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활적응

검색결과 1,249건 처리시간 0.033초

COVID-19 상황에서 간호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Students'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VID-19)

  • 안혜란;이지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4-45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라는 위기 상황에서 간호학생의 전공선택동기, 학업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개 지역의 간호학생 243명을 편의모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선택동기와 자기효능감은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는 낮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전공선택동기, 한 달 용돈 금액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65.6%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여주기 위한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A study of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elementary students)

  • 박준성;최영진 ;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4호
    • /
    • pp.719-738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이 학교생활 적응 관련 경험하는 어려움이나 갈등 그리고 대처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3~6학년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면접을 실시하였다. 이 내용을 Giorgi(1985)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조건으로 세 차원 즉, 개인적 차원, 관계적 차원, 사회적 차원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을 위해서는 개인, 가정, 다문화 인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그들이 우리사회에서 학교생활적응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서도 적응을 잘 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민족 정체성과 다문화 인식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 유머감각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Correlation of Stress-coping, Humor Sense, and Adaptation to College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 김건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01-313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 유머감각, 대학생활적응 정도와 변수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2년 6월 B시 일 대학교 간호학생 33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트레스대처는 평균 43.33점, 유머감각 72.18점, 대학생활적응 68.02점으로 중간이상의 수준이었다. 대학생활적응 점수는 성별, 학년, 가족구성, 가정형편, 대학생활 만족도, 교수와의 관계, 대학성적, 이성친구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활적응은 스트레스대처, 유머감각과 유의하나 약한 상관관계에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해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대학생활적응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it and Stress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이승주;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69-276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과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대학에 재학 중이면서 최소 1학기의 임상실습을 이수하고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145명의 학생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6월 14일부터 6월 16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그릿(Grit)은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7, p=.047)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31, p<.001)가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에 그릿(Grit)과 스트레스는 11.2%의 설명력(F=9.98, p<.001)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그릿(Grit) 수준의 향상과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제안한다.

중국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학업소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ping strategy o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in Chinese adolescents)

  • 김정현;마연연;고민선;정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9-146
    • /
    • 2013
  •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학업소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상하이 중학교에 재학중인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결과 중국 청소년들은 방과 후 컴퓨터나 TV시청 등의 놀이오락 위주로 여가활동 시간을 보내고 있었으며 자신의 학교성적 및 학교생활에의 만족도 또한 높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정적 상관을 보여 학업소진이 심할수록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스트레스대처 방식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문제지향 및 사회적지지 대처 같은 적극적 대처는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에 정적 영향력을 보인 반면 소극적 대처는 부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청소년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할수록 학업소진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학업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정에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신숙;이영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627-634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 간에 스마트폰 중독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회적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다.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 사회적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력의 정도가 높다. 즉 스트레스 정도가 지나친 경우에 스마트폰 사용 횟수나 빈도가 많을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중독이나 학교 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여부는 궁극적으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규명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병사들의 레질리언스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Soldier's Resiliency on the Their Adjustment in Military)

  • 강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78-286
    • /
    • 2013
  • 본 연구는 군 병사들을 대상으로 역경이나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역량인 레질리언스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레질리언스를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 통제, 호기심 및 낙관성으로 구성해 현역 병사 1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병사들의 레질리언스 및 군 생활 적응은 중간값 이상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레질리언스 수준이 높은 병사들이 낮은 병사들에 비해 높은 군 생활 적응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레질리언스 구성요소 중 대인관계, 낙관성 및 호기심이 군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 레질리언스를 강화시켜 주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불안의 관계: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State-Trait Anxiety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justment)

  • 주원;박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80-590
    • /
    • 2017
  •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253명으로 모집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연령, 학력,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신뢰감, 그리고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이 불안과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가 지각한 부모애착 중의 하위변인 신뢰감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응과 개인-정서적응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한 중국 유학생의 불안정서를 감소하기 위하여 안정적 부모애착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책적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ocused on the Deduction of the Political Implication-)

  • 기성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27-136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증적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구조방정식에 의한 경로계수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양육태도의 경우에 사회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애정 수용적 태도의 경우에 학업적응과 사회적응에 매우 높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의 경우 여자의 경우에 남자보다 애정수용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학업적응, 사회적응, 환경/일반적응에서 보다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개인적 특성과의 조절작용을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집단음악치료가 관심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for At-Risk Korean Soldiers on Adjustment and Stress Level)

  • 윤주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9권1호
    • /
    • pp.55-71
    • /
    • 2012
  • 본 연구는 군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관심병사들을 대상으로 집단음악심리치료를 시행하여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bigcirc}{\bigcirc}$ 사단에 소속된 병사들 중 국군병원 정신과 진료 및 군 전문상담관의 개별상담을 통해 관심병사로 분류된 7명을 대상으로 총 12시간에 걸쳐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에서 계발 및 사용되었던 군 생활 스트레스 척도와 군 생활 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결과는 비모수에 의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중재 후 대상자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 전체의 사전사후 검사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 < .05). 이를 하위 요인별로 보면 역할스트레스와 외부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관계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군 생활 적응척도의 전체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 < .05). 하지만 하위요인에서 심신의 상태와 직책과 직무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임무수행의 의지와 군 환경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심리 정서적 지지 차원의 집단음악치료 활동이 군 부적응 관심병사의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