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he Visual Historical & Cultural Resources of Seongbuk-dong

서울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의 시각적 특성연구

  • Lee, Won-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Jae-U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재웅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In this study, Seongbuk-dong historical & cultural resources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were analyzed by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djective analysis. Research was investig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and Research in the following way. Select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surrounding area are located in Seongbuk-dong 30 slices the survey was conducted. Landscape preference factors to identify the scale of 16 adjectives and the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Lastly,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last image factors on visual preferences. Firstl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fficer for 30 pictures appear in Seongbuk-dong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distributed around the target preference for the 16 adjectives analysis yielded an average result of overall preference were analyzed and that is a 3.72 average. In these photos, VP8, VP9, VP10, VP12, VP15; 4.5 points more than one order higher. The reason is limit of altitude by the Seoul landscape plan fo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ound. It also judged important reason that history and Culture ar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cultural property in the conservation area. Secondly, Important factors are factor 1(aesthetic factors), factor 2(cultural factors), factor 3(physical factors) and three factors could be identified. Results of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about factors for visual preference and image shows value of psychological factor is most significant to explain for nearby history &cultural resources of Seongbuk-dong of scenery around. As a result, the state can not view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analysis will be located in a residential area nea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aesthetic factors. Third, the negative side of the argument is a residential area which is not arranged surrounding landscap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s emerge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harmony with the phenomena of the physical, cultur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areas is a positive factor in the high incidence. Factors from that are expressed in this study by analyz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to derive a factor to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landscape around is required.

본 논문은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을 대상으로 경관 형용사 분석에 의한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시각적 특성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성북동에 위치하고 있는 역사문화자원 주변 경관사진 30장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관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16개 형용사를 척도화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요인이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성북동 내 역사문화자원이 분포하고 있는 주변에 나타나는 경관에 대한 30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16개의 형용사 어휘에 대한 선호도 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 평균치는 3.72로 분석되었는데, 이들 중 4.5점 이상의 사진은 VP8번, VP9번, VP10번, VP12번, VP15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높은 선호를 보인 곳은 마포 최사영 고택과 성락원 주변경관으로, 이는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대한 서울시 경관계획에 의해 고도를 제한함으로써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에서 문화재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북한산에서 북악산으로 이어지는 조망경관이 양호하게 확보되고 있는 것이 중요한 이유로 판단된다. 둘째,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특성을 요인 분석한 결과, 요인 1(심미적 요인), 요인 2(문화적 요인), 요인 3(물리적 요인) 등 3가지 요인으로 요약되어 구분할 수 있었으며, 시각적 선호도와 이미지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및 분산분석 결과는 심리적 요인이 성북동의 역사문화자원 주변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 이미지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조망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역사문화자원 주변에 위치한 주거지역에 대한 심미적 요인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셋째, 역사문화자원 중 정비되지 않은 주거지역 주변경관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부각되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과 조화될수록 물리적, 문화적, 심미적 특성의 3가지 영역에서 긍정적인 측면의 인자가 높게 부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표출된 인자에 대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역사문화자원 주변의 경관관리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다각적 분석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찬(2010). 중국 강남 전통 수향(水鄕) 하천 경관의 시각적 특성 및 선호요인 분석: 중국 강수성 주장(周莊) 하천경관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122-130.
  2. 김수연(2010). 인사동길에 대한 가로경관 중요도 및 만족도 평가.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5(8): 179-190.
  3. 문지원, 최동식, 김상희(2012). 가로경관 평가를 통한 근대 역사․문화 거리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8(1): 109-120.
  4. 박은희(2011). 문화재 지역 높이규제의 객관성 확보를 위한 가시율 분 석기법에 관한 연구: 충남 천안시 문화재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방재성, 송병화, 양병이(2008). 조망점의 선정기준과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1): 70-79.
  6. 박현철(2010). 대학진입가로의 경관이미지 및 만족도분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서주환, 황지희(2012). 도시가로변 가설시설물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디자인지식학회지. 25: 25-34.
  8. 여화선, 서주환, 김수연(2012). 도심 역사문화경관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3): 10-20.
  9. 양병이(2002). 도시내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방안: 서울시 우면산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논총. 40: 149-169.
  10. 우상기(2009). 보행자 중심의 도시가로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기초 조형학연구. 10(2): 273-284.
  11. 유완종(2000). 도시경관의 객관적 해석을 위한 모형정립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5(4): 290-291.
  12. 이미하, 정재용(2006). 역사미관지구의 가로경관 분석에 관한 연구: 북촌 가로변 건축물의 물리적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6(1): 241-244.
  13. 이상복(2010). GIS기반 도시경관분석도구 개발 및 활용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39-140.
  14. 이수민(2011). 도시이미지 제고를 위한 경관계획의 개선방안 연구: 경관평가 모형의 정립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창연, 김한배(2010). 도시 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7(6): 73-84.
  16. 임승빈(2008). 도시경관계획론: 경관 계획․형성 기준 연구. 서울: 집문당.
  17.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 이미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1): 47-56.
  18. 조용호(2007). GIS 공간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조망점 위치결정방법 모델링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9(2): 35-45.
  19. 조용호(2008). GIS와 AHP에 기반한 조망점 위치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주신하, 임승빈(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1-10.
  21. 최유, 손승우, 이강현, 임승빈(2012). 도시 내 역사문화미관지구 경관조망지점 분석에 관한 연구: 북촌한옥마을을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8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