boman, P. (2014). Managing the transition: The role of optimism and self-efficacy for first-year Australi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Psychologists and Counsellors in Schools, 24(1), 90-108.
  430. Natovova, L. & Chylova, H. (2014).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well-being and behavioural makers in managing stress at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in Education and Science, 7(1), 14-18. https://doi.org/10.7160/eriesj.2014.070103
  431. OECD. (2021). Education at a glance 2021. OECD Indicators. https://www.oecd-ilibrary.org/education/education-at-a-glance-2021_b35a14e5-en
  432. Page, M. J., McKenzie, Bossuyt, P. M., Boutron, I., Hoffmann, T. C., Mulrow, C. D., Shamseer, L., Tetzlaff, J. M., Akl, E. A., Brennan, S. E., Chou, R., Glanville, J., Grimshaw, J. M., Hrobjartsson, A., Lalu, M. M., Li, T., Loder, E. W., Mayo-Wilson, E., McDonald, S., McGuinness, L. A., Stewart, L. A., Thomas, J., ... Moher, D. (2020). The PRISMA 2020 statement: An updated guideline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88, 1-11.
  433. Park, J. H., & Kwon, Y. I. (2009). Parental goals and parenting practices of upper-middle-class Korean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7(1), 58-75. https://doi.org/10.1177/1476718X08098354
  434. Park, Y., Kim, T-S., & Park, S. W. (2016). Change in goal orientation of Korean high school athletes: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1999-2014.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94, 342-347. https://doi.org/10.1016/j.paid.2016.02.003
  435. Peng, L. & Luo, S. (2021). Impact of social economic development on personality trait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2001-2016.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71, 1-11.
  436. Raskin, R., Novacek, J., & Hogan, R. (1991). Narcissism, self-esteem, and defensive self-enhancement. Journal of Personality, 59(1), 19-38. https://doi.org/10.1111/j.1467-6494.1991.tb00766.x
  437. Roisman, G. I., Masten, A. S., Coatsworth, J. D., & Tellegen, A. (2004). Salient and emerging developmental tasks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Child Development, 75(1), 123-133.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4.00658.x
  438. Rudolph, C. W., Costanza, D. P., Wright, C., & Zacher, H. (2020). Cross-temporal meta-analysis: A conceptual and empirical critique.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35(6), 733-750. https://doi.org/10.1007/s10869-019-09659-2
  439. Saligumba, I. P. B., & Tan, D. A. (2018). Gradual release of responsibility instructional model: Its effects on students' mathematics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y Research, 7(8), 276-291.
  440. Scholz, U., Dona, B. G., Sud, S., & Schwarzer, R. (2002). Is general self-efficacy a universal construct? Psychometric findings from 25 countrie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18(3), 242-251.
  441. Schonfeld, P., Brailovskaia, J., Bieda, A., Zhang, X. C., & Margraf, J. (2016). The effects of daily stress on positive and negative mental health: Mediation through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16(1), 1-10. https://doi.org/10.1016/j.ijchp.2015.08.005
  442.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443. Shiner, R. L., & Masten, A. S. (2002). Transactional links between personality and adaptation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6(6), 580-588. https://doi.org/10.1016/S0092-6566(02)00508-1
  444. Siddiqui, S. (2015). Impact of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ian Psychology, 2(3), 5-16.
  445. Sim, H. S., & Moon, W. H. (2015).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stress, depression and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8(35), 1-8.
  446. Sousa, C. M. P., Coelho, F & Guillamon-Saorin, E. (2012). Personal values, autonomy, and self-efficacy: Evidence from frontile service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20(2), 159-170. https://doi.org/10.1111/j.1468-2389.2012.00589.x
  447. Soysa, C. K., & Wilcomb, C. J. (2015). Mindfulness, self-compassion, self-efficacy, and gender as predictors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well-being. Mindfulness, 6, 217-226. https://doi.org/10.1007/s12671-013-0247-1
  448. Tam, C. L., Chong, A., Kadirvelu, A., & Khoo, Y. T. (2012). Parenting styles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Malaysian scenario. Global Journal of Human Social Sciences, 12(14), 19-25.
  449. Twenge, J. M. (1997a). Changes in masculine and feminine traits over time: A meta-analysis. Sex Roles, 36(5-6), 305-325. https://doi.org/10.1007/BF02766650
  450. Twenge, J. M. (1997b). Attitudes toward women, 1970-1995: A meta-analysi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1), 35-51.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7.tb00099.x
  451. Twenge, J. M. (2000). The age of anxiety? The birth cohort change in anxiety and neuroticism, 1952-1993.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6), 1007-1021. https://doi.org/10.1037/0022-3514.79.6.1007
  452. Twenge, J. M. (2001). Changes in women's assertiveness in response to status and roles: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1931-1993.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 (1), 133-145. https://doi.org/10.1037/0022-3514.81.1.133
  453. Twenge, J. M., & Campbell, W. K. (2001). Age and birth cohort differences in self-esteem: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5(4), 321-344. https://doi.org/10.1207/S15327957PSPR0504_3
  454. Twenge, J. M., Campbell, W. K., & Freeman, E. C. (2012). Generational differences in young adults' life goals, concern for others, and civic orientation, 1966-2009.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2(5), 1045-1062. https://doi.org/10.1037/a0027408
  455. Twenge, J. M., Konrath, S., Foster, J. D., Campbell, W. K., & Bushman, B. J. (2008). Egos inflating over time: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Journal of Personality, 76(4), 875-902.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8.00507.x
  456. Wang, X., Wang, Y., & Ye, Y. (2023).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predicts e-learning engagement in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1-16.
  457. Wright, B. J., O'Halloran, P. D., & Stukas, A. A. (2016). Enhancing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psychological techniques.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s, 87(1), 36-46. https://doi.org/10.1080/02701367.2015.1093072
  458. Wuepper, D., & Lybbert, J. L. (2017). Perceived self-efficacy, poverty, and economic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Resource Economics, 9, 383-404. https://doi.org/10.1146/annurev-resource-100516-053709
  459. Xin, Z., Zhang, L., & Liu, D. (2010). Birth cohort changes of chinese adolescents' anxiety: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1992-2005.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8(2), 208-212. https://doi.org/10.1016/j.paid.2009.10.010
  460. Yuan, M., Spadaro, G., Jin, S., Wu, J., Kou, Y., Van Lange, P. A. M., & Balliet, D. (2022). Did cooperation among strangers decline in the United States?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of social dilemmas (1956-2017). Psychological Bulletin, 148(3-4), 129-157. https://doi.org/10.1037/bul0000363
  461. Yusuf, M. (2011). The impact of self-efficacy,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 2523-2626. https://doi.org/10.1016/j.sbspro.2011.04.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