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중심 교수-학습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search Trends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가정과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Kim, Eun Jeung;Kwon, Yoojin;Lee, Yoon-J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6 no.3
    • /
    • pp.17-34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by analyzing articles published in three major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From each of the research studie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he related content area, and the learning effect measures were quantitatively codifi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of teaching-learning method studies steadily increased since 1998 and peaked in 2010 and 2011. The most frequently studied content areas were combinations of more than two content areas, an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eaching-learning method was the Content-Based methods, followed by Practical Thinking/Problem Solving, and IT-Based methods.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s of learning effect were Knowledge/Understanding, Attitudes toward Home Economics subject, General Attitudes/Competencies, and the Attitudes toward the Instructional Method, in the order of frequ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 research and also provide implications to the document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Interacting with Neighbors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Woo, Yeseul;Cho, Jae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0 no.3
    • /
    • pp.67-9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interacting with neighbors' of home economics subject. The plan consisting of 3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Various activity materials (7 student's activity sheets, 3 reading texts, 1 homework sheet, 3 sets of ppt, 6 videos, and 3 teacher's reading texts) as well as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e 3-session lessons. The plans were implemented by the researcher to 204 freshmen, 8 classes, of C middle school in Seoul during september, 2017. The result, of students' lower level of actual participation in interacting with neighbors comparing to their interests in, supported the need of this study.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whole 3-lessons in the aspects such as beneficial usage of the contents in their daily life and in building the sense of community, as well as adequacy of materials and activities. Students also reported that they would highly aware to the importance of interacting with neighbors and to practice the contents learned from the lessons in daily life at community. They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e's own attitude to neighbors and recommended to teach it to other schools, to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interacting with neighbors' would raise students' housing values living together and attain the overall objective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home economics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Design of Instruction & Learning System to impro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문제해결 능력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 설계 - 문제 푸는 방법 찾기 단원 중심 -)

  • Bak, So-Yeong;Goh, Byung-Oh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335-343
    • /
    • 2007
  • 수학적 지식과 능력을 활용하여 생활 주변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의 신장이야말로 수학교육의 목표이자, 수학 학습의 근본적인 이유가 된다. 그러나 문제해결 능력이 가장 많이 필요한 문장제 문제해결과, 문제 푸는 방법 찾기 단원을 학생들은 해결하기 어려워한다. 다른 단원보다 명확하게 식을 찾을 수 있는 연산 문제들과 다르고, 책에 제시되어 있는 방법을 쉽게 사용을 하지 못하며. 그 문제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문제를 푸는데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문제 푸는 방법 찾기 단원을 중심으로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시스템 설계를 목적으로 학습의 과정별, 특성별, 연계별 학습 내용을 고려하여 학년 통합, 내용 통합하여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 모듈, 평가 모듈, 상호작용 모듈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여 학습자들의 수준에 적합한 개별화 학습을 제공하고, 웹을 이용한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하여 학습에 자신감을 기르고,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to develop and apply to enhance safety aware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주생활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Song, Eunmi;Cho, Jae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9 no.1
    • /
    • pp.15-3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safe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to raise safety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lan consisting of 4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Various activity materials (26 student's activity sheets and 8 reading texts, and 8 teacher's reading texts) and visual materials (4 sets of pictures & photos and 8 moving pictures) as well as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e 4-session lessons. The plans were implemented by the researcher to 4 classes 121 freshmen of M boy's middle school in Kyeongbuk during December 21st to 29th, 2015. Students were highly enjoyed and satisfied with the whole 4-lessons in the aspects such as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lesson,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dequacy of materials and activities, and usefulness in own's daily life. Students also reported that they were highly aware to practice the contents learned from the lessons in daily family life at home with one's family and recommended to teach the lessons to other schools, to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safe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would raise safety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Home Economics subjec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ing Instruction with Evaluation Materials for Strengthening of Independent Living Competence: Focused 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기술·가정과 생활자립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평가 연계 자료 개발 및 적용)

