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생존

검색결과 1,972건 처리시간 0.032초

맥엽 및 항산화 조성물의 생리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아질산염 소거능을 중심으로 - (Funct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Barley Leaves and its antioxidant mixture - Study on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

  • 홍이진;박형근;주상섭;김경탁;이성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33-337
    • /
    • 2003
  • 맥엽과 이를 이용한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에 존재하는 nitrite scavenging효과와 이에 따른 발암원으로 부터의 보호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맥엽과 항산화 조성물 모두 수층에 비하여 메탄올층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M-BL50의 0.01 mg/ml 농도에서 약 64.3%, M-AM 0.01 mg/ml 처리군이 이보다 약간 높은 68.3% 정도로 나타내었다. 마우스 단핵구 기원인RAW 264.7(macrophage, mouse)에 맥엽과 항산화 조성물의 수층과 메탄올층을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수층 처리군에 비해 메탄올층 처리군에서 모두 세포 생존율이 더 낮게 측정되었으며 모든 시료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이 억제되었다. 특히, M-AM을 처리한 군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가장 낮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항산화물 첨가에 의해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상승됨을 알 수 있었으며 $IC_{50}$ 수치 또한 메탄올층과 A-AM시료 처리군에서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 내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역시 마찬가지로 맥엽 입자 크기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층 처리군에 비해 메탄올층 처리군과 항산화물을 첨가한 군에서 모두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어 맥엽 및 기타 항산화물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에서의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메뚜기류 추출물의 염증 조절작용 및 세포사멸보호 효과 (Anti-inflammatory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n Hydrogen Peroxide-induced Cytotoxicity of Grasshopper Extracts)

  • 박자영;허진철;우상욱;윤치영;강석우;황재삼;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96-802
    • /
    • 2006
  • 항산화능이 있는 곤충 추출물을 검색하기 위하여 초고속 스크리닝 시스템을 이용하여 몇 가지의 hit를 검색하였다. 메뚜기를 각 용매별 (DW, DMSO, Ethanol, Methanol)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능 검색과 함께 과산화 수소의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항산화 관련 실험인 DPPH, FRAP assay의 경우 실험에 사용된 모든 메뚜기류의 모든 에탄올과 메탄을 추출물에서 $50{\sim}60%$ 정도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SH-SY5Y cells를 이용한 과산화 수소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해서는 과산화 수소만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이 14% 정도인데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벼메뚜기의 DW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생존율이 50% 정도로 증가하여 높은 세포보호효과를 보였다. 또한 항산화 실험과 연관지어 염증관련 분자 표적 유전자인 Cox-2의 억제능을 살펴보기 위해 Cox-2 promoter assay를 실시하였는데 DMSO 추출물에서 좋은 활성을 보였을 뿐 다른 추출물에서는 억제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는 메뚜기류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를 이용하는 기능성 소재에 적합한 천연물질이라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앞으로 생물활성과 유용성분의 분리정제를 통해 순수 물질을 확보하여 보다 많은 연구 결과의 축적이 필요하다.

어성초, 자소엽, 녹차 식물 추출 혼합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the Extract Mixtures of Perilla frutescens, Houttuynia cordata and Camellia sinensis)

  • 이경은;이은선;강상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3-1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기능을 가진 자소엽, 어성초 그리고 녹차 추출물들과 이들 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미백, 세포독성실험을 진행하였다. 자소엽, 어성초와 녹차의 추출물을 동일 양으로 혼합하였을 때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졌으며, 추출물을 혼합한 경우 낮은 농도인 $10{\mu}g/mL$에서도 80.2%, 98.0%의 DPPH와 ABTS 라디칼을 소거시키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효과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자소엽과 녹차추출물 그리고 각 추출물의 혼합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저해효과가 증가되었다. HaCaT 세포를 사용한 세포독성실험의 경우 자소엽, 어성초 추출물의 경우 세포생존율이 무처리 대조군과 같거나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어성초추출물의 경우 $100{\mu}g/mL$에서 무처리 대조군 보다 1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녹차와 각 식물 추출물 혼합물의 경우 $500{\mu}g/mL$ 이상에서는 무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세 가지 식물의 추출물 혼합물이 $100{\mu}g/mL$ 농도일 때 세포에 안전하며 높은 항산화 활성과 함께 tyrosinase 저해 효과가 있었다.

