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달유동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불연속면의 방향성과 지하수 유동과의 상관성 연구

  • Kim, Byeong-U;Jeong, Sang-Yong;Gang, Dong-Hwan;Kim, Seong-Uk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5.04a
    • /
    • pp.157-164
    • /
    • 2005
  • BIPS와 Televiewer를 이용하여 10개의 지하수 관측공에서 획득된 1,591개 불연속면을 분석하여 지하수 유동과의 관계를 비교${\cdot}$분석하였다. 연구지역 내의 지형은 산계가 잘 발달된 계곡형 지형이며, 수계의 발달은 매우 미약하다. 연구지역 주변에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양산단층과 동래단층이 발달되어 있으며, 연구지역 내에는 EW방향의 선구조도 발달되어 있다. 지하수공내에서 조사된 불연속면의 주 방향은 위성사진에서 판독된 선구조의 방향과 대부분 일치한다.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작성된 지하수위 등고선도에서 추정된 지하수 유동방향과 유향${\cdot}$유속기에서 측정된 지하수 유향은 거의 일치하지만, 단열암반에 발달된 불연속면의 방향과 지하수 유동방향은 2가지로 해석되었다. 첫째는 단열암반에 발달된 불연속면의 방향과 지하수 유동방향이 잘 일치하는 경우(BH-01, 03, 04, 12공), 둘째는 불연속면의 방향과 지하수 유동방향이 잘 일치하지 않는 경우(BH-02, 05, 07, 11) 이다. 지하수 유동방향이 불연속면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지형의 변화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열암반 내에서 지하수의 유동은 단열의 방향성에 영향을 받지만, 지형의 특성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 PDF

Laminar Convective Heat Transfer of a Bingham Plastic in a Circular Pipe(II) Numerical approach-hydrodynamically develrping flow and simultaneously developing flow (원관내 Bingham Plastic의 층류 대류 열전달(2) 수치해석적 연구-속도분포 발달유동과 속도 및 온도분포 동시 발달유동)

  • Min, Tae-Gi;Choe, Hyeong-Gwon;Choe, Hae-Cheon;Yu, Jeong-Yeo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20 no.12
    • /
    • pp.4003-4012
    • /
    • 1996
  • Hydro dynamically developing and simultaneously (hydro dynamically and thermally) developing laminar flows of a Bingham plastic in a circular pipe have been investigated numerically. Solutions have been obtained by using a four-step fractional method combined with an equal order bilinear finite element method. For the hydro dynamically developing flow, shorter entrance length is required to reach fully developed velocity field for larger yield stress and non-monotonic pressure drop along the pipe centerline is observed when the yield stress exceeds a certain critical value. For the simultaneously developing flow,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show the same trends as those predicted for the thermally developing flow (Graetz problem).

Incompressible Laminar Entry Flows in a Square Duct of Strong Curvature Using an Implicit SMAC Scheme (SMAC 음해법에 의한 큰 곡률를 갖는 정사각형 덕트내의 비압축성 층류 입구유동)

  • Shin B. R.;Ikohagi T.
    •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 /
    • v.1 no.1
    • /
    • pp.35-46
    • /
    • 1996
  • 원심형 임펠러 내부 유로등 큰 곡률을 수반하는 터보기계 요소의 유동해석을 위한 계산코드를 개발하였다. 이 코드에서는 곡선좌표계에 유도된 3차원 비압축성 Navier-Stokes의 운동 방정식을 SMAC 음해법으로 푼다. 이 코드를 이용하여 유로의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90도로 굽은 덕트내부의 층류 입구유동을 해석하고, 굽은 관 특유의 유동현상을 수치모사하였다 또한 곡관부 입구에서 충분히 발달한 유동, 또는 발달중인 유동이 유입될 경우에 이것이 곡관부 내부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상·하류의 계산영역이 서로 다를 몇몇 유동장에 대하여 조사하고, 본 계산에서 얻어진 결과와 실형결과와의 비교로 본 3차원 유동해석 코드의 유효성을 검토 하였다.

