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호주거특성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5초

참여디자인을 통한 세대(世代)별 공동주택 평면계획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nning Preference Property of Apartment Housing according to the Participatory Design Method through Generation)

  • 조성우;오세규;유포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10
    • /
    • 2014
  • In the upcoming 21st century, we predict change and development in various aspects. Some fundamental causes of change in housing lifestyles such as the change in family make-up are gradually becoming more and more realistic problems as the society is shifting to the younger generation family make up refer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agedpopulation, growth of single households, the drop in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the change in the economic situation and technology level, and change in valu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ore away from the standardized supply of housing and to approach apartment housing plans in multilateral aspects,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housing demands of different generations and the influence that the current housing type has on demand forecasting by case studies of Unit Living Space planning that we will utilize the participating design method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took part in.

조망 대상 위치에 따른 아파트 단위세대 조망 경관 선호 특성 분석 (Preference Analysis of the View in an Apartment Uni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View Target)

  • 문지원;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99-10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each view in an apartment unit in terms of the quality.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two research methods; the field survey on 181 apartment complexes in Daegu, and the preference evaluation on 24 cases sampled in the sense of its location, i.e. inside or outside of a complex. In the field survey, view targets were categorized into various items such as a building, a road, a mountain, a tree, another apartment, the sky, and so 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ance from a viewer to view targets and view of the level in an apartment were analyzed. In the preference evaluation, 24 cases, each one has one of the follows; the natural view, the artificial view, and the combined view of the both, were chosen and those were evaluated by 167 interviewees. As a result,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were drawn as follows; 1) The view, the combination of buildings, roads, mountains, trees, apartments, and the sky, is usually seen in an apartment unit. 2) The type of view target is more significant to a person than its location. 3) The natural and combined view are preferred to the artificial one. 4) In the case of the same outside view, a person likes the open view more than the somewhat covered one.

호텔 진입공간의 유형별 인지특성 및 이미지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Image Formation Structure of Hotel Access Space)

  • 이정림;조용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9-21
    • /
    • 2009
  • This study classified visual perception types of access space at 17 five-star hotels in Jejudo and examined their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image formation structures in an effor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mportant for designing the elevation and the access spaces of a hot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ess space image of experimental hotels showed more negative evaluations at both city hotels and resort hotels, viewing angle (upward angle) was also positively evaluated between $10^{\circ}{\sim}12^{\circ}$ and $18^{\circ}$ and central type in arrangement type and detour access and straight access types in access circulation type were positively evaluated. When viewed from an upward angle of $10^{\circ}$ to $12^{\circ}$, the most important factors were as plasticity, decorativeness, and creativity; from $18^{\circ}$ it was such factors as harmony and peculiarity; and at $45^{\circ}$ it was factors like decorativeness and stability. In considering the various access type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 straight access type were peculiarity and harmony; for one-time curved access type it was by decorativeness, creativity, Peculiarity, and stability; and for detour access types it was decorativeness, stability, and peculiarity. Influential of factors affecting image formation and plasticity and harmony factors and the form had more influences on image formation.

주거공간의 부엌 환경 특성에 대한 뇌졸중 환자의 선호 (Preferences of Stroke Patients for Kitchen Environment in Residential Space)

  • 백다래;정연진;강석구;김희정;이춘엽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0
    • /
    • 2014
  •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부엌 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도, 부엌 디자인 선호도, 부엌에 필요한 물품 선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부산 지역의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97명을 대상으로 2014년 2월 24일부터 3월 1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결론 : 부엌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에서 작업할 수 있는 의자 사용, 미끄럼방지 타일의 설치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부엌 디자인 선호 조사에서는 미끄럼방지 매트, 난방설비의 보일러, 서랍식 수납, L자형 안전손잡이, 높낮이 조절이 되는 싱크대, 가스누출 자동차단기, 터치식 수도꼭지, ㄷ자형 주방, 환기시설은 천장형 후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엌에 필요한 물품 선호에서는 내려오는 싱크대 선반, 채 썰기 가위, 손 다침 방지 칼을 선호하였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부엌환경에 대한 선호를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뇌졸중 환자의 부엌 사용의 자립도, 낙상 예방 및 주방용품의 안전성과 편리성이 고려된 부엌 설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PDF

거주자의 성격유형별 가구배치의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ial Furniture Layout Preference Characteristics with the Personal Types)

  • 김남효;서정연;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244-251
    • /
    • 2005
  • With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cience and environmental psychology, there have been growing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ial design preferences and personality types. MBTI personality types have been earning popular credibility. MBTI means Myers-Briggs Type Indicator. It is based on Carl Jung's theory of psychological type. This study is based on Myers-Briggs theory to explain residential furnishing preference and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bi-polar personality types-Extroversion/Introversion, Sensing/Intuition, Thinking/Perceiving and residential furnishing preference. These tests were conducted to two hundred and twelve adult residents who live in Seoul, Korea. These tests were analyzed several significances by Chi-Square with SPSS for windows software. (E) Extroverted residents prefer layouts for interaction with guests. (I) Introverted residents prefer centripetal layout around the bed. (S) Sensing residents prefer practical and functional layouts. (N) Intuitive residents prefer personal and conceiving layouts. (T) Thinking residents prefer for attribute of space. (F) Feeling residents for familiar conversation. (J) Judging residents prefer systematic and complete layouts. (P) Perceiving residents prefer adaptable and flexible layouts. In conclusion, personality types can have a determining role in preference of residential furnishing layouts. This study suggests that residential designers should take into account clients' personality types prefer effective designing and should provide a variety of alternatives reflecting clients' preferences. This will promote clients' pleasantness and satisfaction in dwelling at home.

