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명도 향상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 Edge Enhancement Algorithm using Morphological Processing (형태학적 처리를 이용한 윤곽선의 선명도 향상 알고리듬)

  • 남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12a
    • /
    • pp.109-112
    • /
    • 2000
  • 고역의 주파수 성분이 감쇠되어 선명도가 저하된 이미지나 선형 보간법에 의해 확대된 이미지의 계단모양 왜곡을 감소시킴으로써 경계선의 선명도가 저하된 이미지들을 위해 형태학적 처리(morphological processing)에 의한 이미지 윤곽선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블러링(blurring)된 이미지를 화소의 명암에 따라 다수개의 평판 이미지(slice image)로 나누고 각 평판 이미지에 대해 반복적인 최대/최소값 필터(min/max filter)의 적용으로 얻어진 윤곽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팽창(dilation)과 침식(erosion)을 수행함으로 이미지의 윤곽선에서의 명암 변화에 대한 경사도를 크게 만들고 이로써 이미지 윤곽선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모의 시험결과를 통하여 고역 주파수 강조에 의한 방법에 비하여 인위적인 잡음(artifact)없이 효과적으로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High-definition Video Enhancement Using Color Constancy Based on Scene Unit and Modified Histogram Equalization (장면단위 색채 항상성과 변형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법을 이용한 고선명 동영상의 화질 향상 방법)

  • Cho, Dong-Chan;Kang, Hyung-Sub;Kim, Whoi-Yul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5 no.3
    • /
    • pp.368-379
    • /
    • 2010
  • As high-definition video is broadly used in various system such as broadcast system and digital camcorder the proper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definition video is need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to improve color and contrast of high-definition video. In order to apply the image enhancement method to high-definition video, scale-down video of high-definition video is used and the parameter for image enhancement method is computed from small size video. To enhance the color of high-definition video, we apply color constancy method. First, we separate the video into several scenes by cut detection method. Then, we apply color constancy to each scene with same parameter. To improve the contrast of high-definition video, we use union of original image and histogram equalized image, and weight is calculated based on sorting of histogram bins. Finally, the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in experiment section.

Infrared Image-enhancement Technique using ADRC based Superre-solution and Image Fusion (ADRC 기반 영상 확대 기법과 영상 융합을 이용한 적외선 영상 개선 기법)

  • Kim, Yong Jun;Song, Byung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189-190
    • /
    • 2016
  • 일반 영상의 영상확대를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하지만 적외선 열화상 영상의 경우 일반영상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외선 영상을 위한 영상 확대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따라서 적외선 영상이 일반영상에 비해 디테일이 없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복잡한 알고리즘을 적용시키기 보다는 ADRC 와 같은 단순한 분류 기법을 활용하여 LR-HR 패치를 분류하고 학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확대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을 위해 학습과정에 전처리 과정을 추가하여 합성과정에서 추가적인 연산량의 증가 없이 확대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확대된 적외선 영상이 동일 해상도의 가시광영상에 비해 선명도가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확대된 적외선 영상에 가시광영상의 고주파 정보를 합성시켜 이전보다 영상의 선명도를 더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영상 확대 알고리즘만 수행하였을 때 통상적인 영상확대 기법인 bi-cubic interpolation 기법보다 JNB 수치가 평균 0.0727 만큼 높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가시광영상과 융합하였을 때 이전보다 평균 0.0742 만큼 더 선명해진 영상을 얻었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TextFuseNet using Image Sharpening (선명화 기법을 이용한 TextFuseNet 성능 향상)

  • Jeong, Ji-Yeon;Cheon, Ji-Eun;Jung, Yu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71-7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Scene Text Detection의 새로운 프레임워크인 TextFuseNet에 영상처리 관련 기술인 선명화 기법을 제안한다. Scene Text Detection은 야외 간판이나 표지판 등 불특정 배경에서 글자를 인식하는 기술이며, 그중 하나의 프레임워크가 TextFuseNet이다. TextFuseNet은 문자, 단어, 전역 기준으로 텍스트를 감지하는데, 여기서는 영상처리의 기술인 선명화 기법을 적용하여 TextFuseNet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선명화 기법은 기존 Sharpening Filter 방법과 Unsharp Masking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 중 Sharpening Filter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AP가 0.9%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The Noise Reduction Using Block Classification and Morphological Filtering (영역분류와 형태학적 필터링을 이용한 잡음제거)

  • 김인겸;정연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S
    • /
    • v.36S no.3
    • /
    • pp.57-6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영상 부호화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잡음을 제거하는 새로운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영상의 선명도를 유지할뿐아니라 전체적인 부호화 효율을 높여준다. 효율향상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록 특성에 다라 영역을 분류하며, 둘째로는 Canny 연산자와 Sobel 연산자를 이용하여 경계선 방향을 얻는다. 세 번째로 블록 특성과 경계선 방향에 따라 방향성 형태학적 필터를 구한다. 형태학적 필터링은 영상내 존재하는 잡음을 제거하고, 표준 영상의 경우 인간이 시각적으로 느낄 수 없는 성분을 제거한다. 형태학적 필터링은 경계선 성분을 손실시키는 결과가 발생하지만, 제안한 알고리듬은 손실된 경계선 영역을 복원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한 과정의 결과로, 전체적인 부호화 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제안한 알고리듬을 적용한 표준영상의 경우, 약 50-50%의 비트 발생량이 줄어드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잡음 분산값을 달리하여 만든 잡음 영상에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 영상의 선명도를 유지하였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인간의 시각 특성을 고려한 미세한 잡음 제거 방법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영상의 선명도를 유지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 PDF