인진쑥 영지버섯 균사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및 티로시나제억제 활성 연구 (Studies o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Ganoderma lucidum fermented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 정용운;이창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8-323
    • /
    • 2018
  • 최근 소득이 증가하고 건강에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한 미용 화장품보다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가진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천연물에 대하여 항산화, 항염 및 미백 등의 활성을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천연물의 활성과 더불어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는 영지버섯 균사체와의 발효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영지버섯 균사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저농도의 인진쑥 추출물 보다는 다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의 RAW 264.7 세포의 NO 생성 억제활성을 통한 항염활성 평가에 앞서 세포 생존율을 평가한 결과, 흥미롭게도 인진쑥 추출물은 $150{\mu}g/mL$의 농도부터 RAW 264.7 세포에 대한 생존율을 유의적으로 크게 감소시켰으나, 영지 균사 발효 시 세포 생존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영지 균사 발효 시 인진쑥의 독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진쑥 추출물 $25{\mu}g/mL$의 처리는 동일 농도의 인진쑥 영지버섯 균사발효 추출보다 오히려 유의적인 수준에서 RAW 264.7 세포의 NO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인진쑥 영지버섯 균사발효는 인진쑥 추출물 자체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어 이로 인해 더욱 높은 농도의 영지버섯 균사발효 추출물 처리를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지 균사 발효에 의한 미백 기능성 소재 발굴이라는 본 연구의 취지에 부합하는 결과가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 처리구에서 확인되었으며, $200{\mu}g/mL$ 농도에서는 양성 대조군인 arbutin 보다 약 3.66배의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이 tyrosinase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비인강암의 치료 결과 분석 (Analysis of Treatment Result of Nasopharyngeal Cancer)

  • 류삼열;김상보;김재철;우홍;박인규;박준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77-182
    • /
    • 1990
  • 경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84년부터 1988년까지 치료를 받은 비인강의 편평 상피 세포암과 림프 상피종 42예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치료를 거부한 13명의 중앙 생존 기간은7.8개월이었다. 원발 병소에 적어도 70 Gy이상, 그리고 경부 임파절에 60 Gy이상 투여된 환자는 29명이었고, 이들은 모두 제 3 혹은 제 4 병기에 속하였다. 20예의 편평 상피 세포암의 국소 관해율은 $75\%였고, 림프 상피종 9예는 모두 완전 관해를 보였다. 원발병소와 임파절의 재발율은 $27.6\%였으며, 원격 전이가 치료 실패의 주종을 이루어서, 림프 상피종에서는 6예의 치료 실패 중 4예, 편평 상피 세포종에서는 10예 중 4예에서 나타났다. 3년 생존율은 편평 상피 세포종에서 $40.5\%였고, 림프 상피종에서는 $25.9\%였다. 이는 림프 상피종의 국소 관해율이 더 높았으나 원격전이가 더 빈번하고 비효율적인 화학요법의 결과라 생각된다. 경부 임파절의 위치와 생존율과의 상관 관계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상으로 미루어, 보조적 확학 요법이 생존에 큰 이득이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더 신중하고 적극적 인 화학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마우스에서 방사선 영향에 대한 녹차와 Diethyldithiocarbamate의 조절효과 (Modification of Gamma-radiation Response in Mice by Green Tea and Diethyldithiocarbamate)

  • 김세라;김성호;이해준;오헌;류시윤;이윤실;김태환;조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08-111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손상 경감효과를 나타내는 기호식품을 발굴하고자 국내에서 주로 음용되고 있는 녹차의 방사선 손상 경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선량 및 저선량 방사선을 마우스에 조사하고 소장움 생존, 내재성 비장 조혈세포집락 형성 및 apoptosis 유발 등을 관찰하였으며, 그 효과를 방사선 방호효과가 알려져 있는 diethyldithiocarbamate(DDC)와 비교$.$관찰하였다. 생존 소장움의 수는 방사선 조사 전 녹차 투여군(경구투여군 : p<0.01, 복강내 투여군 : p<0.01) 및 DDC 투여군(p<0.005)에서 유의성있게 증가되었다. 내재성 조혈세포집락 형성은 방사선 조사 대 조군에 비하여 조사 전 복강내 투여한 군(p<0.05)에서만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냈으며, DDC 투여군에서는 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 방사선에 의한 apoptotic cell의 형성은 방사선 조사 전 녹차 투여군(경구 투여군 : p<0.005, 복강내 투여군 : p<0.05)및 DDC투여군 (p<0.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녹차의 방사선 손상 경감효과를 조혈세포의 생존과 회복, 소장움 세포 생존 및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 유발억제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는 독성이 적은 천연물이라는 관점에서 방사선 손상 경감 음료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유효 분획 및 성분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랫드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셀레늄이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독성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enium on Cadmium-Induced Toxic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 Hepatocyte Primary Culture)

