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육 프로그램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28초

액셀러레이터 보육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학습방식에 관한 연구: 글로벌 지향 ICT 분야 액셀러레이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arning Modes of Start-up Accelerating Program: Focusing on Korean Accelerators in the ICT Field Targeting Global Market)

  • 신승용;이종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31-46
    • /
    • 2023
  • 본 연구는 액셀러레이터 보육 프로그램의 학습방식에 관하여 글로벌 지향 ICT 분야 액셀러레이터를 중심으로 스타트업에 제공하는 학습방식을 분류 및 확인하였다. 액셀러레이터 보육 프로그램 운영을 담당하는 액셀러레이터 실무자 8개 사의 인터뷰를 진행하고, 인터뷰 결과를 질적 분석하여 액셀러레이터가 보육 프로그램을 통해 스타트업에 제공하는 다양한 학습방식을 도출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학습방식을 확인 및 분류하기 위해 연구자가 다양한 선행문헌을 검토하여 사용이 적절하다고 판단한 경험축적, 관찰, 실험, 시행착오, 임기응변의 학습방식을 질적 분석의 a priori code로 활용하였고, 인터뷰 결과는 주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이 스타트업에 제공하는 학습방식은 경험축적, 관찰, 시행착오, 실험, 임기응변 등 5개의 범주 별 각 2개, 총 10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액셀러레이터의 주요 기능인 보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학습에 대한 관점에서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이 보육 스타트업에 어떤 학습방식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학문적 및 실무적으로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이 스타트업에 제공하는 학습방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조직학습에 대한 관점에서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이 보육 스타트업에 어떤 학습방식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관점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액셀러레이터는 보육 스타트업에 충분한 학 습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보육 프로그램 개선에 활용할 수 있으며, 보육 프로그램 참여를 고민하는 스타트업이라면 보육 프로그램 참여를 결정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예비보육교사의 지역사회에 기반한 보육프로그램 개발 리더십 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ducare Teacher's Leadership Experiences about Educare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Communities)

  • 윤갑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275-300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이 지역사회에 기반한 보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내용들을 교사 리더십과 연결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의 보육교사 양성학과 영유아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수업에서 예비보육교사 41명을 대상으로 보육프로그램 개발과정이 실시되었다. 그 과정에서 기술된 이들의 반성적 저널과 수업 이후 실시된 5명의 면담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보육교사들의 경험은 첫째, 지역사회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애착 둘째,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분석 셋째, 자신의 교육철학과 역량에 대한 반성 넷째,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리더십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교육과정 리더십 개발을 위한 예비교사교육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 보육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hild Care-Work Ability Program on Efficacy of Child Care, Rol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 김현지;한성민;전경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5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즉 보육시설에서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함으로써 보육효능감, 영아교사의 역할수행, 영아의 요구에 대한 교사민감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정읍시의 44명의 영아담당 보육교사들이다. 이들은 통제집단 22명과 실험집단 22명의 교사로 나뉘어졌다. 교사들은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로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결국,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심리운동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sychomotor program on the Childcare Efficacy and Ego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 이영란;홍혜정;이화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55-63
    • /
    • 2020
  • 본 논문은 심리운동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J구의 8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로서 최종 대상자는 실험군 18명, 대조군 19명 이었다. 중재프로그램으로 1회 4시간, 주 2회, 총 10회, 총 40시간의 심리운동프로그램을 보육교사에게 제공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 2일부터 11월 12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Wilcoxon-Mann-Whitney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심리운동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효율성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관리와 지원을 위한 기초근거를 마련의 가치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에서의 적응과 대처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므로 그의미와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과 보육기업의 창업성과 :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Accelerator Incubation Program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Portfolio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ccelerator Entrepreneur Passion)

