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7.263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s Peer Attachment on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Yoo, Kae-Hwan (국립목포대학교 교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eer attachment on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measuring the level of self-esteem, peer attachment,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for 457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225 male and 232 female students) located in S city, Jeollanam-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peer attachment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all significant.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er attachment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nd peer attachmen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Meanwhile, Peer attachmen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esteem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was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influences peer attachment, and that peer attachment influenced by self-esteem can influence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Peer Attachment;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Mediating Effec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신미, 전성희, 유미숙,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분석," 한국아동학회지, 제33권, 제1호, pp.81-92, 2012.
2 박슬기, 자존감 2요인과 성취목표가 내재적 동기와 가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3 S. Harter, The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Unpublished Manual, University of Denver, Denver, 1985.
4 D. E. Ritter, Curriculum content today and tomorrow: Will students be motivatied to learn? Bowling Green, KY: Western Kentucky Univers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03-443), 1989.
5 E.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Y: Norton, 1968.
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2015.
7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 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4호, pp.169-187, 2002.
8 임효진, 최희철, 황매향, "초기 청소년기 또래애착, 자존감 및 삶의 만족의 종단적 교호적 예측력: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제28권, 제3호, pp.151-172, 2917.
9 L. M. Fenzel, "The Prediction of Intrinsic Motivation among Early Adolescents: A Mediational Model Involving Self-Esteem and Strain.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on Adolescents," Atlanta, GA, 1990.
10 A. Lourdusamy and K. A. Toh, "Association Between Motivation and Self-Reported Use of Learning Strategies by Trainee Teacher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Vol.16, No.1, pp.39-51, 2006.
11 장석진, 송소원, 조민아,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5호, pp.161-187, 2012.
12 홍국진, 이은주,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통제적 양육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동기의 종단적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제31권, 제2호, pp.305-326, 2017.
13 유계환, "초.중학생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부적응 간 관계에서 학습무동기의 매개효과," 사고개발, 제14권, 제3호, pp.43-64, 2018.
14 F. J. Neyer and J. B. Asendorpf, "Personality-relationship transaction in young adult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1, No.6, pp.1190-1204, 2001.   DOI
15 이윤옥,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동기와의 관계," 교육논총, 제7권, 제2호, pp.87-119, 2007.
16 강명희, 윤성혜,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 메타인지, 내재적 동기, 일상적 창의성 간의 구조관계," 사고개발, 제13권, 제1호, pp.1-25, 2017.
17 최명구, 성소연,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간의 구조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호, pp.357-373, 2012.
18 박나리,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9 성명좌, 고등학생의 열등감이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0 김혜연, 여자고등학생의 내재적 동기와 부모의 학습관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1 E. L. Deci, "Effects of Externally Mediated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18, pp.105-115, 1971.   DOI
22 E. L. Deci and R. M. Ryan, "An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In E. L. Deci & R. M. Ryan(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3-33,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002.
23 유지영, 김춘경, "초등학생의 부모애착과 학습된 무기력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347-372, 2014.
24 유계환,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율성이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25 강혜정, 강성현, 임은미,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희망, 내재적 동기, 학업 소진의 구조적 관계 및 성별차이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pp.1-27, 2014.
26 M. Rosenberg,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NY: Basic Book, 1986.
27 D. B. McFarlin, R. F. Baumeister, and J. Blascovich, "On knowing when to quit: Task failure, self esteem, advice, and nonproductive persistence," Journal of Personality, Vol.52, No.2, pp.138-155, 1984.   DOI
28 윤운영, "대학생의 청소년기 상실경험에 대한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조절 방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4호, pp.315-325, 2019.   DOI
29 고진경,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290-302, 2017.   DOI
30 유현욱, 홍혜영,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제4호, pp.977-999, 2015
31 황매향, 최희철, 임효진, "청소년의 또래애착, 자존감,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pp.195-220, 2016.
32 유계환, 조경신, "중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이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제10권, 제3호, pp.617-632, 2019.
33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p.422-445, 2002.   DOI
34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한빛아카데미, 2016.
35 안도희, 최혜림, "고등학생의 학업 동기 및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와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0권, 제2호, pp.145-164, 2012.
36 S. Soufi, E. S. Damirchi, N. Sedghi, and B. Sabayan, "Development of structural model for prediction of academic achievement by global self-esteem, academic self-concep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utonomous academic motivation,"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114, pp.26-35, 2014.   DOI
37 H. S. Hodgins, A. B. Brown, and B. Carver, "Autonomy and control motivation and self-esteem," Self and Identity, Vol.6, No.2-3, pp.189-208, 2007.   DOI
38 주은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청소년의 부모 애착, 또래 애착과 낭만 애착,"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41-171, 2011.
39 R. B. Kline,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16.
40 J. A. Bishop and H. M. Inderbitzen, "Peer acceptance and friendship: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 to self-esteem,"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15, No.4, pp.476-489, 1995.   DOI
41 이혜주, 정의현,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청소년의 부모, 교사, 또래, 애착유형별 예측모형 탐색," 아동교육, 제25권, 제4호, pp.23-38, 2016.
42 주은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과 낭만애착,"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4호, pp.41-171, 2011.
43 조민규, 김춘경, 송현정, "중학생이 지각한 학대경험과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2호, pp.29-54, 2014.
44 M. E. Kenny and G. A. Donaldson, "Contributions of parental attachment and family structure to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8, pp.479-486, 1991.   DOI
45 K. D. MaGuire and J. R. Weisz, "Social cognition and behavior correlates of preadolescent chumship," Child Development, Vol.53, No.6, pp.1478-1484, 1982.   DOI
46 김영춘,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321-331, 2014.   DOI
47 박은민, "청소년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모애착과 자존감 및 우울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3권, 제3호, pp.75-88,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