  • Lim, Yun Jin;Kim, Eun Je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1 no.3
    • /
    • pp.23-39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perception of ways to align instruction with evaluation, based on the 2015 revise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independent living competencies, and to provide examples of alignment in practice.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data from a Delphi study (10 experts) and a survey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n=422). The results of survey indicated that experts and teachers perceived the 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to be most appropriate for project learning-project assessment, followed by project learning-portfolio assessment, problem solving learning-portfolio assessment, and problem solving learning-project assessment, in order.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 model of 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and a teaching-learing plan were presented, based on 'Development task of life cycle and Life plan' unit. This was considered to be a proper method of instructional alignmen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independent living competence' with project-learning/project-assessment. The model focuses on consistency between instruction and evaluation, unity in methods, and the availablility of feedbacks of assessment for the improvement of independent living competencie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assessment alignment. Diverse methods of instruction-evaluation alignment is expected for future research.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 Im, Hae-Gyeong;Park, Eu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563-589
    • /
    • 2002
  • 고학년으로 갈수록 지필 환경에만 머무르는 현실 속에서 생활 및 예술 작품 등에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발견하도록 하는 테셀레이션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것 이상으로 기하학적 사고의 기초를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학년까지 적용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테셀레이션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 학습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는 테셀레이션의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로서 , 학생들에게는 수학의 기하적 개념들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테셀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가. 테셀레이션의 정의와 예 그리고 종류를 알아보고 테셀레이션 속의 수학적 개념을 활용방법과 함께 제시한다. 나.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테셀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다. 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활용 방안을 탐색한다. 라.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활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 실험을 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학습의 효과를 밝힌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적용 실험을 위하여 광주대성초등학교 6학년 한 반을 선정하였고 약 4주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투입하여 4번의 활동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작성된 학습지와 소감문 및 연구자에 의해 관찰된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 결과 지필적 환경에서 제한적이었던 탐구하고 조작해보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역동적인 수학 실험실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도구적 이해가 아닌 관계적 이해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적 개념을 암기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연스런 조작을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수학을 공부한다기 보다는 수학 속에서 재미있게 놀이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고 배우는 즐거움을 알고 자신감을 가지며 더 나아가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하는 기회를 줄 수 있었다. 둘째, 테셀레이션은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수학이 단순히 책에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 즉 디자인, 생활 속에서의 벽지문양과 포장지, 예술작품 등에 활용되고 있음을 체험함으로써 수학이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하였다. 역으로 생활 속에서의 테셀레이션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찾는 과정을 통해 수학이 아름다우면서도 실용적이라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었다. 셋째, 테셀매니아, GSP, 캐브리, 거북기하 등 평소 수업에서는 활용도가 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컴퓨터 소프트웨어 자체에서 오는 호기심뿐만이 아니라 직접 조작하여 테셀레이션 작품과 개념을 익히고 새로운 작품과 학습을 해 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등에 있어 큰 변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 기능이 미숙한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당황해 하고 어려워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조작할 시간적 여유를 주고 교사와 우수한 학생들이 도우미로서 역할을 잘해내어 나중에는 큰 어려움 없이 마칠 수 있었다. 테셀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현장에서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이해도 부족한 현실 속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가 교수 학습 현장에 투입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한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로서 테셀레이션이라는 주제는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서 평면 도형의 각과 모양 등의 성질을 탐구하게 하고, 대칭변환의 개념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할 수 있고, 반복되는 모양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부분과 전체를 파악하여 패턴을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제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수학적 개념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테셀레이션은 수학적 개념은 물론 수학과 미술, 수학과 일상 생활과의 연결성을 논의하고 확인하는 데 흥미로운 주제가 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테셀레이션을 활용하여 지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앞으로는 테셀레이션과 관련된 내용이 직접적으로 교육과정 내에서 다루어지고, 또한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기하학적 사고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활동중심 수학교육의 실천 방안 모색

