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서교사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36초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인터넷 기반 교육용 컨텐츠 개발 및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Internet-Based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Teacher Librarian's Competency)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55-373
    • /
    • 2009
  • 최근 학교도서관에서는 도서관협력수업을 통해서 교과학습과 동시에 정보활용능력을 신장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즉, 수업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사서교사 양성 체제는 제도적으로 미흡하고, 커리큘럼 편성에 있어서 사서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를 개발하고,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는 강의 전용 저작도구인 LectureMAKER v2.0으로 제작하였으며, 5점 척도의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필 검사지로 사전 사후 분석을 실시하여 개발한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레빈의 등분산 검증과 대응표본 t-검정 기법을 적용하였다.

  • PDF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Contents and Strategies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Education)

  • 김종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5-159
    • /
    • 2006
  • 이 논문은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에 포함되어야 하는 교육 내용과 전략적 강조점을 탐색하였다. 사서교사 인력에 대한 현장의 수요가 지속되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체계와 내용이 부실한 상황을 전제로 하여 연구자는 그 개선 방안으로 교육 내용의 강화와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을 제시하였다. 사서교사 양성 교육의 영역을 도서관 운영 영역. 독서 영역, 교수 학습 영역으로 나누어 확충되고 개선되어야 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운영 영역에서는 기능위주의 교육을 탈피하고 철학과 역사에 대한 교육을 보완해야 하며 독서 영역에서는 이론 위주 교육보다는 독서 자료에 대한교육을 강화하여 독서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능력을 배양해야 하며 교수 학습 영역에서는 교과과정 운영과 수업 운영의 기본 능력을 배양하는 방향으로 교육내용을 설정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학교도서관 상황과 문헌정보학 교육 수준에서 고려되고 반영되어야 하는 교육적 전략으로 견고한 사서교사 정신의 확립, 현장 적응력의 강화, 자료 전문성의 제고 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내용이 교육과정 편성이나 교재 편찬에 실제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나아가 사서교사 자격 인증제도 등에 대한 모색도 논의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 영향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Intentions to Implement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 김승희;박지홍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21-1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를 설명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태도, 주관적 규범, 교사효능감 및 지각된 통제가능성을 설정하고, 사서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 연령이 30대인 경우, 근무학교의 규모가 작은 경우, 도서관 협력수업 경험이 있는 경우에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변수 중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가능성은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교사효능감은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방형 문항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연구결과를 해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협력수업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 환경변화에 따른 학교도서관 운영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s of School Library Professionals Followed by Environment Changes of School Libraries)

  • 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93-516
    • /
    • 2009
  •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변화한 학교도서관 환경변화에 따라 학교도서관 운영전문가의 역할이 무엇인지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학교도서관 사서 배치관련 법규 및 사서교사 배치현황을 분석하고, 비정규직 사서업무에 대한 면담 분석 및 정규직 사서교사, 비정규직 사서, 도서관 담당교사가 실제 수행하고 있는 업무에 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바람직한 학교도서관 운영전문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 PDF

저경력 사서교사의 전문성 영역에 대한 교육적 요구도 분석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s' Instructional Expertise)

  • 임정훈;소병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7-18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 내 임용된 저경력 사서교사의 주요 현황을 조사하고, 사서교사 전문성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저경력 사서교사의 역량 향상을 위한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5년 미만의 저경력 사서교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서교사의 양성과정과 임용 전 경험 등을 분석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 IPA 모델, Borich 요구도, LF 모델을 이용하여 저경력 사서교사의 전문성 영역(도서관 이용지도,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력수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저경력 사서교사들은 모든 전문성 영역에서 중요도-만족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IPA 결과, '독서교육-실행 진행'을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지속유지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협력수업-계획', '협력수업-진행', '협력수업-평가'와 '정보활용교육-교육과정 설계', '디지털 및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실행 및 평가'를 집중노력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에서는 '협력수업' 영역의 '교수학습 평가', '교수학습 진행', '교수학습 계획'이 가장 높은 교육적 요구를 보여주었으며, 이어서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정보활용교육' 영역순으로 나타났다. LF 모델에서도 '협력수업' 영역이 최우선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실행, 평가', '정보활용교육-실행 평가', '정보활용교육-교육과정, 설계'의 5가지 역량이 우선순위가 높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원으로서의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재고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사서교사의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on Educational Graphic Novels)

  • 임여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1-3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계속되고 있는 학습만화 열풍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을 위한 첫 걸음으로 어린이들의 독서 습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담임교사와 사서교사들은 대체로 학습만화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나 일부 "학습적인" 학습만화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학습만화가 또래에 비해 읽기능력이 뒤쳐지는 어린이들에게는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인터뷰에 응한 교사 모두가 학습만화에 대한 평가 기준의 필요성을 강력히 느끼고 있었다.

사서교사의 자아 상태 유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go State Types of Teacher Librarians)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7-9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이론에서 제시한 이고그램(egogram)을 통해서 사서교사의 자아 상태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의 바람직한 자아 상태는 A(Adult)와 NP(Nurturing Parent) 그리고 FC(Free Child)가 CP(Critical Parent)나 AC(Adapted Child)보다 높은 것이다. 그러나 사서교사는 CP가 높고 A와 FC가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사서교사가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을 바른 것이라고 여기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양보하려 하지 않고 규칙과 규범을 강조하는 완고한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서교사의 자아 상태는 학생의 자주적 학습을 강조하는 구성주의 학습 환경에서 교수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서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수자는 물론 교수 파트너로서의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정보봉사 영역과 교육용 콘텐츠 및 수업용 자료 개발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계층분석방법을 활용한 사서교사 역량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ority of Teacher Librarians' Competencies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임정훈;이승민;강봉숙;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7-144
    • /
    • 2021
  • 본 연구 목적은 사서교사 역량을 재정의하고, 역량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서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AHP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서교사들은 직무의 상위 계층 영역 중 정보 전문가, 교사, 경영자, 협력적 리더 순으로 우선순위를 인식하고 있었다. 하위 계층별로는, 장서개발·관리·보존, 교수·학습 매체 제작, 정보서비스, 도서관협력수업, 도서관활용수업, 콘텐츠 큐레이션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교도서관에서는 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장서를 개발하고 정보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역량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온·오프라인 장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학교도서관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교수 매체 제작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찰했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1인 사서교사의 인적 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 Solo Teacher Librarian's Personal Networks)

  • 강재연;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5-239
    • /
    • 2022
  • 인적 네트워크는 지식공유의 중요한 창구로서 암묵적 지식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문제에 주요한 해결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히 조직에서 1인으로 구성된 학교도서관의 사서교사(또는 사서)의 경우, 업무를 위한 인적 네트워크는 조직 내부 구성원보다는 동일 직무를 담당하는 조직 외부인과의 관계가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인 사서교사의 업무 관련 인적 네트워크 특성을 탐색하고 이러한 네트워크 특성과 직무 만족 및 역할 모호성 해소와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 지역 내 사서교사 네트워크 협의회 1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데이터는 소셜네트워크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의 인적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협의회 내 대표 교 이력의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업무 도움 관계가 활발하였으며, 저 경력의 초임 교사에게는 업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대상이 적은 특징이 확인되었다. 또한 개인의 인적 네트워크 특성은 직무 만족과 역할 모호성 해소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1인 사서교사의 업무 관련 정보문제 해결을 위한 사서교사 간 협력 및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