  • PDF

Study on Laminar Mixed Convection of Developing Flow in Vertical Pipe (수직관내 발달 유동의 층류혼합대류 연구)

  • Ko, Bong-Jin;Chung, Bum-J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5
    • /
    • pp.481-489
    • /
    • 2010
  • Experiments on laminar mixed convection in a vertical pipe were performed for the Re range 1,000-3,000, the $Gr_H$ range $10^5-10^8$, the Pr range 2,000-7,000, and aspect ratio range 1-7. Using the analogy concept, heat transfer systems were simulated by mass transfer systems. A cupric acid.copper sulfate electroplating system was adopted as the mass transfer system, and the mass transfer rates were measured. The measured Nu values were far greater than those previously reported because of the large value of pr in this experiment. As the aspect ratio in this study was not sufficiently large for the flow to be fully developed, the test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for mixed convection on a vertical plate rather than that inside a long vertical pipe. It was concluded that the behavior of laminar mixed convection of a developing flow in a vertical pipe at a low aspect ratio and low $Gr_H$ is similar to that of laminar mixed convection in the vertical plate. As the aspect ratio and $Gr_H$ increase, the laminar mixed convection phenomena becomes similar to that observed in a fully developed flow in the vertical pipe.

종유굴의 형성과정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5
    • /
    • pp.5-13
    • /
    • 1979
  • 종유굴이 생성되어 어떠한 경로로 발달하며 다시 쇠퇴하여 붕괴되고 마는가에 대한 우리들의 관심은 크다. 더구나 어떤 지역에 카르스트지형에 발달하며 동굴의 발달원인을 구명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제 필자는 종유동의 유형과 특성, 동굴의 성인, 그밖에 동굴의 이용과 자연보존에 과한 제논문에 뒤이어 이번에는 이들 종유동들이 형성ㆍ발달되어 가는 윤회과정을 분석코자 한다.(중략)

  • PDF

Experimental Study on Local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Flat Plate Using Tripping Wire (트리핑 와이어를 사용한 평판에서의 국소물질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oo, Seong-Yeon;Cho, Woong-Sun;Jo, Woo-Si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7 no.3
    • /
    • pp.285-29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 boundary layer separation caused by a tripping wire installed in front of the flat plate affects the transition from laminar to turbulent flow, and consequently mass transfer. A naphthalene sublimation technique is used to measure the local mass transfer coefficients on the flat plate, and two boundary conditions for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flow are consider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flow boundary. The local mass transfer data for a flat plate with a tripping wire are compared with the data for a flat plate without a tripping wire. The variation trends of the local heat transfer coefficients for the plates with and without the tripping wire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case of the developing flow, but are quite different for the developed flow. The average Sherwood number for the flat plate with a tripping wire is much higher than that without a tripping wire because of the boundary layer separation.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quifer Distribution and Groundwater Flow at the Ulsan Metropolitan City (울산도시지역의 대수층 분포특성과 지하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 김병우;정상용;조병욱;성익환;강동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114-118
    • /
    • 2004
  • 울산지역의 대수층 분포특성과 지하수 유동특성에 관해 연구하기 위해 크리깅 기법을 이용하였다. 울산지역의 시추자료 1,783개 지점과 지하수위자료 총 1,171개 지점에 대하여 2년간(2002년~2003) 자료를 획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지역의 표고 충적층 하부경계 심도, 충적층, 하부경계 심도, 충적층 층후, 풍화대 층후, 충적층-풍화대 층후, 대수층 단면, 지하수위 그리고 지하수유동 분석을 하기 위해 베리오그램 분석한 결과 풍화대 하부경계 심도에 지수형모델(exponential model), 나머지 지하수위를 포함한 성분들은 모두 구상형모델(shperical model)이 가장 적합하게 나타났다. 울산지역 대수층의 경우 산악지역은 얕은 충적층과 풍화대 분포가 나타나는 반면, 남구는 충적층, 북구는 풍화대 발달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울산지역의 충적층과 풍화대 층후 분포특성이 울산단층을 따라 층후가 두껍게 나타났다. 지하수 유동은 고지형의 북구와 동구 산악지역에서 바다에 인접한 내륙지역으로 지하수 유동특성을 보였으며, 울산의 4개구는 산악지역, 태화강, 동천강, 울산단층 그리고 충적층과 풍화대가 잘 발달된 대수층을 따라 지하수유동 특성이 잘 나타났다.