Generation of High-Resolution Depth Map with Improved Sharpness (선명도를 향상시킨 고해상도 깊이맵 생성)

  • Jang, Seong-Eun;Kim, Ma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321-322
    • /
    • 2012
  • 본 논문은 선명도를 향상시킨 고해상도 깊이맵을 생생 방법을 제안한다. 현재 저해상도 깊이맵으로부터 생성되는 고해상도 깊이맵은 원 깊이맵과 유사도를 높이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본 논문은 기존 보간법들을 바탕으로 깊이맵에 고주파 성분을 사용하여 깊이맵의 선명도를 증가시킨다. 제안 방법은 저해상도 깊이맵으로부터 고주파 데이터를 생성 후, 깊이맵에 고주파 성분을 적용한 다음에 보간을 통하여 깊이맵을 고해상도 깊이맵으로 변환한다.

  • PDF

Enhancement of Image Sharpness in X-ray Digital Tomosynthesis Using Self-Layer Subtraction Backprojection Method (관심 단층 제거 후 역투사법을 이용한 X-선 디지털 영상합성법에서의 단층영상 선명도 향상에 관한 연구)

  • Shon, Cheol-Soon;Cho, Min-Kook;Lim, Chang-Hwy;Cheong, Min-Ho;Kim, Ho-Kyung;Lee, S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7 no.1
    • /
    • pp.8-14
    • /
    • 2007
  • X-ray digital tomosynthesis is widely used in the nondestructive testing and evaluation, especially for the printed circuit boards (PCBs). In this study, we propose a simple method to reduce the blur artefact, frequently claimed in the conventional digital tomosynthesis based on SAA (shift-and-add) algorithm, and thus restore the image sharpness. The proposed method is basically based on the SAA, but has a correction procedure by finding blur artefacts from the forward-and back-projection for the firstly obtained, manipulated backprojection data. The manipulation is the replacement of the original data at the POI (plane-of-interest) by zeros. This method has be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AA algorithm using the experimental measurements and Monte Carlo simulation for the designed PCB phantom. The comparison showed a much enhancement of sharpness in the images obtained from the proposed method.

Adaptive Unsharp Masking using Bilateral Filter (Bilateral Filter를 이용한 적응적 언샤프 마스킹)

  • Kim, Hak Gu;Lee, Dong Bok;Song, Byung Cheo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49 no.11
    • /
    • pp.56-63
    • /
    • 2012
  • In this paper, adaptive unsharp masking using bilateral filter, edge-preserving smoothing filter is proposed to reduce the overshoot and jagging artifact in sharpening images. Previous image enhancement methods including unsharp masking(UM) can emphasize high-frequency details strongly, but often cause several artifacts such as overshooting, noise, jagging and so on. Proposed image enhancement method preserves edges well because of using bilateral filter and sensitively controls a weight according to edge's directions. Therefore, it enhances sharpness and effectively reduces overshoot and jagging artifacts. Simulation results comparing output of previous AUM with proposed method show that proposed algorithm makes images properly enhanced, and we know that overshoot and jagging artifacts are many reduced.

Clarity Enhancement for Virtual Sound (가상 음향 공간에서의 음의 선명도 향상)

  • Cho Yong-Choon;Oh Yoonhark;Kim Sunmin;laryguine Serguei;Jang S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57-260
    • /
    • 2004
  • HRTF 를 사용하여 가상적인 음향 효과를 내는 시스템에서의 음의 왜곡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음성과 같은 사람이 민감하게 느끼는 부분에서의 음의 선명도 저하는 다른 대역의 왜곡보다 더욱 크게 느껴진다. 그리고 모노 및 두 채널의 주파수 특성이 비슷한 스테레오에서는 음질을 보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음의 선명도의 저하를 유발하게 하는 가상 음향 발생 필터의 특징을 분석하고, 간단한 필터 설계에 의해서 본래의 가상 음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선명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한 방법은 특히 모노 및 뉴스모드와 같이 음성이 많이 들어 있는 부분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 PDF

Algorithm of adaptive edge enhancement to improve image visibility at mobile phone camera (모바일 폰 카메라의 이미지 선명도 향상을 위한 적응적 윤곽선 강조 알고리즘)

  • Kim, Kyung-Rin;Choi, Won-Tae;Kang, Bong-S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9 no.4
    • /
    • pp.288-294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lgorithm of edge enhancement to improve image visibility of mobile phone camera. For naturally edge enhancement, we grasps edge characteristic in image and applied to the most appropriate enhancement value adaptively about each characteristics. Namely, It applies 2D high pass filter where in the edge characteristics which judge in the first In compliance with the edge condition which is subdivided more with secondary it will be able to apply the process which able to adaptive edge enhancement to improve image visibility. It joins in and it is an existing algorithm that simply a lies 2D high pass filter where and it is identical in the image whole it will be able to improve the side effects of ringing actual condition etc. It considers the effectiveness of the hardware resource with the hardware of the algorithm which is developed and algorithm the maximum simply, it developed and simulation of the algorithm which is proposed it led and algorithm of existing and it compared and is improved the result which it confirm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