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턱 스위칭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프로그래머블 스위치에 이용 가능한 GeTe 박막의 특성 연구

  • Bang, Gi-Su;Lee, Se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378-378
    • /
    • 2013
  • 칼코겐화물의 일부는 전류 등의 에너지 입력에 따라 결정구조가 비정질 및 결정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변화하며 상변화에 따라 전기 저항이 바뀌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칼코겐화물 상변화 재료의 장점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머블 스위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변화 재료만을 이용하는 프로그래머블 스위치는 전기신호 누설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난 연구에서는 문턱 스위칭 칼코겐화물을 포함하는 다층구조 스위치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머블 스위치의 구성물질로서 문턱 스위칭 특성을 보이는 GeTe 박막의 특성을 보고한다. RF magnetron sputtering 방식을 이용하여 GeTe 박막을 증착하고 온도에 따른 결정화 양상 및 표면 형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GeSbTe 박막의 경우 $100^{\circ}C$ 근방에서 결정화가 시작되었고, 온도가 증가할수록 결정화가 급격히 진행되었다. 반면 GeTe 박막에서는 온도 증가에 따른 결정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eTe 합금 박막은 프로그래머블 스위치의 구성요소로서 문턱 스위칭에 적합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Dual Mode Packet Service in the IMT-2000 (IMT-2000에서 이중 모드 패킷 서비스의 성능 분석)

  • 반태원;이상민;조유제;송재섭;정제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59-26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IMT-2000 시스템에서 공용 채널과 전용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는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공용 채널을 통한 패킷 전송은 랜덤 액세스 방식을 사용한다.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은 전송할 패킷의 길이와 발생 빈도에 따라 공용 채널과 전용 채널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높은 전송 효율을 보장하는 전송 방식이다.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은 전송할 패킷의 크기가 스위칭 문턱값 보다 클 경우 전용 채널을 통해 전송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공용 채널을 통해 전송을 시도하게 된다. 이중 모드 패킷 전송에서 높은 전송 효율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스위칭 문턱값을 적절히 설정하여야 하며 최적의 스위칭 문턱값은 전용 채널을 요청한 후 할당받는데 걸리는 지연 시간, 공용 채널에서 패킷을 전송한 후 ACK를 받는데 걸리는 지연 시간, 전용 채널과 공용 채널의 오류율, 전용 채널과 공용 채널의 수 그리고 발생되는 평균 패킷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모드 패킷 전송 방식에서 트래픽 형태에 따른 최적의 스위칭 문턱값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witching Voltage of Memory Device using Amorphous Chalcogenide Semiconductor (비정질칼코게나이드반도체를 이용한 기억소자의 스위칭전압에 관한 연구)

  • 박창엽;정홍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14 no.2
    • /
    • pp.10-16
    • /
    • 1977
  • Memory switching of the amorphous chalcogenide Ge-Te-Si memory devices were observed at various thicknesses and temperatures. For a given thickness, the distribution of threshold voltages shows a strong peaks, which is attributed to the intrinsic switching mechanism. The plot of Vth versus thickness indicates that threshold voltages were lowered and switching fields were raised as thickness was decreased. And threshold voltage sagged as temperature was raised and the fact that threshold voltage can be lowered at the temperature range under Tg was obtained.

  • PDF

다이오드 레이저로 들띄운 Nd:YAG 레이저의 제2차 고조파 발진 문턱에서 on-off 간헐성 현상

  • 김동익;김규욱;고명석;김칠민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42-43
    • /
    • 2000
  • 레이저 시스템에서의 혼돈에 관한 연구는 Q-스위칭 레이저$^{(1)}$ , 모드록킹 레이저$^{(2)}$ 그리고 Nd:YAG 레이저의 제2차 고조파에서$^{(3)}$ 실험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이러한 실험적인 결과들을 레이저 비율 방정식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방법들이 보고되었다.$^{(4-6)}$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율 방정식만으로는 만족스럽게 설명하지 못하는 레이저 혼돈 현상들이 많이 존재한다. 레이저시스템에서 알려지지 않은 현상들 중 하나가 발진 문턱 근처에서의 행동이다. 레이저 시스템은 양자 잡음, 펌핑 잡음 등에 의한 잡음 현상들을 나타내는데, 이것들은 때때로 특히 발진 문턱에서의 레이저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한 경우 잡음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는 한 비율 방정식만으로 혼돈 현상들을 설명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발진 문턱 근처에서의 레이저 출력에 관한 혼돈 현상은 최근에 수행된 연속 발진 Nd:YAG 레이저와$^{(7)}$ Q-스위칭 Nd:YAG 레이저를$^{(8)}$ 제외하면 보고된 것이 거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작은 주기적인 변조가 가해진 다이오드 레이저로 들띄운 Nd:YAG 레이저의 내부 발생형 제2차 고조파의 출력이 나타내는 혼돈 현상이 바로 on-off 간헐성임을 보여주는 실험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중략)

  • PDF

다층구조 프로그래머블 스위치용 칼코겐화물 합금재료

  • Bang, Gi-Su;Jeong, So-Un;Lee, Se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300-300
    • /
    • 2012
  • 프로그래머블 스위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자의 프로그래밍에 따라 로직 블록과 배선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소자이다. 기존의 프로그래머블 스위치는 상변화 특성을 보이는 칼코겐화물을 이용하는데, 상변화 재료만을 이용하는 스위치는 전기신호 누설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머블 스위치의 활성물질로서 상변화 재료 및 문턱(threshold) 스위칭 특성을 보이는 칼코겐화물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제안하고, 다층구조에 적용 가능한 칼코겐화물 합금 특성을 보고한다. RF magnetron sputtering 방식을 이용하여 doped GeSbTe 박막을 증착하고 온도에 따른 면저항 및 표면 형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Doped GeSbTe는 기존의 GeSbTe 상변화 재료와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면 저항 및 표면 형상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doped GeSbTe 합금 박막은 다층구조 프로그래머블 스위치의 활성물질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Improved Distribution of Threshold Switching Device by Reactive Nitrogen and Plasma Treatment (반응성 질소와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문턱 스위칭 소자의 개선)