  • PDF

Process of Hairpin Vortex Packet Generation in Channel Flows (채널 유동 내에서 헤어핀 보텍스 패킷의 형성 과정)

  • Kim, Kyoung-Yo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6 no.8
    • /
    • pp.839-847
    • /
    • 2012
  • Numerical simulations for channel flows with $Re_{\tau}$ = 180, 395 and 590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airpin packet formation process in wall-bounded turbulent flows. Using direct numerical simulation databases, the initial flow fields are given by the conditionally averaged flow field with the second quadrant event specified at the buffer layer. By tracking the initial vortex development, the change in the initial vortex to an ${\Omega}$-shaped vortex and th generation of a secondary hairpin vortex were found to occur with time scales based on the wall units. In addition, at the time when the initial vortex has grown to the channel cente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airpin vortex packet is approximately $12{\sim}14^{\circ}$, which is similar for all three Reynolds numbers. Finally,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evolution of two adjacent hairpin vortices have been perform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djacent vortex packets.

Numerical Simulation of the Fully Developed Flow and Heat Transfer of a Plate Heat Exchanger Taking into Account Variation in the Corrugation Height (주름높이의 변화를 고려한 판형열교환기의 완전발달유동 및 열전달 수치해석)

  • Moh, Jeong-Hah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6 no.1
    • /
    • pp.1-8
    • /
    • 2012
  • Numerical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ully developed flow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plate heat exchanger. Multi-cell models with an inlet part and outlet part are used to perform the numerical simulation. The pl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by a chevron angle of $20^{\circ}$ and a P/H ratio of 2.0~4.0. The working fluid is water and the Reynolds numbers range from 300 to 1,500. The correlation is given in the form of $f=CRe^m$ for the friction factor and $j=CRe^m$ for the Colburn factor. It is found that the fully developed flow starts from the third cell and the Nusselt number increases with decreasing P/H ratios.

A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Laminar Pulsating Flows in a Square Duct (정4각단면덕트 입구영역에서 층류맥동유동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 박길문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5
    • /
    • pp.1683-1696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정4각단면덕트 입구영역에서 층류맥동유동(laminar pulsating flows)의 유동특성을 이론 및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이론적 방법으로 덕트 입 구영역에서의 층류맥동유동에 대한 운동량방정식을 유도한 후 비선형인 대류항을 선형 화 시켜서 라플라스변환으로 속도분포식의 해를 구하였고, 실험적인 방법으로는 시험 덕트 크기는 횡단면의 가로*세로가 40mm*40mm이고, 길이가 4000mm인 정4각단면덕트 입구영역에서 송풍기에 의한 공기흡입유동으로 층류진동유동을 발생하며 이들 두유동 을 합성시켜 발생한 층류맥동유동에 대하여 열선유속계의 열선신호로부터 얻어진 속도 파형을 고찰하여 덕트내의 맥동유동에 대한 임계레이놀즈수를 결정하고 속도분포를 측 정하였다. 그리고 이론적으로 얻어진 속도분포식과 열선유속계로 측정한 속도분포를 비교검토하여 정확성을 검증하고, 이들 해석결과로 부터 층류맥동유동의 입구길이(en- trance lenght)식을 결정하여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