거주자우선주차제의 시행전략 (Determining the Components of Residential Parking Permint Program)

  • 황기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23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설문조사를 통해 주민들이 실정에 맞는 거주자우선주차제의 실행 요건을 결정하는데 있다. 연구의 구성은 제2장에서 거주자우선주차제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 하고, 제3장에서는 실행요건의 결정을 위한 연구분석의 틀을 제시하며, 제4장에서는 설문조 사의 방법과 조사내용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결론과 정책건 의로 맺음한다. 이론적으로 분석결과 거주자우선주차제는 주차수요관리와 주차장공급촉진이 라는 2원적인 목표를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결과 허가요금, 시행시간대 등의 실 행요건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외부요인들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외부요인 들은 거주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주거환경적특성, 주차행태적 특성, 기타특성 들로 구성된 다. 실행요건을 결정하기 위해 주민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금수준 결정시 차고지 공급 목적일 경우 높은 수준의 요금을 부과하되 지역적 소득수준을 감안 하여야 하며, 목적이 수요관리에 있을 때는 외부인에 대한 규제만 하면 되 기 때문에 주민들에게는 무료이거나 가능한 낮은 요금을 징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공 간적 범위는 주민들의 근거리주차 선호 때문에 블록단위 또는 세가로를 중심으로 시행하되, 집앞돌폭이 4m 미만이거나 8m 이상일 경우에는 공간적 범위를 넓게 잡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3) 주차면 배정은 독점적 사용권을 부여하는 방식이 공공재의 사유화라는 부작용 및 주차면의 비효율적 사용이라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공동이용방식을 채용함이 바 람직 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외부인 주처허가는 전용주택가 지역에서는 허용하여도 그리 큰 문제는 없을 것이나, 외부인 주차수요가 많은 지역에서는 무조건적 허락보다는 요금지불, 주차확인증과 같은 제도적 보완을 통해 허용해야 한다. 5) 시행시간대 결정시 전용주거지역 에서는 야간만 실시하여도 문제가 없으나 그외 지역에서는 주차수요를 고려하여 주간 또는 전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주차문제가 하루종일 발생하는 경우와 출퇴근시 주차문제 가 많은 곳에서는 하루종일 시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차고지 확보율이 지나치게 낮은 곳 에서는 야간시 주민반대에 부디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차고지 여건이 개선될 때 까지는 시행을 보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서울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의 시각적 특성연구 (Research on the Visual Historical & Cultural Resources of Seongbuk-dong)

  • 이원호;김재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8-127
    • /
    • 2013
  • 본 논문은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한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시각적 특성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성북동에 위치하고 있는 역사문화자원 주변 경관사진 30장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관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16개 형용사를 척도화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요인이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성북동 내 역사문화자원이 분포하고 있는 주변에 나타나는 경관에 대한 30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16개의 형용사 어휘에 대한 선호도 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 평균치는 3.72로 분석되었는데, 이들 중 4.5점 이상의 사진은 VP8번, VP9번, VP10번, VP12번, VP15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높은 선호를 보인 곳은 마포 최사영 고택과 성락원 주변경관으로, 이는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대한 서울시 경관계획에 의해 고도를 제한함으로써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에서 문화재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북한산에서 북악산으로 이어지는 조망경관이 양호하게 확보되고 있는 것이 중요한 이유로 판단된다. 둘째,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특성을 요인 분석한 결과, 요인 1(심미적 요인), 요인 2(문화적 요인), 요인 3(물리적 요인) 등 3가지 요인으로 요약되어 구분할 수 있었으며, 시각적 선호도와 이미지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및 분산분석 결과는 심리적 요인이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 이미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조망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위치한 주거지역에 대한 심미적 요인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셋째, 역사문화자원 중 정비되지 않은 주거지역 주변경관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부각되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과 조화될수록 물리적, 문화적, 심미적 특성의 3가지 영역에서 긍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높게 부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표출된 인자에 대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역사문화자원 주변의 경관관리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다각적 분석이 필요하다.

