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또래 애착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4초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 애착과 자동적 사고의 관계 (Parents and Peer Attachment in Relation to Automatic Thought of Adolescents)

  • 이영화;임정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4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애착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애착요인으로 부애착, 모애착, 또래애착을 선택해, 이들이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443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애착, 또래애착, 긍정적 자동적 사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기술통계,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애착은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은 중학생들에 비해,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또래애착이 안정적이었다.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부모 및 또래 애착은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는 정적 관련성을 보였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는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긍정적 자동적 사고에는 부모 및 또래 애착이,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는 부모애착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기의 부모 및 또래 애착이 자동적 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며,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가 사회적 관계망이 확장된 청소년기에도 여전히 청소년의 사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 PDF

중학생의 또래애착이 자존감과 내재적 학습동기 간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s Peer Attachment on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 유계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63-27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또래애착이 자존감과 내재적 학습 동기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S시 소재의 남녀 중학생 457명(남학생 225명, 여학생 232명)을 대상으로 자존감, 또래애착, 내재적 학습동기의 수준을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자존감과 또래애착, 내재적 학습동기 사이의 상관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존감은 또래애착과 내재적 학습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또래애착도 내재적 학습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한편 또래애착은 자존감과 내재적 학습동기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는 학년에 따른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중학생들의 자존감은 또래애착에 영향을 주며, 자존감의 영향을 받은 또래애착은 내재적 학습동기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출생순위와 형제간 성별 구성에 따른 형제관계의 질과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 (The Sibling Relationship, the Attachment to Parent and Peer by Birth Order and Sibling Gender Composition)

  • 이재연;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29-146
    • /
    • 2006
  • 본 연구는 아동의 성별과 출생순위, 형제간 성별구성에 따라 형제관계,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한 아동의 부모애착과 형제관계의 질, 그리고 또래애착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에 재학 중인 679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형제관계와 부모애착, 또래애착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0.0프로그램에서 신뢰계수(Cronbach's ${\alpha}$), t검증, 편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아동의 성별과 출생순위에 따라 형제관계의 질과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맏이 남아와 맏이 여아 모두 동성(同性)의 동생을 둔 집단이 이성(異性)의 동생을 둔 집단보다 동생에게 온정, 친밀감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아와 여아 모두 여아를 손위형제로 두었을 경우 주변인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정도가 높았다. 넷째, 부모에 대한 애착이 높을수록 형제관계의 질은 긍정적이었고, 부모에 대한 애착이 높고 형제관계의 질이 긍정적일수록 또래에 대한 애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학업중단 청소년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또래애착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Self-Esteem Among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Parental Attachment of Peer Attachment)

  • 김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43-35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또래애착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부모애착,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5차년도(2017)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학업중단 청소년 31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해서 정적으로 매개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부모애착, 또래애착을 향상시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등학생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Self-encouragement,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 장용희;한정현;이재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15-523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청주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교사애착, 또래애착,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CFI=.957, TLI=.951, RMSEA=.049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은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격려와 진로자기효능감은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의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2-year-ol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a Child Care Teacher and Peer Play Process)

  • 신동주;김소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을 사례 연구를 통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가정 어린이집을 다니는 4명의 만 2세 영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한 영아들은 애착 Q-set를 통해 측정한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에서 안정애착과 불안정애착을 형성한 영아 각각 2명이었다. 본 연구는 2018년 4월 12일부터 7월 19일까지 36회에 걸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참여관찰을 하였다. 비디오 촬영 전사본, 교사 면담 전사본, 보육계획안, 현장 일지 등이 분석과 해석에 활용되었다. 보육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를 놀이의 흐름에 따라 시작 전개 마무리 과정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또래놀이의 시작에서 영아가 또래를 놀이에 초대할 때, 안정애착영아는 적합한 놀이 파트너를 선정 하거나 구체적인 놀이 행동을 요구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즉흥적으로 놀이 파트너를 선정하거나 불분명하고 미숙하게 또래를 놀이에 초대하며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또래가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기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을 파악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에 대한 파악 없이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개에서 안정애착영아는 상호보완적으로 협조를 하고 놀잇감을 공유하며 놀이를 진행하였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협조를 하기 보다는 자신의 의사만 표현하고 또래와 놀잇감을 공유하는 것을 어려워할 뿐 아니라 또래갈등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보육교사의 중재를 필요로 하였다. 또래놀이의 마무리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공동의 끝맺음을 보였으나, 불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함께 마무리를 하지 못하고 또래와의 갈등으로 인해 또래놀이가 단절되거나 보육교사와의 놀이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부모학대 및 방임이 남녀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과 교사친밀감의 조절효과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on male·female high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Moderating roles of peer attachment and closeness to teachers)

