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조직 염색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24초

Histi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에서 HHV6과 EBV의 검출 (Detection of HHV6 and EBV in histi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

  • 박경희;박성식;김지연;박수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9호
    • /
    • pp.987-991
    • /
    • 2008
  • 목 적 : Kikuchi-Fujimoto disease는 histi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라고도 불리는 질환으로 발열과 경부 림프절염을 특징으로 하며 자연 호전되는 경과를 보이는 질환이다.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잘 밝혀지지 않았다. 자연 호전되는 경과 등은 이 질환의 원인으로 바이러스 감염을 추측하게 되고, 고려되는 바이러스로는 대표적으로 EBV, HHV6, HHV8, CMV 등이 있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 EBV, HHV6를 선택하여 HNL와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에서 2005년 사이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조직검사에서 KFD으로 진단된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나이, 성별, 발열기간, 침범된 림프절 등에 대하여 의무기록지를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들의 조직을 이용하여 EBV에 대한 ISH을 시행하고, HHV6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각각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는 남자가 24명, 여자가 27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5.9세였다. EBV에 대한 ISH에서 양성을 나타낸 환자는 51명 중에서 8명으로 15.7%였으며 HHV6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양성을 나타낸 환자는 15명으로 29.4%였다. EBV의 경우 혈청검사(VCA IgG와 VCA IgM)가 같이 시행된 경우가 23명이었고 이중 한 명에서 EBV VCA IgM이 양성이면서 EBV ISH에서도 양성이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HNL의 원인으로서 EBV와 HHV6의 역할을 증명하지 못하였으나, 드물게 HNL의 원인으로 바이러스 감염이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위암에시 EphB2 단백의 발현 양상 (Expression Pattern of EphB2 in Gastric Cancer)

  • 송재휘;김창재;조용구;박조현;남석우;유남진;이정용;박원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25-30
    • /
    • 2006
  • 목적: EphB2 수용체는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 군에 속하면서 Wnt 신호 전달계의 대상 유전자로 세포의 성장 및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종양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한다. 연구자들은 한국인 위암에서 EphB2 단백의 발현 변화가 위암의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지와 위암의 병리 지표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3예의 파라핀 포매된 위암조직에서 암세포들을 각각 3군데에서 펀치하여 새로운 파라핀 블록으로 옳겨 위암의 고집적 tissue microarray를 제작하였다. Tissue microarray 절편에서 EphB2 단백에 대한 항체로 면역조직화 학염색을 실시한 후 그 발현 양상을 병리 지표들인 조직학적 분류, 침습 정도, 림프절 전이 및 복막 파종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EphB2 단백은 정상 위 점막 상피세포의 세포막과 세포질에서 발현되고 있었고 조사된 83예의 위암 중 30예 (36.1%)에서 발현이 소실되었다. 흥미롭게도 EphB2 단백의 발현 소실은 위암의 림프절 전이와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있었으나 조직학적 분류, 침습 정도 및 복막 파종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이러한 소견들은 EphB2 수용체 단백의 발현 소실이 위암의 발생 및 진행에 있어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임을 의미한다.

  • PDF

Rat에서 ethylene glycol에 unfolded protein response의 조절 (Regulation of Unfolded Protein Response by Ethylene Glycol in Rat)

  • 이은령;권기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104-1108
    • /
    • 2013
  •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은 자동차 부동액 주성분으로 우리 실생활에 널리 쓰이고 있다. 접근이 용이하고 달콤한 맛 때문에 자살목적이나 보관 및 사용 시 의도적으로 또는 실수로 인한 오용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에틸렌 글리콜은 그 자체로는 인체의 독성이 낮지만 생체에서 대사과정을 거치면서 독성이 높아진 유기산을 만들어 다양한 조직에서 광범위한 세포손상을 유발한다. 다양한 세포 스트레스가 소포체(ER) 샤페론과 소포체 스트레스 센서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rat 조직에서 소포체 샤페론과 소포체 스트레스 센서 유전자의 발현 조절이 에틸렌 글리콜에 의해 유도되고, 조직학적 변화도 H&E 염색 및 면역 형광염색에 의해 확인하였다.

경락추적을 위한 피내 알시안 블루 주입방법 (Intradermal Alcian-Blue Injection Method to Trace Acupuncture Meridians)

  • 성백경;김민수;오가이;강대인;소광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12
    • /
    • 2008
  • 목적 : 본 논문에서는 경락을 추적하기 위한 피내(皮內) 알시안 블루(Alcian blue) 염색 방법을 기술한다. 방법 : 1% 알시안 블루 용액을 31게이지 바늘이 달린 0.5mL 인슐린 주사기를 사용하여 경혈 지점에 피내 주사한 후 실체 현미경하에서 수술, 관찰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조직을 레이저 공초점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알시안 블루로 염색되고 피하로 이어지는 실 모양 구조물을 관찰하였다. 이 조직 내에서 특징적인 막대모양 핵 배열 및 $1-2{\mu}m$크기의 데옥시리보핵산 입자가 관찰되었다. 또한 경혈 조직 내에서 풍부한 모세혈관총 및 말초신경 말단, 그리고 약 $300{\mu}m$크기의 소체형 구조물을 확인하였다. 결론 : 경혈 지점의 피내에서 발견된 특징적 실 모양 구조물 및 소체형 구조물은 각각 표층 봉한관 및 소체로 판단된다.

