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Course of Engineering Design

공학설계 교과목에서 문제 중심 교수-학습과 프로젝트 중심 교수-학습 전략 비교 분석

  • Shin, Haeng-Ja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Dong-A Univ.) ;
  • Son, Joon-Ik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Dong-A Univ.) ;
  • Im, Young-Do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Dong-A Univ.) ;
  • Kim, Jong-Wook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Dong-A Univ.)
  • 신행자 (동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손준익 (동아대학교 전자공학과) ;
  • 임영도 (동아대학교 전자공학과) ;
  • 김종욱 (동아대학교 전자공학과)
  • Received : 2009.08.12
  • Accepted : 2009.10.27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on the course of a conventional engineering design (typically project-based learning) and a new engineering design (introduced PBL model to conventional engineering desig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nd prove the effect of PBL model on the course with a new teaching-learning. In the result of t-test,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s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ut no significant statistics in the team work and communication skill ability. Also the average of factors of the problem-based strategy is higher than those of the project-based strategy. In the problem-based strategy, the team work has the most influential on the satisfactory of the course. However in the project-based strategy, the comprehension of given product has the most influential on the satisfactory. Finally, this study has proved the effect of PBL on the course engineering design.

본 논문은 공과대학 공학설계 교과목의 기존 수업 운영 방법 즉, 프로젝트-중심 수업 전략과 PBL 모형을 도입한 문제-중심 수업 전략을 비교 분석하여 알려진 PBL모형의 수업 효과가 만족되었는지, 팀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공학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일 공학설계 교과목을 기존의 프로젝트-중심 수업과 문제-중심 수업으로 운영한 후 전수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문제-중심 수업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요인이 프로젝트-중심 수업보다 통계적 유의함이 검증되었다. 또한 팀워크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요인들의 평균이 더욱 높아 수업효과가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팀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전자는 팀 활동, 후자는 팀 과제내용 이해도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수업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소연 외(2005). 공학교육에서의 PBL 수업의 효과. 공학교육연구, 8(2) : 24-34
  2. 강인애.정준환.정득년(2007). PBL의 실천적 이해, 문음사
  3. 동아대학교(2007). 팀워크기술-팀제 교육과정 중심의 학습성과 평가, 한국공학교육연구센터구축사업 최종보고서. 한국공학교육연구센터, 667-697
  4. 박강 외(2005). 창의공학, 인터비젼
  5. 조연순(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6.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6). 공학인증기준2005 (KEC 2005), ABEEK-2006-AB-020
  7. ABET(2007), Engineering Accreditation Commission, ABET, Inc
  8. Lyle D. Feisel. et al.(2002), A Colloquy on Learning Objectives For Engineering Education Laboratories, Proceeding of the 2002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Annual Conference & Exposition
  9. Rogers, G. M.(2003). Outcome-based Program Assessment, Rose-Hulman Institute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