  • 김상철;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3호
    • /
    • pp.1-17
    • /
    • 2022
  • 창업가는 본인의 열정이 창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창업과 관련된 제3자의 열정이 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이 보육기업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때 제3자인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이 보육기업의 창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두고 실증적으로 분석을 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을 수료한 전국의 보육기업 대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유효한 330개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 중 멘토링과 네트워크는 스타트업의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액셀러레이터 보육프로그램 중 교육과 초기투자는 스타트업의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이 보육프로그램 요소(교육, 멘토링, 네트워크, 초기투자)와 보육기업의 창업성과 간을 모두 유의하게 조절하고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스타트업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이 보육프로그램의 중요한 린치핀이며 성공의 열쇠라는 사실을 밝힌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스타트업이 시드 투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액셀러레이터의 키맨인 액셀러레이터 창업가와 그의 열정을 제대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창업보육센터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김보윤;황보윤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7-192
    • /
    • 2023
  • 1990년대 후반 정부는 경기부양의 일환으로 창업보육센터(Business Incubatir: BI)를 전국에 설치·운영하도록 지원하였다.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벤처기업이 스스로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시기까지 시설, 기술, 행정, 경영지원 뿐만 아니라 입주지원까지 다양한 지원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은 입주업체들의 기업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근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조직문화는 스타트업을 움직이는 심장이며 그 영향력은 실핏줄을 타고 회사의 가장 사소한 결정에까지 미친다. 조직문화마저 없다면 스타트업은 제품, 브랜드 무엇 하나 제대로 갖추지 못한 그저 꿈을 쫓는 집단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 서비스품질 구성요인 인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과 스타트업에게 중요한 원동력이 되는 실천중심설계가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교육만족이 조직문화에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care Practicum)

  • 라승선;이춘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25-49
    • /
    • 2013
  • 본 연구는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며, 연구대상은 D광역시의 보육교사 368명이다. 연구도구는 조운주(2001)의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목적을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학력과 경력에서 '효율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지도 능력'을 제일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저널에 대한 피드백에서는 경력에 따른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형식에 대한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 시기는 학기 중(평일 귀가 후) 단기교육과 3일 이하 3시간미만의 교육을 선호하였다. 장기지속 교육의 경우 주당 3일 이하, 1일 1-2시간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육 참여 여부는 58.4%였고, 앞으로 이러한 요구를 반영한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행되어야겠다.

지역사회 보육공동체를 위한 다문화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Program for Local Childcare Community)

  • 임지혜;박봉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263-2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다문화 사회를 위해 지역 보육공동체의 다문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만족도와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문화 보육공동체 프로그램은 집단 간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접촉의 조건들을 고려하여 설계되었고, 2015년 7월부터 8월까지 총 5회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참여한 지역사회 구성원의 총 인원은 196명이었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다문화 보육공동체 프로그램은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다문화가정 부모들의 자존감 함양과 사회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다. 특히 다문화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외국인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가 완화되었고, 전 지구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등 세계시민성 함양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내용으로는 다양한 지역 사회 기관과의 연계 프로그램과 지속적인 지역사회 공동체 프로그램에 대한 니즈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다문화 공동체가 상호작용하고 소통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안함으로써, 타 지역에서 참고할 수 있는 다문화 보육공동체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보육시설 어린이를 위한 영양교육 자료개발 및 활용방안 모색

  • 민영희;김연정;진예원;박혜련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9.1-399
    • /
    • 2004
  • 영양사가 배치되지 않은 보육시설에서의 효율적인 영양교육 방안을 찾고자하는 목적으로 안양시 동안구 소재 73개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하여 영양교육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진단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영양교육 자료와 함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총 17종의 교육자료를 메뉴얼과 함께 개발하여 보육시설에 대여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교육은 총 4회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중략)

  • PDF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demands to develop a supervision program for a child-care center)

  • 황해익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89-20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들의 어린이집 장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어린이집 장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필요성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어린이집 현장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내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23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린이집 장학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교사용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어린이집 장학에 대한 인식은 '어느 정도 알고 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장학과 관련된 연수 및 보수교육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받은적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문제점 인식을 살펴본 결과 '현장의 목소리 미반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의 차이를 제변인에 따라 알아본 결과 학급규모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기관유형, 학력 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장학을 담당하기에 적합한 기관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보육 지원센터 보육정보센터'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린이집의 장학을 담당하는 장학사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연수받은 교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