  • 임태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4-99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랫드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카드뮴에 의해 유발된 세포독성 및 지질과산화에 대한 셀레늄의 항산화 및 간보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1, 10, 50, 100 및 $50\;{\mu}M$의 다양한 농도의 카드뮴으로 6시간 동안 간세포를 일차 배양하였다. 간세포 생존율과 지질과산화는 각각 MTT 방법과 TBARS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와 간보호 효과는 각각 GOT와 GSH-Px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카드뮴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켰으며 지질과산화는 증가시켰다. 세포 생존율과 지질과산화 간에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r=-0.943, p<0.01)가 관찰되었다. 카드뮴은 $50\;{\mu}M$ 농도에서 GOT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나 GSH-Px의 활성은 감소시켰다. 실험 2에서는 셀레늄이 카드뮴에 의해 유발된 독성 및 지질과산화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100\;{\mu}M$의 카드뮴과 0.01, 0.1 및 1 ppm의 다양한 농도의 셀레늄으로 6시간 동안 간세포 일차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과 GSH-Px의 활성은 1 ppm의 셀레늄에 의해 증가되었다. 반면에, 지질과산화와 GOT의 활성은 0.1 ppm의 셀레늄에 의해 감소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셀레늄이 카드뮴에 대한 항산화 및 보호 효과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제로서 수용성 Oleanolic Acid 유도체의 합성 및 활성 평가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Soluble Oleanolic Acid Derivatives for use as Melanogenesis Inhibitors)

  • 안현진;윤영경;이재덕;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1권6호
    • /
    • pp.653-6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ethoxy polyethylene glycol)과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유도체(mPEG-OA derivative)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유도체에 대하여 수용액에서의 용해도와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mPEG-OA 유도체의 합성된 구조는 1H NMR, 13C NMR 및 FT-IR로 확인하였다. 수용액에서 mPEG-OA 유도체와 OA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mPEG-OA 유도체는 13 mg/mL, OA는 0.013 mg/mL로서, mPEG-OA 유도체의 수용성이 OA보다 1,000배 높게 나타냈다. 세포생존율은 B16F10 melanoma cells에서, mPEG-OA 유도체의 세포생존율(250 μM)이 OA로 처리한 세포생존율(62.5 μM)과 비교하여 4배 증가하였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생존율이 영향을 받지 않는 농도에서 측정하였으며, mPEG-OA 유도체는 50 μM의 농도에서 36%, OA는 10 μM의 농도에서 35%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melanoma cells에서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 억제 수준은 mPEG-OA 유도체는 50 μM의 농도에서 59%, OA는 10 uM의 농도에서 49%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mPEG-OA 유도체와 OA의 수용성 및 미백활성을 비교한 결과, mPEG-OA 유도체는 OA보다 뛰어난 수용성을 가지며,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토복령(土茯笭)이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산화질소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Smilacis Glabrae Rhizoma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th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 이강희;정준희;김이화;이재혁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6권3호
    • /
    • pp.69-76
    • /
    • 2009
  • Objectives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습, 해독, 통리관절등의 효능이 있는 토복령이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lipopolysaccharide(LPS)로 처치하여 생성되는 nitric oxide(NO)와 prostaglandin $E_2$($PGE_2$)에 억제작용이 있는지 관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Methods : 토복령이 RAW264.7 대식세포주에 세포독성이 유무를 관찰하기 위하여 농도별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LPS로 염증유발된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토복령의 농도별 처치가 NO 및 $PGE_2$ 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NO 및 $PGE_2$ assay를 수행하였다. Results : 토복령의 농도별 처치가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세포독성을 유발하는지 MTT assay로 측정한 결과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토복령은 LPS처치로 인하여 증가된 NO 및 $PGE_2$ 생성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관찰하였다. Conclusions : 본 연구를 통하여 토복령은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LPS로 유도된NO 및 $PGE_2$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추후 염증질환의 치료제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고추나물의 면역 활성 (Immune Activities in Hypericum perforatum L.)

  • 박진홍;김대호;최근표;류이하;이강윤;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4-308
    • /
    • 2004
  • St. John's Wort의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두 종류의 추출물 모두 1.0 mg/ml의 높은 농도에서도 정상세포 생존율을 80% 이상으로 유지시켜 정상세포의 안전성이 유지되었다. St. John s wort 추출물은 0.5 mg/ml의 농도에서 간암세포주인 Hep3B에 대하여 80% 이상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위암세포주인 AGS에 대하여서는 75% 이상의 높은 생육억제율을 나타내었고,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 대하여서는 증류수 추출물들은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약 80%정도, 에탄올 추출물들은 90% 이상의 매우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 추출물의 정상세포독성에 대한 암세포의 억제율을 나타내는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4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기작을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고추나물의 뿌리 물 추출물들은 인간 B와 T 세포주의 생육을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T세포의 생장을 2배 이상, B-cell의 경우 $1.2{\sim}1.5$배 이상의 생육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물 추출물들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면역세포의 생육 증진활성을 나타내었다. 배양기간에 따른 면역세포의 생육과 면역물질인 cytokine의 생산을 보면 배양 5일째 두 종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교하여 약 1.5배의 생장율을 나타내었고, B 세포에서 IL-6은 에탄올 추출물이 배양 5일째 0.5 mg/ml의 농도에서 최고 6.9 pg/cel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T 세포의 $TNF-{\alpha}$도 에탄올 추출물이 배양 6일째 최고 6.8 pg/cel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