지골피 추출물이 류마티스관절염 관련 매개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ycii radicis CORTEX extracts on the Rheumatoid arthritis related factors)

  • 장아영;승오탁;이명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365-1372
    • /
    • 2019
  • 본 연구는 CIA로 유도된 류마티스 관절염 모델에서 지골피 추출물이 류마티스관절염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동물 모델에 류마티스관절염을 유발한 후 지골피 추출물을 4주간 200 mg/kg/day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이후 혈액, 방사선 및 조직 분석에 기초하여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지골피 추출물은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면역글로불린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지골피 추출물은 중족골을 효과적으로 보존하였으며, H&E 및 M&T 염색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조직 병리학적 개선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골피 추출물이 류마티스관절염 증상을 완화시켰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지골피 추출물은 류마티스 관절염 관리를 위한 새로운 치료옵션이 될 수 있다.

BAPN으로 유도된 구개파열 백서의 osteonectin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osteonectin expression patterns in BAPN-induced cleft palate formed rats)

  • 태기출;김은철;이선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3-440
    • /
    • 2000
  • 이 연구는 정상구개백서와 비교하여 구개 파열 백서에서 osteonectin 발현 양상에 대한 관찰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임신 9일째 백서 4마리를 구입하여 1마리의 대조군과 3마리의 실험군으로 구분한후, beta-aminoproprionitrale를 임신 13일째 1g/kg체중 비율로 실험군에 투여하였다. 그 후 임신 20일째 백서를 모두 희생하여 대조군에서는 12마리, 실험군에서는 33마리의 백서 태자를 얻어 그 중 실험군에서 총 6마리의 구개파열 백서태자를 얻었다. 구개파열 백서태자 5마리를 각3마리씩 면역조직화학염색과 Western blot검사를 위해 나누고, 대조군의 구개와 구개파열군의 구개에서 osteonectin 발현양상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1. 구개파열 백서의 간엽조직에서 osteonectin 발현 양상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은 형태를 보였다. 2. 구개파열 백서의 골아세포와 골세포에서 osteonectin 발현 양상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형태를 보였다. 3. 구개파열 백서의 비강 상피에서 osteonectin 발현 양상은 구개 상피의 발현양상과 차이가 없었다. 4. Western blot분석에서 구개 파열 백서의 osteonectin 밴드 굵기와 두께는 정상군에 비해 얇고 희미하였다.

  • PDF

자연기흉환자의 폐기포에서 TGF-${\beta}1$ 단백질 발현에 대한 연구 (TGF-${\beta}1$ Protein Expression in Bullae of Patients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 김광호;조정수;김영삼;윤용한;김정택;백완기;김루시아;송순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05-809
    • /
    • 2006
  • 배경: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receptor II(TGF-${\beta}1RII$) 단백질의 과발현이 폐기포 조직의 형성에 관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본 연구팀은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폐기포벽에서 발견되는 섬유화에 관계될 것으로 생각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TGF-${\beta}1$) ligand의 발현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자연기흉 환자에서 폐기포 절제슬로 획득한 폐 기포조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6명의 자연기흉의 환자에서 비디오흉강경 폐기포절제술 시 획득된 폐기포조직을 획득하였다. 36명 환자 중 남자가 34명, 여자가 2명이었고 연령은 14세에서 38세였다. 획득된 폐기포조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방법으로 염색하였다. 결과: 36명 중 19예에서 TGF-${\beta}1$ 양성이었고 24예에서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receptor II(TGF-${\beta}1RII$)가 양성이었다. 19예의 TGF-${\beta}1$ 양성 예 중 15예에서 TGF-${\beta}1RII$에도 양성으로 관찰되었다. 이 같은 양성 변화는 폐기포조직과 정상 폐 조직과의 경계선에서 가장 강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TGF-${\beta}1$의 과발현은 TGF-${\beta}1RII$ 발현의 변이 여부와 마찬가지로 폐기포벽의 섬유화를 초래하여 폐기포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확실한 규명을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및 기타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실험에서의 플라보피리돌의 방사선민감화 효과 (In Vitro Radiosensitization of Flavopiridol Did Not Translated into In Vivo Radiosensitization)