  • Kim, Chang-B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1-19
    • /
    • 2001
  •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은 그들의 발달특성과 학습의 효율성 측면을 고려할 때, 일상생활 경험과 놀이 활동 등을 이용한 활동중심 교육방법으로 상호 연계성있게 수학을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수학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 면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간에 얼마나 연계되어 있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육과정 간에는 수학교육의 방향 및 목표, 내용 영역, 교수학습 방법, 평가 면에서 대체로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그러나 교과 편제나 명칭, 세부적인 내용 구성에서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과정 상에서의 연계 실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실제 수학 교육 활동측면에서의 실천 방안으로서 활동중심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수학 영역 설치를 통한 개별화 교육의 실천, 가정과의 협력 방안 등을 제시해 보았다.

  • PDF

Proposing a Korea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tool using paraphrasing in learning (의역학습법을 사용한 한국어 교수법 및 평가도구 제안)

  • Kwon, Yonghae;Choi, Jungyoon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v.28 no.2
    • /
    • pp.265-289
    • /
    • 2017
  • 외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해당 외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평가한다는 것은 상당히 큰 중요성을 가진다. 교실에서 학습자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통해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함양하고 평가하기 위해 어떠한 연습문제나 시험 혹은 평가방법을 사용하느냐 하는 것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보통 학습자들은 교수자가 무엇을 가르치고 기대하며 평가하느냐에 따라 자신들의 학습방법을 맞춰 나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유연성 있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을 고양시키며 다양한 언어능력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법의 하나로 알려진 paraphrasing을 학습에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paraphrasing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글 바꿔 쓰기 혹은 말 바꿔 말하기로 활용되기도 하나, 본 소논문에서는 paraphrasing이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현장에서 활용되었다는 것을 감안하여 의역을 통한 학습 혹은 의역학습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실제로 paraphrasing은 언어 및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상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에 비해 실제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사용한 연구들은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의역학습법을 학습현장에서 도입했을 때 경험한 여러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교실에서 사용된 예시들을 소개하고,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paraphrasing을 사용한 새로운 한국어 교수방법과 평가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paraphrasing이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언어학습 도구로서 실질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Senior Cohousing for Independent later Life - Focusing on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노인용 코하우징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기술·가정을 중심으로 -)

  • Na, Jimyeong;Cho, Jae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8 no.3
    • /
    • pp.1-1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senior cohousing to improve understanding of active and independent living in later life through Home Economics subject. The plan consisting of 5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Various activity materials (28 individual activity sheets, 2 working sheets, and 26 teacher's reading texts) and visual materials (4 sets of pictures & photos and 10 moving pictures) as well as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e 5-session lessons. The plans were implemented to 6 classes 150 freshmen of P high school in Jeju-do during August 17th to 3rd of September, 2015.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regardless of gender with the whole 5-lessons in the aspects such as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lesson,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dequacy of materials and activities, and usage in their future life. Students also reported that they highly accomplished the goal of each lesson to reinforce the understanding on necessity of preparing later life, senior cohousing, and senior friendly busines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senior cohousing would improve understanding and practical competency of active and independent living in later life with senior neighbors through the home economics subject.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 Focusing on Media Literacy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Kim, Seo-Hyun;Chin, Mee-J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4 no.3
    • /
    • pp.1-34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troduce a critical perspectiv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o apply them in classe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e for a validity test. For these purposes, family life culture sections from six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tents and elements of multicultural competence. After recomposing the family life culture sections, this study developed 12-session teaching-learning materials with an emphasis on media literacy. Among them, 4-session plans were taught in classrooms for 247 students in the 10th grade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plans, a questionnaires was given to the students as a pre- and post-tes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pre and post differences in all sections of multicultural competence except the section of 'general cultural understanding'. This implied that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overcome ethnocentrism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