농촌 주거지 개발 수요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 및 산림환경의 영향 분석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and Forest Environments on Demand for Rural Residential Development)

  • 이요한;지성태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5권2호
    • /
    • pp.199-22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북중부 7개주를 대상으로 농촌 주거지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경제적 요인들과 산림유형에 따른 산림환경특성을 주거지 개발의 주요 요인으로 고려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1950년 이후 미 북중부 지역에서 나타난 인구변화에 대한 실증모델을 개발하였고, 고정효과 패널모델을 이용하여 인구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연령별로 인구변화패턴과 거주지를 선택하는 선호 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실증모형을 구성할 때 연령별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다음단계로, 인구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소득과 같은 가변요인 뿐 아니라 단기간에 거의 변화가 없는 지역의 특수한 환경 요인들을 포함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패널모형의 고정효과 값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각 카운티별 인구증감의 차이가 산림환경, 수자원 등 시간불변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설정하여 횡단면적 모델을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촌 지역의 주거지 수요를 설명하는 모델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이주자의 나이가 주거지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인자로 나타났고, 특히 사회경제적 요인 뿐 아니라 산림유형, 수자원 등 환경 어메니티가 주거지 수요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도 나이 계층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거주를 위한 노인가구의 주거요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derly Households' Housing Needs for Aging in Places)

  • 이광수;박수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23-132
    • /
    • 2009
  • As society increasingly ages, maintaining an independent lifestyle at home becomes an important issue for older peopl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old people's housing needs for maintaining an independent lifestyle despite their health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s. A total of 438 residents voluntarily took part in a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the quota sampling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age (60-64, 65-69, 70-74, and over 75), gender (male and female), and house type (apartment houses and ot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enior residents are mostly within a non occupational, low income, and low subjective living status. (2)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residence and hope to manage the rest of their life in the same place. (3) Three out of five residents prefer the apartment housing type to other types of housing. The preferred dwelling size, number of rooms, and preference for use of an extra room all varied depending on gender and housing type as well as whether they were a couple or living alone. (4) The older residents have a higher need for a safety system than do the younger residents. Female residents pay more attention to convenience while male residents pay more attention to safety. The non-apartment residents require more modification to fundamental facilities such as a heating and ventilation system, wind protection, and additional storage than do the apartment residents. This study has thoroughly analyzed reques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asic qualities of the elderly households.

고등학생의 '가정과학' 주생활 단원 내용 요구도 (The Needs of Housing Contents in Highschool Home Economics among Students)

  • 김란;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5-161
    • /
    • 2008
  • 이 연구는 가정과학 선택 여부를 결정하게 될 고등학교 1학년들이 현행 가정과학 교과서의 주생활 영역 내용과 거기에 첨가할 수 있는 내용을 얼마나 배우고 싶어하는 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요구도를 조사한 주생활 단원 내용은 현행 가정과학 교과서의 주생활 내용을 분석하여 총 56개 내용 항목(중단원별 19, 14, 23개)을 추출하였고, 교과서 이외의 추가 내용은 교과서 참고자료, 선행 연구,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영역,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일본의 교육과정 등을 참고하여 총 49개 항목(중단원별 22, 10, 17개)을 선정하였다. 질문지는 전국 8개 시?도 소재 고등학교에서 1학년 600명을 대상으로, 2006년 12월 18일부터 28일까지 조사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중 516부가 SPSS/WIN10.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 평균, 백분율, t-test, ANOVA(Scheffe 사후 검증), 상관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가정 과목을 대체로 흥미 있어 하였근 절반 이상이 가정과학 선택하기를 보통 이상으로 희망하였으나 교과 선택 희망도는 흥미도보다 낮았다. 주생활 교육 내용 전반적인 요구도는 보통 이상으로 약간 배우고 싶은 정도였고, 그 중에서도 주거의 디자인 관련 내용을 가장 배우고 싶어 하였으며, 소단원 중에서는 기능적인 주거 공간 만들기, 주거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를 가장 배우고 싶어 하였다. 현행 교과서 내용에 대한 요구가 추가 내용보다 더 높았으나 추가 내용에 대한 요구도 상당히 높았다. 주생활과 거주 환경 중단원은 오히려 현행 내용보다 더 배우고 싶어 하였다. 세부 항목 중에서는 디자인, 미래의 주거, 건강, 안전, 쾌적한 삶 등과 관련된 내용을 더욱 배우고 싶어 하였다. 이론적이고 직접 적용이 어려운 내용은 요구도가 낮았으며, 일상생활에 적용하기 쉬운 내용을 더 배우고 싶어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요구도와의 관계에서는 개인 특성 중 성별, 선택계열, 가정 과목 성적에 따라서는 모든 단원의 요구도에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정과목을 선호할수록, 가정과학 과목 선택을 희망할수록, 주거 생활 영역에 관심이 많을수록 대부분의 내용을 더 배우고 싶어 하였다. 가족 특성에서는 아버지 직업, 어머니 직업 유무, 가족 수, 방 사용 유형에 따라서는 요구도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 주택 형태나 이웃과의 친밀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주거 환경 특성에서는 주거 지역에 따른 내용 요구도 차이가 뚜렷하였다 더불어 주변 시설이나 환경도 내용에 따라 다소 유의한 상관이 있어 주생활 내용 구성은 지역 간 또는 주변 주거 시설 환경을 고려하고 교수학습시에도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