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care Practicum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조사

  • 라승선 (대전부사어린이집) ;
  • 이춘자 (침례신학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06.07
  • Accepted : 2013.12.23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in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care practicum. The 368 child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lived in D City. The researchers modified the questionnaire from the study of Woon-Ju Cho (2001).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d cross tab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purpose of the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care practicum, they perceived the acquisition of the abilities to instruct effective teaching methods as the purpose of the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care practicum. Second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practicum,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nts' education and experience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feedback on the journal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level. Thirdly,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formats of the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care practicum according to education levels and experience levels, the participants' preferred short-term education during the semester (after returning to the workplace on weekdays). In specific, they preferred less than three hours of education for a three-day or shorter perio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training programs, three days or less weekly and one to two hours daily were preferred.

본 연구는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며, 연구대상은 D광역시의 보육교사 368명이다. 연구도구는 조운주(2001)의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목적을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학력과 경력에서 '효율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지도 능력'을 제일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저널에 대한 피드백에서는 경력에 따른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형식에 대한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 시기는 학기 중(평일 귀가 후) 단기교육과 3일 이하 3시간미만의 교육을 선호하였다. 장기지속 교육의 경우 주당 3일 이하, 1일 1-2시간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육 참여 여부는 58.4%였고, 앞으로 이러한 요구를 반영한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행되어야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미, 선미현(2008).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실습관련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요인.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329-349.
  2. 권귀염, 방유선(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실습지도 역할수행에 관한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97-123.
  3. 김나림(2009). 보육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불안과 적응과정 연구. 영유아교육연구, 12, 61-73.
  4. 김난실, 김향자, 박정선, 연미희, 김혜선(2010). 산학협력유치원 실습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모형개발의 기초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1), 199-217.
  5. 김선혜, 김규수(2009). 유아교육기관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인식과 수행에 따른 예비교사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2), 223-233. https://doi.org/10.5934/KJHE.2008.17.2.223
  6. 김시영, 이순자(2008).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문제 분석 및 교수효율성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3), 5-26.
  7. 김익기(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따른 보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연구: 서울시 구립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정신, 송경애(2010).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중점 내용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0(1), 91-107.
  9. 김정원, 조혜선(2012). 보육실습 전.후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교사-자화상 그리기와 심층면담을 통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1-19.
  10. 김정주, 이명숙(2006). 유아실습지도 교사교육내용의 개념도 및 인식 분석. 육아지원연구, 1(2), 69-89.
  11. 김정희(2011).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지원 요구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3), 103-123.
  12. 김주영, 이대균(2010).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9(3), 187-211.
  13. 김진영, 성원경(2012). 유치원 교사의 셀프 리더쉽과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31(2), 123-140.
  14. 김현정(2010).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이 유아교사 직무 중요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 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467-481.
  15. 남명자(2008). 보육실습에서 겪은 실습교사의 관계경험과 그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2(5), 5-29.
  16. 라은미, 이성희(2010).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불안과 지도교사의 실습지도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논총 27, 83-98.
  17. 문혁준, 백혜리, 김정희, 김혜연, 김민희(2008). 보육실습. 서울: 창지사.
  18. 박영란, 고연경(2005). 교육실습 후 유아예비교사가 바라는 실습 지도교사 역할 내용분석 -실습지도 교사역할 개념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9(4), 81-101.
  19. 박은혜(2009).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20. 박은혜, 조운주(2006). 반성적 실천을 위한 유아교육 실습. 서울: 창지사.
  21. 박혜경(2012).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6(6), 189-211.
  22. 서현아, 최은정(2008). 유치원 교육실습생과 지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불안과 갈등.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339-361.
  23. 석은조, 오성숙(2007).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보육실습 관련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논총, 16(1), 1-18.
  24. 신은희(2003).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불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신현주(1998). 유아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유병예(2013). 예비보육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유영의, 유흥옥(2005).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실습지도교사교육을 통한 실습지도교사의 발달적 변화.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2), 67-95.
  28. 윤희경(2007).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실습생이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갈등 분석. 영유아교육연구, 10, 33-54.
  29. 이경(2001).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 수행 인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근주(2013). 영아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자율장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선미(2012).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179-200.
  32. 이유미(1997). 교육 실습 지도 교사의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춘자(2007). 저널쓰기에 대한 피드백이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7(3), 73-91
  34. 이현옥, 김정주(2007).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와 교육실습생의 저널쓰기와 피드백 내용분석. 육아지원연구, 2(2), 137-152.
  35. 이희경(2011). 유아교육과 학생이 유치원현장실습과 보육실습 기간에 경험하는 유아 교사의 역할. 영유아교육연구, 14, 41-55.
  36. 임경심(2009).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반성적 저널쓰기가 예비교사의 교육신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7. 임승렬(2004). 실습지도교사의 실습관련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대 논문집, 33권, 211-234.
  38. 임승렬(2008). 유아교육기관 실습지도교사가 실습생에게 제공하는 피드백 프로파일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2(5), 349-365.
  39. 정남미(2008). 유아교육실습지도 현황과 인식 분석 -실습생, 지도교사, 원감, 원장의 입장에서-. 유아교육학논집, 12(6), 215-235.
  40. 조운주(2001).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조운주(2002a).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 방향. 교육의 이론과 실천, 7(1), 101-119.
  42. 조운주(2002b). "초임교사를 위한 입문교육". 유아교사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박은혜외). 122-150.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3. 조운주, 이춘자(2002).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인터넷 지원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 교육연구, 19(2), 57-79.
  44. 최명(2006).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스트레스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최석란, 신지연, 서원경(2004). 보육실습에 대한 보육시설장 및 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아동연구, 10, 57-82.
  46. 최정희(2004). 실습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경상남도 유치원 교사의 요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7. 탁정화(2011). 영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 장학 프로그램개발 기초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한국보육진흥원 (2011). 표준보육실습자도지침. 양성교육기관용.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49. 한국보육진흥원 (2012). 보육교직원자격기준변경사항안내.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50. 황종귀(2011).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현황 및 개선방안. 생활과학연구논총, 15(1),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