  • Kim, DongSi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8
    • /
    • pp.172-177
    • /
    • 2014
  • We present on a threshold switching device based on AsGeTeSi material which is significantly improved by two $N_2$ processes: reactive $N_2$ during deposition, and $N_2$ plasma hardening. The introduction of N2 in the two-step processing enables a stackable and thermally stable device structure, is allowing integration of switch and memory devices for application in nano scale array circuits. Despite of its good threshold switching characteristics, AsTeGeSi-based switches have had key issues with reliability at a high temperature to apply resistive memory. This is usually due to a change in a Te concentration. However, our chalconitride switches(AsTeGeSiN) show high temperature stability as well as high current density over $1.1{\times}10^7A/cm^2$ at $30{\times}30(nm^2)$ celll. A cycling performance of the switch was over $10^8$ times. In addition, we demonstrated a memory cell consisted of 1 switch-1 resistor (1S-1R) stack structure using a TaOx resistance memory with the AsTeGeSiN select device.

Effect of a-Si:H TFT Instability on TFT-LCD Panel with Integrated Gate Driver Circuits (Gate 구동 회로를 집적한 TFT-LCD에서 a-Si:H TFT Instability의 영향)

  • Lee, Hyun-Su;Yi, Jun-Sin;Lee, Jong-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1a
    • /
    • pp.172-175
    • /
    • 2005
  • a-Si TFT는 TFT-LCD의 화소 스위칭(swiching) 소자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현재는 a-Si을 이용하여 gate drive IC를 기판에 집적하는 기술이 연구, 적용되고 있는데 이때 가장 큰 제약은 문턱 전압의 이동이다. 펄스(pulse)형태로 인가되는 gate 전압에 의한 문턱 전압 이동은 a-Si:H gate에 인가되는 펄스의 크기, duty cycle, drain pulse의 크기 및 동작 온도에 기인하며 실험결과를 통해 입증된다. 초기의 DC Stress 측정 Data를 이용하여 문턱전압이동을 모델링/시뮬레이션한 결과 a-Si:H gate 회로설계 및 펄스 조건에 따라 stress시간에 따른 gate의 출력 파형 예측이 가능하고 상온에서 Von=21V를 인가한 결과, 약 4년후에서 시프트레지스터 출력 파형이 열화되기 시작한다.

  • PDF

5-TFT OLED Pixel Circuit Compensating Threshold Voltage Variation of p-channel Poly-Si TFTs (p-채널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변동을 보상할 수 있는 5-TFT OLED 화소회로)

  • Chung, Hoon-Ju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9 no.3
    • /
    • pp.279-284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OLED pixel circuit to compensate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of p-channel 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thin-film transistors (LTPS TFTs). The proposed 5-TFT OLED pixel circuit consists of 4 switching TFTs, 1 OLED driving TFT and 1 capacitor. One frame of the proposed pixel circuit is divided into initialization period, threshold voltage sensing and data programming period, data holding period and emission period. SmartSpic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error rate of OLED current is -4.06% when the threshold voltage of driving TFT varies by ${\pm}0.25V$ and that of OLED current is 9.74% when the threshold voltage of driving TFT varies by ${\pm}0.50V$. Thus, the proposed 5T1C pixel circuit can realize uniform OLED current with high immunity to the threshold voltage variation of p-channel poly-Si TFT.

Relation of Short Channel Effect and Scaling Theory for Double Gate MOSFET in Subthreshold Region (문턱전압이하 영역에서 이중게이트 MOSFET의 스켈링 이론과 단채널효과의 관계)

  • Jung, Hak-K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7
    • /
    • pp.1463-1469
    • /
    • 2012
  • This paper has presented the influence of scaling theory on short channel effects of double gate(DG) MOSFET in subthreshold region. In the case of conventional MOSFET, to preserve constantly output characteristics,current and switching frequency have been analyzed based on scaling theory. To analyze the results of application of scaling theory for short channel effects of DGMOSFET, the changes of threshold voltage, drain induced barrier height and subthreshold swing have been observed according to scaling factor. The analytical potential distribution of Poisson equation already verified has been used. As a result, it has been observed that threshold voltage among short channel effects is grealty changed according to scaling factor. The best scaling theory for DGMOSFET has been explained as using modified scaling theory, applying weighting factor reflected the influence of two gates when scaling theory has been applied for channel length.

Output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of the gain coefficient of a pulsed Nd:YAG laser (펄스형 Nd:YAG 레이저의 출력특성과 이득계수 측정)

  • 박대윤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0 no.1
    • /
    • pp.53-57
    • /
    • 1999
  • We established the laser oscillator using Nd:YAG crystal grown at Ssang Yong company in Korea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oscillation, Q-switching and wave front of output beam. We measured the single pass gain by controlling the threshold input energy with two output couplers of different output reflectances. Moreover, we compared the gain measured by different output couplers with the gain directly measured by the laser amplifier. The peak power of Q-switching, the pulse width, and the single pass gain coefficient at the threshold energy were 1.5 MW, 30ns, and 0.0958 cm-$^1$ respectively and the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mmercial Nd:YAG crystal. Our crystal was proved to be as good as the commercial cryst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