  • 김수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83-90
    • /
    • 2011
  • 목 적: 이전의 암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실내 연구에서 플라보피리돌은 암세포의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실험에서 플라보피리돌의 방사선민감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마우스 유방암 세포주인 EMT-6를 Balb/c 마우스에 피하주사하여 종양을 만든 후 플라보피리돌 단독 치료군, 방사선 단독 치료군, 방사선과 플라보피리돌 병합 치료군 및 대조군으로 나누어 종양의 성장 속도를 비교 하였다. 플라보피리톨은 2.5 mg/kg을 하루 2회 복강내에 주사하였고, 방사선은 1일 1회, 회당 4 Gy를 조사하여 총 28 Gy를 조사하였다. 각 치료군에서의 종양 성장 곡선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종양으로 파라핀 절편을 만틀어 TUNEL 및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종양 성장을 비교하였을 때 대조군보다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방사선과 플라보피리돌 병합 치료군에서 종양 성장이 지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대조군과 플라보피리돌 단독 치료군 사이에서는 종양 성장에 차이가 없었고, 방사선 단독 치료군과 방사선과 플라보피리돌 병합 치료군 사이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TUNEL 염색으로 아포토시스율을 비교했을 때 각 치료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Ku70 발현을 비교했을 때에도 각 치료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 플라보피리돌은 마우스 유방암 모델에서 방사선민감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에서 상피성장인자 신호전달 단백의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ASSAYS FOR THE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SIGNALING PROTEINS IN ADENOID CYSTIC CARCINOMAS OF HUMAN SALIVARY GLANDS)

  • 박영욱;김정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6호
    • /
    • pp.499-510
    • /
    • 2006
  • 인간 타액선 선양낭성암종 조직 18례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종물 주변의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EGF는 타액선 도관세포와 암종 조직의 50%에서 발현 되었으며,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하여 암종 조직에서 발현이 증가되어 있지 않았다. 2) $TGF-{\alpha}$는 타액선 도관세포와 선포세포, 그리고 거의 모든 암종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하여 암종 조직에서 그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3) EGFR은 타액선 도관세포와 대부분의 암종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나, 발현의 강도에서 정상 타액선 조직과 암종 조직간의 차이는 없었다. 4) pEGFR은 정상 타액선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았으며, 암종 조직의 종양세포에서 그 발현이 증가되었다(P<0.05). 5) ErbB2/HER2는 타액선 도관세포와 거의 모든 암종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정상 타액선 조직과 비교하여 암종 조직에서 그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5). 6) 검색된 인자들 중 $TGF-{\alpha}$와 ErbB2/HER2는 관사상체형 암종 조직에서와는 달리 충실형 암종 조직에서 100% 발현되어, 충실형 선양낭성암종의 증가된 악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암시하였다. 7) 종물 내의 종양관련 혈관내피세포에서도 위의 인자들이 모두 발현되어 종양관련 혈관내피세포는 선양낭성암종의 증식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8) 종양 기질 내의 면역관련 세포들에서도 역시 위의 인자들이 발현되어 이들 세포들이 종양의 증식과 생존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하게 하였다. 위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하면 상피성장인자 신호전달계에 관여하는 인자들 중 $TGF-{\alpha}$, pEGFR, 그리고 ErbB2/HER2가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에서 과발현 되었다. 따라서 이들 인자들이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의 증식과 생존, 그리고 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하게 하였다. 추후 면역조직화학적 연구의 한계와 오류를 극복할 수 있는 기법으로 이들 인자들에 대한 재검색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과연 이들 인자들이 암생물학적으로 뿐만 아니라 임상적으로도 전이 및 환자 생존율과 관계된 인자로서의 가치가 있는지 평가해 보아야 할 것이다.

흰쥐 가슴샘 재생과정 동안 대식세포에서 SDF-1의 발현증가 (Expression of Stromal Derived Factor-1 is Upregulated In Macrophages during Thymic Regeneration in Adult Rat)

  • 박현주;김종갑;윤식;배문경;배수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67-1072
    • /
    • 2009
  • 성체흰쥐의 경우 항암제인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CY)처리로 퇴축된 가슴샘은 2주 후에 정상조직으로 재생된다. 가슴샘 발생과정에서 이미 알려진 SDF-1 신호전달의 중요성과는 달리 성체의 가슴샘 재생과정에서 그 역할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 전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생중인 가슴샘에서 발현이 증가된다고 이미 알려져 있는 SDF-1이 성체의 가슴샘재생과정에서 어떤 발현 양상을 보이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클로포스파마이(cyclophosphamide: CY)를 투여하여 가슴샘의 급성 퇴축을 유발시킨 후, 가슴샘 재생과정동안 SDF-1의 발현 특성을 면역조직화학, 이중면역염색 형광법,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SDF-1은 가슴샘의 급성 퇴축 이후 7일째 되는 시기에 mRNA와 단백질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중면역염색 형광법을 통해 큰포식 세포와 위치적 분포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을 통해 SDF-1은 가슴샘의 급성 퇴축 초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손상된 세포를 처리하는 큰포식 세포의 기능 조절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