  • 임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7-75
    • /
    • 2018
  • 본 연구는 부모학대와 방임이 남녀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또래애착과 교사친밀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2~7차년도) 1,750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남자 고등학생의 경우 부모로부터 학대수준이 높을수록, 또래애착과 교사친밀감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 수준이 높았으며, 부모방임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 수준은 낮았다. 반면 여자 고등학생의 경우 부모로부터 높은 수준의 방임을 경험할수록, 자아탄력성 수준은 낮았으며, 또래애착과 교사친밀감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 수준이 높았다. 한편 남자 고등학생에 한해서 또래애착이 부모학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또래애착이 낮은 경우 부모학대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와 여자 고등학생 모두 부모로부터 경험한 학대와 방임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수준은 낮았으며, 또래애착과 교사친밀감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았다. 한편 여자 고등학생에 한해서 또래애착이 부모학대 및 방임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또래애착이 낮은 경우 부모학대경험이 여자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이 존재한 반면 또래애착이 높아질수록 부모방임이 여자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이 커졌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주요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에서 부모학대 예방차원에서의 가정과 교과의 역할과 학대경험 남녀 청소년을 상담 시, 고려할 점을 제안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애착, 또래 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Perceived by Out-of-school Youths)

  • 문숙자;이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55-363
    • /
    • 2021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이 우울 간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5차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를 활용하였고, 총 145명의 학교 밖 청소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은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만족도와 또래 애착은 우울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 애착(𝛽=-.23, p=.006, 95% CI: -0.33~-0.12)과 또래 애착(𝛽=-.18, p=.002, 95% CI: -0.31~-0.08)은 생활만족도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만족을 향상하고 우울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한 정책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hildren's Attachment to Biological Parents on Self-esteem among Children in Out-of-home Car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giver and Peer Attachment-)

  • 김소연;전종설;강현아;노충래;우석진;정익중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3호
    • /
    • pp.51-7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아동복지 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가정외보호아동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에서 426명의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포함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가정외보호 아동의 친부모애착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은 친부모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친부모와의 정기적 만남을 통해 친부모와의 관계 개선 및 이를 통한 대리양육자애착과 또래애착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하였다.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변인의 종단적 추이 분석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its related variables)

  • 박미정;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7-84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삶의 만족도, 성취가치,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을 실증적이고 종단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KCYPS) 데이터 중에서 중1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중학교 1학년,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통계분석, 반복측정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성취가치,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의 수준이 각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달랐다. 둘째, 중학교 1학년,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성취가치,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가 성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또래애착, 교사와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성취가치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삶의 만족도, 또래애착, 성취가치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의 경우 중1(${\beta}=.57$), 중3(${\beta}=.48$), 고2(${\beta}=.47$)로 모든 시기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또래애착도 중1(${\beta}=.15$), 중3(${\beta}=.19$), 고2(${\beta}=.19$) 시기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성취가치는 고2(${\beta}=.12$) 시기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즉, 모든 시기에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았으며, 고2 시기에는 성취가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아졌다.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삶의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으며, 또래애착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다. 이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또래애착을 형성하는 수업과 활동이 보다 많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