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제중심수업모형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5초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문제기반학습 수업모형개발 (Development of Problem-Bas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in Simultaneous Non-face-to-face Classes)

  • 변길희;조우홍;장영은;윤경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185-186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수업모형 개발과 그 적용가능성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특징 및 수업운영 전략 등에 대하여 고찰하고, 문제중심학습 수업운영 경험자 3인의 인터뷰를 통해 실시간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모형을 개발할 것이다. 이를 문제중심학습 수업 운영 경험이 풍부한 5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업모형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문제중심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실시간 비대면 수업상황에서 주어진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고 창의적 사고를 하며 주도적으로 학습에 임하게 함으로써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PDF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초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Practical Problem-Based Learning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 이은영;최지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5-175
    • /
    • 2019
  • 본 연구는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할 때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설계하는데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가 되는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고찰, 수업설계 모형에 대한 문헌 고찰,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단계의 문헌 고찰을 통해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단계와 하위요소 등의 내용을 선정하고, 템플릿을 구안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디자인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개발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초안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통해 모형을 수정·보완하고, 최종적으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을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은 '목표 설정하기, 평가 계획하기, 학습활동 계획하기'의 3단계로 구성된 모형의 초안에서 전문가 검증을 거쳐 '실천적 문제 설정하기, 목표 설정하기, 평가 계획하기, 학습활동 계획하기'의 4단계로 최종적으로 모형을 수정·보완하였다.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은 전문가 검증을 통해 교사들이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하고자 할 때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체계적인 템플릿이라고 평가하였다.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 (A model of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special subject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technical high schools)

  • 김익수;문대영;류창열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0
    • /
    • 2006
  •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와 산업 현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수업의 새로운 접근을 위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일, 학습, 삶이 상호연관 되는 질 높은 실기 수업을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교에 적합한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의 실기수업에 적합한 문제해결 과정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고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여 이를 근거로 공업계고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생들이 실생활의 비 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업 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과정, 즉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쳐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형태를 의미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에서 교사는 문제의 설계, 문제해결을 촉진하는 질문과 언어적 개입이 요구되며, 힌트와 조력을 하는 코치 역할과 Think Aloud을 이용한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인지적 모델링 역할이 요구된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문제 중심 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습동기 유발 및 자기 주도적 학습과 협동적 학습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상황중심의 문제해결모형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실행연구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ing and applying mathematical situation based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odel)

  • 김남균;박영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429-459
    • /
    • 2009
  • 실행연구는 연구자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실제를 개선하고 자신의 전문적 지식을 향상시켜 나가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와 가정에서 수학을 많이 접함에도 불구하고 수학적 문제해결력이 낮고 실생활에 적용시키는 수학적 이해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인식한 교사가 학생들의 수학적 이해력을 높이고 교사 자신의 수학 교수법을 계발하려 데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를 실행한 교사는 수학적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을 학생들 스스로가 잦아보게 하여 수학을 실생활에 적용할 줄 알고 수학과 친숙해지도록 하는 수학적 이해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상황중심의 문제해결 모형을 고안하였다. 본문에서는 교사가 연구자가 되어 학생들의 이해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개발한 상황중심의 수업 모형을 설명하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과 수업의 반성을 통해서 얻은 연구자의 성찰적 지식을 정리하였다.

  • PDF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인터넷 윤리 학습 모형 (An Internet Ethics Learning Model based on PBL)

  • 박정미;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9-3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에 기반한 인터넷 윤리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한다. 새로운 학습 모형은 토론과 글쓰기를 통한 학습자 참여 중심의 수업으로 이루어진다. 새로운 학습 모형을 수업에 적용한 후 인터넷 윤리의식의 변화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율, 존중, 참여, 책임 영역에서 학습자의 인터넷 윤리의식이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자율과 책임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집단지성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PBL-based Programming Instruction Model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 김길모;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3-32
    • /
    • 2011
  • 인터넷은 '참여', '공유', '개방', '협력'의 웹 2.0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나타나고 있다. 웹 2.0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이용자들의 참여가 확대되고, 전문가 한 사람의 의견보다 집단의 다양한 생각이 더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집단지성은 웹 2.0의 가치를 가장 잘 나타내는 기술로 교육적 활용을 위한 잠재력 또한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 신장을 위하여 집단지성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적용 결과, 개발한 수업 모형은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집단지성을 활용한 문제 중심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이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

효율적인 컴퓨터 교육을 위한 e-PBL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PBL Teaching Model for an Efficient Computer Education)

  • 오세만;주길홍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47-152
    • /
    • 2007
  •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새로운 정보와 지식의 양을 급속하게 증가시켜 지식 기반사회로의 체제를 굳건히 만들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전통적 교수-학습 방법은 더 이상 학습자의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기 어렵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전통적 교수-학습 방법을 대신할 수 있는 지식기반사회의 적합한 수업모형인 문제중심학습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를 발전시켜 온라인 기반의 e-PBL (e-Learning PBL)은 e-Learning과 PBL을 결합시킨 수업모형으로 전통적 교수-학습 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정보소양교육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e-PBL 수업모형, 수업문제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타당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e-PAS 시스템을 구축하여 e-PBL을 지원함으로써 학업성취도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만족도를 신장시켰다.

  • PDF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열처리와 인장시험 실기수업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heat treatment and the tensile strength test to improve the key competencies)

  • 김익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수업을 공업계 고등학교 열처리와 인장시험 실기수업에 적용하여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의 실기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수업 모형을 구안 적용하였다. 둘째,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여 이를 근거로 공업계고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직업기초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생들이 실생활의 비 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업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과정, 즉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쳐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에서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문제해결 및 발표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공학설계 교과목에서 문제 중심 교수-학습과 프로젝트 중심 교수-학습 전략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Course of Engineering Design)

  • 신행자;손준익;임영도;김종욱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142-149
    • /
    • 2009
  • 본 논문은 공과대학 공학설계 교과목의 기존 수업 운영 방법 즉, 프로젝트-중심 수업 전략과 PBL 모형을 도입한 문제-중심 수업 전략을 비교 분석하여 알려진 PBL모형의 수업 효과가 만족되었는지, 팀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공학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일 공학설계 교과목을 기존의 프로젝트-중심 수업과 문제-중심 수업으로 운영한 후 전수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문제-중심 수업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요인이 프로젝트-중심 수업보다 통계적 유의함이 검증되었다. 또한 팀워크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요인들의 평균이 더욱 높아 수업효과가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팀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전자는 팀 활동, 후자는 팀 과제내용 이해도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수업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문헌정보학에서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연구 I - 설계 모형 적용과 성찰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L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 Course Developing and Analysis of Self-Reflective Journal)

  • 강지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1-34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강의실 현장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문제해결 방안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시나리오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문제는 분석단계활동(요구분석, PBL 수업적합성 판단,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PBL 운영환경 결정, PBL 수업형태 결정)과 설계단계활동(문제상황설계, 학습자원설계, 문제해결과정촉진설계, 운영전략설계, 평가설계, PBL 운영환경설계)을 통해 도출되었다. 초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1차 문제상황 수업을 진행한 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결과를 일차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연구자는 첫번째 PBL 문제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의 방법이 고안/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문제 상황 수업 후 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수정사항을 수렴한 연구 결과는 교과설계의 2차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PBL 모델 개발 사례를 소개하여 향후 후속 수업적용과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