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for At-Risk Korean Soldiers on Adjustment and Stress Level

집단음악치료가 관심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2.04.30
  • Accepted : 2012.05.17
  • Published : 2012.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for at-risk Korean soldiers on the levels of adjustment and stress. The study was conducted at a division of the Korean Army with 7 participants who were classified as "at-risk soldiers" based on the results of a psychiatric evaluation, MMPI-II and a personal interview with a counselor. The participants received 12 hours of group music therapy for three weeks and their scores on stress and adjustment inventori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pre and post scores were analyzed with the Wilcoxon test for repeated measu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overall stress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djustment levels at p < .05. The research findings and personal remarks from the participants suggest that group music therapy may provide effective support for at-risk Korean soldiers in coping with stress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본 연구는 군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관심병사들을 대상으로 집단음악심리치료를 시행하여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bigcirc}{\bigcirc}$ 사단에 소속된 병사들 중 국군병원 정신과 진료 및 군 전문상담관의 개별상담을 통해 관심병사로 분류된 7명을 대상으로 총 12시간에 걸쳐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에서 계발 및 사용되었던 군 생활 스트레스 척도와 군 생활 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결과는 비모수에 의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중재 후 대상자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 전체의 사전사후 검사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 < .05). 이를 하위 요인별로 보면 역할스트레스와 외부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관계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군 생활 적응척도의 전체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 < .05). 하지만 하위요인에서 심신의 상태와 직책과 직무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임무수행의 의지와 군 환경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심리 정서적 지지 차원의 집단음악치료 활동이 군 부적응 관심병사의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Cited by

  1. The effect of music therapy for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ith high post-traumatic stress vol.26, pp.12, 2012, https://doi.org/10.9708/jksci.2021.26.12.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