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demands to develop a supervision program for a child-care center  

Hwang, Hae-Ik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7, no.3, 2011 , pp. 189-20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a supervision program of a child-care center and to improve quality in the field of the child-care center by researching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 real condition and problems on the development and its improvement, necessity, demand about the scholarship program. An object of this study was randomly selected 230 staffs working for the child-care center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and Kyoungnam province. A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using a questionnaire made by writer with referring to the preliminary study which is associated with a supervision program of child-care center in order to research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s on the development of a supervision program. The collected material was analyzed by a PASW 18.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firstly, a perception of the supervision program was shown "know somewhat" the highest and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real condition of training and follow-up course for child-care teachers, "never educated" was the highest. Second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a perception of the problem on the development of supervision program, "unreflected-in-sound" was the highest. Thirdly,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differences of necessity on the development of a scholarship program for a child-care center according to some factors, there existed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erms of the class size, but there existed no difference in terms of the type of organization, institution type, academic background.
Keywords
childcare center; supervision; supervision program; demand;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명희(2001).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 장학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영철(2008). 사립유치원 교원의 원내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영미(2007). 보육시설 내 교사 장학프로그램. 한국유아교육 . 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81-84.
4 김갑순, 김민정(2010). 어린이집 자율장학의 현황 및 요구도: 근무기관 유형과 교육 경력에 따라. 유아교육학논집, 14(6), 79-100.
5 김휘경(2006). 동료장학실행수준에 따른 보육교사 전문성 발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류운석(2008). 유치원과 보육시설 교사의 자기장학 인식과 수행정도 및 활성화 반안. 한국영유아보육학, 54, 189-208.
7 박은혜, 김명순(2002). 유치원 자율장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교육과학연구, 33(1), 171-185.
8 박해미, 이순영(2009). 보육교사의 근무유형, 자격, 경력, 연령에 따른 장학요구 유형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3), 139-153.
9 송정원, 이대균(2008). 유치원 교사의 수업장학 경험의 이해. 유아교육연구, 28(4), 379-402.
10 여성부(2005). 보육 . 교육 이용 및 욕구실태조사 보고. 2004년도 전국 보육.교육 실태조사1.
11 원영미(2001). 보육시설 장학지도 모형개발을 위한 사례연구. 유아교육논총, 10, 109-140.
12 유수경, 윤정혜, 황해익(2007). 유치원 교사의 장학에 대한 이미지연구: Q방법론적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503-537.
13 이근주(2004). 어린이집 자율장학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근주(2006). 어린이집 자율장학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민간어린이집 시설장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6(2), 115-137.
15 이외경(2006). 유치원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윤식(1999). 장학론. 서울: 교육과학사.
17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1995).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18 임승렬, 김희진(2002). 유치원 교사의 장학정책과 기능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3(1), 149-169.
19 임현주, 이대균(2010). 어린이집 교사의 장학 경험과 그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213-241.
20 조성연(2007). 보육시설 내 교사 장학프로그램.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61-80.
21 조성연, 강재희(2007). 보육교사의 현직교육 및 보육시설 내 장학에 대한 현황과 보육시설장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1(2), 405-418.
22 조혜경(2006).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위한 장학에 대한 연구. 보육정책연구, 2(2), 83-100.
23 Gordon (1989). The Theory of Developmental Supervision: An Invesstigation of the Critical Aspect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0, 1502A.
24 하은옥, 황해익(2003). 유아교육기관의 동료장학 실행수준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논총, 12, 99-114.
25 한국교육개발원(2006). 책무성 강화를 위한 학교평가 체제 개발 연구 자료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6 Grimmett, Perter P. & Crehan, E. Patricia (1988). A Comparirison of Conferencing Strategies Used in Two Different Supervisory Dyads and the Effects on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Behavior.(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03-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