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e-service Educare Teacher's Leadership Experiences about Educare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Communities

예비보육교사의 지역사회에 기반한 보육프로그램 개발 리더십 경험에 대한 연구

  • 윤갑정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re-service educare teachers' leadership experience about program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were 41 juniors in college, majoring in Child Welfare. They attended an 'infant & young childhood educare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class for 15 weeks. During the given period they made documents from reflective journals and 5 participants among them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nalyzing the documents sheds light on the meaning of the pre-service educare teahcers' exper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ducare teachers got a deeper understanding and attachment about communities. Second, they did a critical analysis about well-known home and abroad educare programs. Third, they had a opportunity of reflection about their education philosophy and competences. Forth, they experienced diverse leadership that is needed from educare teacher. The results show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bou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educare teacher's curriculum leadership development.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이 지역사회에 기반한 보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내용들을 교사 리더십과 연결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의 보육교사 양성학과 영유아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수업에서 예비보육교사 41명을 대상으로 보육프로그램 개발과정이 실시되었다. 그 과정에서 기술된 이들의 반성적 저널과 수업 이후 실시된 5명의 면담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보육교사들의 경험은 첫째, 지역사회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애착 둘째,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분석 셋째, 자신의 교육철학과 역량에 대한 반성 넷째,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리더십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교육과정 리더십 개발을 위한 예비교사교육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녀(2012).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수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선미(2009).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의 운영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구은미, 김광웅(2005). 영유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 변인의 인과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139-157.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1). 5세 누리과정 해설서.
  5. 권연희, 최목화, 나종혜(2011). 보육교사의 교수신념 유형에 따른 보육과정 운영. 한국생활과학회지, 20(2), 353-364.
  6. 권정숙(2002).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반성적 사고수준과 교수능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경연(2007). 반성적 저널쓰기 과제에서 질문프롬프트의 제공여부가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산물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병찬(2005). 교사지도성 개발에 관한 시론적 논의. 숙명리더십연구, 2, 115-146.
  9. 김영명(2012). 누리과정 운영의 내실화 방안 -보육현장에서의 적용, 문제점, 개선방안. 2012 추계 한국보육지원학회 학술대회 자료집(pp. 35-66). 10월 6일. 부산대학교 본관 대회의실.
  10. 김옥렬(2000). 보육의 전문성을 위한 보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용순(2008). 장애아 통합보육 프로그램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장애아 통합보육시설 현장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윤옥, 김성혜, 김은경, 신경숙, 신경일, 정명화, 허승희, 황희숙 저(1996).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과 설계. 문음사.
  13. 김은희(2001). 협력적 교사교육을 통한 미시수준의 유아교육과정 변형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3), 237-265.
  14. 김현주(2011). 보육시설 적응 프로그램의 개별실시에서 나타난 영아의 적응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현진(200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대한 연구: 보육시설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8(4), 17-30.
  16. 김현진(2011).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이해 및 운영 실태.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남미경(2011). 대구지역 유아교육기관의 지역사회자원 활용실태 및 적용타당성 조사.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51-69.
  18. 류윤석(2009). 교사리더십 개발 전략 및 지원 과제 탐구. 교육행정학연구, 27(1), 281-301.
  19. 목승순(2011).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보육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 성남시 국공립보육시설과 민간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지영(2009). 가정보육시설 영아보육을 위한 표준보육과정 적용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박지현(2011).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서원경(2004). 보육교사와 영아의 애착 증진을 위한 야간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서은주(2008). 유아인성 교육을 위한 유아다례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석은조(2006).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신경희(2012). 교육과정 자율적 운영에 관한 교사의 역할 수행 비교: 한국과 미국교사를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1(2), 297-312.
  26. 신진영(2011).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유아교사의 창의성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신은수, 박은혜, 조운주, 이경민, 유영의, 이진화, 이병호(2011).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 방향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5), 203-226.
  28. 안세근(2009).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육교사 자격제도 개선 방안. 2009 추계 한국보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pp.1-12). 12월 9일 성남시 보육정보센터 대강당.
  29. 염지숙(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30. 우정희(2009). 유아의 지역사회 시민의식 함양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유아교육학논집, 13(4), 51-77.
  31. 오미옥, 신원식(2010).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유형.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3), 85-102.
  32. 이경진(2006).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9(2), 69-99.
  33. 이경진, 김경자(2005).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교육과정연구, 23(3), 57-80.
  34. 이미화(2012). 누리과정 개발 배경 및 도입 현황. 2012 추계 한국보육지원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21-32). 10월 6일. 부산대학교 본관 대회의실.
  35. 이병진(2003). 교육리더십. 서울: 학지사.
  36. 이선미, 변혜원, 김혜리(2011).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현장에서의 보육교사 리더십.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49-79.
  37. 이선주(2009).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 적응프로그램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이영석, 이세나(2004). 유아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소고: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229-254.
  39. 이은실(2011).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다문화프로그램이 유아의 편견과 자아개념,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이진화(2006). 한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리더쉽의 적용 가능성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1), 231-255.
  41. 장덕희(2004).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유아 교사교육 탐구.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8(2), 173-199.
