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 역량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22초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역량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 이시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445-454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정서조절능력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5년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II의 횡단조사 데이터를 토대로 중학생 총 3,404명을 대상으로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이 대인관계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대인관계역량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및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역량 증진에 필요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소제조기업 조직역량이 선도적 사회적 책임활동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E's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n Proactive CSR and Business Performance)

  • 배정호;박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181-197
    • /
    • 2016
  • 지금껏 중소제조기업의 선도적 CSR에 대한연구가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조직역량과 선도적 CSR활동 및 경영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역량 및 CSR활동 등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목적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 모형은 전국 중소제조기업 관리자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자료를 근거로 SPSS 18.0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소기업 조직역량은 선도적 CSR활동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도적 CSR활동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선도적 CSR이 매개역할 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업관리자들의 사업환경 불확실에 대한 인지는 조직역량과 선도적 CSR 간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 조직역량과 선도적 CSR활동 간의 관련성에 대한 검증 및 선도적 CSR활동이 기업경영성과를 향상시켜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혁신활동의 적합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itness among Entrepreneurship, Dynamic capabilities and Innovation activ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 김진권;안동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163-170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동적역량, 혁신활동 각각의 변수와 그 변수들 간의 적합성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적합성을 확인하고 이 적합성이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기업가정신과 혁신활동, 동적역량과 혁신활동 등 두 변수 간의 적합성은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 동적역량, 혁신활동 세 변수 모두의 적합성도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추가로 실시한 경로분석에서는 기업가정신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동적역량과 혁신활동의 매개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혁신활동은 각각 경영성과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들 세 요인들을 조화롭게 구현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수업과 통합한 수학 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연구 (Action Research on Math Competencies-oriented Assessment of Integrated Instruction)

  • 김유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3-113
    • /
    • 2017
  • 본 연구는 평가의 형성적 관점에서 수시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평가지와 함께 가정에 통보하는 평가 체제를 따르고 있는 한 초등학교에서, 수업과 통합한 수학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수업과 통합한 역량 중심의 평가는 교육과정 재구성 및 역량 중심의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평가 결과의 환류가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역량의 평가는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역량 간의 중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평가를 통해 부족한 역량을 파악하고 수업과 연계하여 이를 단계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나 이와 관련한 실행적인 연구가 행해질 필요가 있다. 넷째, 다양한 평가 방법의 사용은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해 주지만 평가 결과의 차이를 올바르게 해석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 PDF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관리 자체 역량분석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nalysis Program for Local Government)

  • 유병태;오금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66-275
    • /
    • 2013
  • 최근 복합재난 환경 속에서 지역 방재력을 구축하기 위한 재난안전관리의 선진화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2012년 9월 구미 불산 유출사고를 겪으면서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역량의 중요성 및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와 함께 안전 확보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증대는 지역 주민들의 재난안전정보에 대한 권리를 가시화하였고 사회적 이슈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업무역량을 평가 분석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재난관리 역량강화 지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재난관리담당자 중심의 웹 기반 체계를 구축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재난안전관리 역량 수준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또한, 재난안전관리 정보를 지역주민들이 이해하기 용이하게 지표화하여 공개하도록 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취약성을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노력과 함께 이를 지역주민에게 공시함으로서 지역사회의 참여를 바탕으로 최적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서 학습전략 수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 김규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7-3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학습전략 수준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D 광역시 소재 고등학생 573명이었으며, 주요 분석 방법은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K-평균 분석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학업적 그릿은 진로개발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학업전략수준은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에게 진로개발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전략 수준을 고려한 학업적 그릿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개인배경이나 관련 변수를 활용한 조절 및 매개효과 분석, 이들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리적 구조 관계를 밝히는 문헌연구, 학업적 그릿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과 관련 변인 간 이론적 구조를 밝히는 질적 연구 등이 요청된다.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내용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Cultivating Global Busi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 김부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91-10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소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하위 역량요소를 수정, 보완하여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하위요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하위요소의 중요도에 대해 20개 기업체 근무자 148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어 능력인 영어 이메일 작성, 영어 자료 및 문서 읽고 이해, 전화영어, 비즈니스 영어회화, 사회언어적 능력인 타문화에 대한 이해, 전략적 능력인 커뮤니케이션 스킬, 글로벌 비즈니스 이해 능력인 비즈니스 지식이 비교적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따라서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배양을 위한 교육내용을 선정할 때 우선적으로 이들 요소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공공서비스 역량 강화를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설계 -정책공급자 대상 워크숍 사례를 중심으로- (Designing public service design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public service competencies -Focused on the case of workshop for policy providers-)

  • 김선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101-11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서비스 행정 시대에 필요한 정책공급자의 공공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교육을 설계하고 실증 사례를 통해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공공서비스와 공공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공공서비스 역량 요소와 공공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워크숍을 통해 실증한 사례 조사와 설문을 통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공공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 내용을 기반으로 한 팀 활동과 실습 위주의 방법과 도구는 협업과 소통 역량 강화에 특히 효과가 있으며 전반적인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 프로그램 모델은 정책공급자 대상의 공공서비스 역량을 연계한 실습형 교육을 제시하고 실증하여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역량 중심의 교육 모델 설계로 역량 강화 효과성을 세분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정영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55-65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간호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되었다. 자료수집은 자가보고기입식 형태로 수집기간은 2015년 4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일개 중소규모의 4년제 대학의 간호학생 83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서술적 통계, T-test, 분산분석(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공만족도는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실습만족도는 전공만족도와 임상역량 모두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임상실습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와 임상역량이었으며, 두 요인이 전체 변량의 26%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국 간호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임상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학생에게 임상적응프로그램과 프리셉터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애자녀 돌봄제공자의 웰니스 증진을 위한 융복합 돌봄역량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convergent caring competency for promotion of caregivers' wellness of disabled children)

  • 이유리;김남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479-487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자녀 부모가 인식한 돌봄역량, 돌봄경험의 평가(돌봄부담, 돌봄만족), 자조집단지지의 수준이 자녀의 장애유형(정신장애, 신체장애)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장애자녀 부모 301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고,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라 정신장애 유형 180명과 신체장애 유형 121명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의 잠재평균분석을 위해 형태동일성 검증, 측정동일성 검증, 절편동일성 검증, 요인분산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은 신체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에 비해 자조집단지지와 돌봄부담이 더 높게 분석되었고, 반대로 신체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은 정신장애 자녀를 돌보는 집단에 비해 돌봄만족과 돌봄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서비스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