  42. 장이권, 홍미리(2001). 제 7차 교육과정의 정착 과정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 연구논총, 17(3), 127-180.
  43. 전남익(2010).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리더십 개발과정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4. 전혜미(2012).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정미라, 이희선, 노은호(2004). 유아교육기관의 지역사회 문화교육 실시현황과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4(1), 241-258.
  46. 정선영(2002).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따른 보육프로그램 운영의 차이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정영희(2012). 동화를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조부경, 서윤희(2001). 셀프리더십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교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93-115.
  49. 조선경, 서영숙(2010). '서울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서 나타난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147-171.
  50. 조재식(2002).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의 일: 현상학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20(1), 229-252.
  51. 지옥정(2009). '프로젝트에 의한 유아기 환경교육'을 지향하는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의 변화 양상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8(3), 223-242.
  52. 지옥정, 장희선(2010). 프로젝트 접근법 수행을 위한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도출. 한국영유아보육학, 62, 261-281.
  53. 최남정, 임부연(2011). 유아교사의 심미적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53-375.
  54. 최윤정(2008).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과 학교교육과정 질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5. 한수연(2010).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다문화 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위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6. 한순화(2009). 표준보육프로그램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관심 및 활용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7. 홍금자, 이혜영(2008). 보육교사의 전문성 증진과 전문 인력의 확대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52(1), 125-154.
  58. 황기우(2008). 학교개혁을 위한 교사리더십 연구. 교육문제연구, 31, 23-47.
  59. 황옥경(2012). 보육교사의 처우 현황과 개선방안: 보수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49-272.
  60. Blank, J. (2009). Life in the village: Teacher community and autonomy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6, 373-380. https://doi.org/10.1007/s10643-008-0287-7
  61. Brownlee, J., Nailon, D., & Tickle, E. (2010). Constructing leadership in child care: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ustralas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5(3), 95-104.
  62. Clandinin, D. J., & Connelly, F. M. (1992). Teacher as curriculum maker. In P. W. Jackson(Ed.),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A project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pp. 363-461). New York: Macmillan.
  63. Freire, P. (2005). Teachers as cultural workers: letters to those who dare teach. with new commentary by Peter McLaren, Joe L. Kincheloe, and Shirley Steinberg Expanded Ed.(pp.39-46). Boulder, CO: Westview Press.
  64. Gay, G. (2003). Becoming multicultural educators: personal journey toward professional agency. San Francisco, CA: Jossey-Bass.
  65. Gronn, P. (2000). Distributed properties: a new architecture for leadership. Educational Management & Administration, 28(3), 317-338. https://doi.org/10.1177/0263211X000283006
  66. Harris, A. (2003). Teacher leadership as distributed leadership: heresy, fantasy or possibility? School Leadership & Management, 23(3), 313-324. https://doi.org/10.1080/1363243032000112801
  67. Helterbran, V. R. (2010). Teacher leadership: overcoming 'I am just a teacher' syndrome. Education, 131(2), 363-371.
  68. Henderson, J. G., & Hawthorne, R. D. (2000). Transformative curriculum leadership. Upper ddle River. NJ: Prentice-Hall.
  69. Ho, C. W. D. (2011). Identifying leadership roles for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mes. International Journal of Leadership in Education, 14(1), 47-59. https://doi.org/10.1080/13603120903387561
  70. Katzenmeyer, M., & Moller, G. (2001). Awakening the sleeping giant: Helping teachers develop as leader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71. Kaufman, R. C., & Ring, M. (2011). Pathways to leadership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spiring novice special educator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43(5), 52-60. https://doi.org/10.1177/004005991104300505
  72. Lambert, L. (2003). Leadership redefined: An evocative context for teacher leadership. School Leadership & Management, 23(4), 421-430. https://doi.org/10.1080/1363243032000150953
  73. Little, J. W. (2002). Locating learning in teachers' communities of practice: opening up problems of analysis in records of everyday work.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8, 917-946. https://doi.org/10.1016/S0742-051X(02)00052-5
  74. Margolis, J., & Deuel, A. (2009). Teacher leaders in action: motivation, morality, and money. Leadership and Policy in Schools, 8, 264-286. https://doi.org/10.1080/15700760802416115
  75. Sleeter, C. E. (2009). Pedagogies of inclusion in teacher education: Global perspectives. In S. Mitakidou, E. Tressou, B. B. Swadener, & C. A. Grant.(Eds.), Beyond pedagogies of exclusion in diverse childhood contexts: Transnational challenges (pp. 149-165). New York: Palgrave Macmillan.
  76. Sullivan, D. R-E. (2003). Translation from the English edition of learning to lead: Effective leadership skill for teachers of young children.(pp.103-124). St Paul, MN: Redleaf Press.
  77. Taylor, M., Yates, A., Meyer, L. H., & Kinsella, P. (2011). Teacher professional leadership in support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7, 85-94. https://doi.org/10.1016/j.tate.2010.07.005
  78. York-Barr, J., & Duke, K. (2004). What do we know about teacher leadership? Findings from two decades of scholarship.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4(3), 255-316. https://doi.org/10.3102/00346543074003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