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또래의사소통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7초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부모의 양육태도 및 또래.교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f variables effecting on poor adolescents' self-resilience and self-esteem : Focusing o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quality of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 임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7-167
    • /
    • 2013
  • 본 연구는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모 양육태도 및 또래와 교사관계 질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되었으며, 연구대상은 기초생활수급 계층, 차상위계층, 차차상위계층의 가정의 중학교 1학년 자녀들이었다. 조사도구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부모 양육태도 및 또래 교사관계 질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대해 또래관계의 질,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관계의 질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또래와의 의사소통과 신뢰, 부모의 애정, 합리적 설명, 감독, 교사와 우호적 관계가 제시되었다. 둘째,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관계의 질, 교사관계의 질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요인은 부모의 애정 및 감독, 양육태도의 일관성, 또래로부터의 비소외감, 의사소통 및 신뢰, 교사와 우호적 관계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빈곤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교육 복지프로그램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Ego-Resilience and Peer Attachment upon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In Early Adolescenc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 이현주;권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47-355
    • /
    • 2013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방법으로 학습에 있어 자기조절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인에 청소년의 내적 힘인 자아탄력성과 외적지지체계 중 하나인 또래애착의 영향력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자는 총 2,35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또래애착(의사소통, 신뢰, 소외) 그리고 자기조절학습능력(성취가치, 숙달목적지향, 행동통제, 학업시간관리)의 잠재변수와 하위변수 모두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삶의 만족도도 직접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기질,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s, and Pe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Happiness)

  • 이진숙;김은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33-44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parent-child communication, pe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cognitive and affective happines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396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d 10-13 dwelling in Jeonbuk province.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most salient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and family's economic level; children who considered themselves to have good grades and to have a higher standard of living were happier than other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happiness in relation to gender. Second, children's temperament(sociability, activity),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hildren's cognitive and affective happiness.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parent-child problem communication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children's cognitive and affective happiness. Third, a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children's temperament(activity, sociability), peer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explaining cognitive happiness. And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parent-child problem communication, children's temperament(activity) were influential factors in explaining affective happiness. In conclusion, children's happiness is critically affected not only by internal variables but also environmental ones such as parents and peers.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 김혜순;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17-12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소재 5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640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또래관계의 신뢰에는 영향을 주지는 않았으나, 의사소통, 화(angry) 및 소외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성별과 학년, 일평균 사용시간과 월평균 통신요금은 스마트폰 중독에 다르게 영향을 주었고, 셋째, 성별과 학년, 일평균 사용시간과 통신요금의 차이가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에 중독 또는 사용빈도가 지나친 청소년들에게 스마트폰 순기능을 높여 보호요인을 증진시키고, 역기능인 위험요인을 감소시켜 가정과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의사소통능력과 갈등해결전략에 따른 인기아와 배척아 판별 (Discriminant Analysis of Popular and Rejected Children Based on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nflict-Resolving Strategies)

  • 이경화;정혜영
    • 아동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21-134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nflict-resolving strategies between both popular and rejected children, and to thereby verify the discriminance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nflict-resolving strategies for both types of children. 52 popular children and 41 rejected children from among a pool of 202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listen up (sub-factors of perceiving), self-presentation, planning, and coding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pular and the rejected children. Second, only negotiation and cooperation strategies reveale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pular and the rejected children, while other sub-factors of conflict-resolving strategies indicated broad indifference between them. Third, it was only the factor of planning among 5 factor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4 factors within conflict-resolving strategies which indicated that it was the most discriminant predictor between the popular and the rejected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omprehensive program is needed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nflict-resolving strategies of rejected children.

아동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 연구 (Ecological Variable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장미선;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1-2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cological variables related with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examine their recognition of all the variables affecting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classify the variables into the categories of children (gender, grade, self-efficacy), home environment (employed mother or unemployed mother,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 type of family composition, number of siblings), and peer group environment (peer group). The study subjects were 6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via t-test, F-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relationship among the children variables, home environment variables, and peer group environment variable. (Ed- also note the absence of 'fourth' above)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in children was relatively reviewed by the above three variables and the most affecting variable was self-efficacy in children.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청소년 우울의 보호요인 예측모형 (Predictors of Protective Factors for Depression in Adolescent using Decision Making Tree Analysis)

  • 김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75-385
    • /
    • 2015
  • 본 연구는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우울 보호요인을 예측하여 우울 예방과 조기발견 및 중재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청소년 총 485명이고, 자료 수집은 2013년 9월 23일부터 9월 26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및 ${\chi}^2$-test, t-test, 의사결정나무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4개의 경로, 총 12노드가 구축되었고 가족 결속력,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과 또래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 우울 보호요인이었다. 우울의 보호요인 예측 정확도에서 분석용은 특이도 76.0%, 민감도 65.4%이었고, 검정용은 특이도 78.2%, 민감도 63.7%이었으며, 전체 분류 정확도는 분석용 70.1%, 검정용 69.7%이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가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정신보건을 담당하는 전문가들에게 우울을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되고, 나아가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되찾고 힘차게 성장하기 위한 보호요인 강화를 위한 우울예방 정책 전략에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사회복지사 개인간 갈등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김교정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 /
    • pp.223-250
    • /
    • 2004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조직 중 부산 지역사회복지관이라는 조직 내에서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갈등수준이 어느 정도로 지각되는지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조사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조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의 상호주의적 관점에서 갈등수준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경우 조직의 유효성이 역기능적이라고 하였으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갈등수준 정도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고 갈등요인들이 갈등수준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은 의사소통 요인, 리더십 요인중에서 리더의 유인성, 퍼스낼리티중 자발성, 자신감의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 및 산업 조직과 같은 기술 관료적인 조직의 경우와는 틀리게 사회복지조직을 포함하는 휴먼서비스 조직의 경우는 조직의 원료가 도덕적 가치를 부여받은 인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 관료적인 패러다임이 그대로 적용되지 않음을 갈등관리전략의 전제로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관 내에서 개인간 갈등의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동료간 의사소통이나 합리적인 문제해결방법의 습득 린 건전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교육, 훈련의 기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효과적인 수퍼비전과 상담(상사와의 상담, 또래 동료와의 상담)을 제공뿐만 아니라 전문가로서의 자신감과 긍지를 지니고 일을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재충전할 수 있는 전문적 교육프로 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어머니-유아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ed Effect of Ego Resilien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eschool Children's Peer Competence)

  • 노지영;이희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7-114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eschool children's peer competence mediated by ego resiliency Methods: The data from 318 preschool ag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were used for this study. Mothers reported mother-child communication using three subscales from the revised parent-child communication inventory(Barnes & Oslom, 1982). This study used four subscales from the Korea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in order to calculate children's ego resiliency and used six subscales from the Child Behavior Scales(Ladd & Profile, 199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in SPSS 19.0. Results: Positive mother-child communication predicted a higher level of children's ego resiliency and peer competence. Ego resiliency fu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osocial competence, rejection against peers and insecurity. And positive mother-child communication predicted lower levels of children's aggression, dissociality and irritability. Its association was also mediated by ego resiliency.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a mother's posi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 would enhance children's ego resiliency and peer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Thus, the efforts to facilitate parents' positive communication skills in parent education can be promising for preschool children's positive development.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또래유능성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hildren's perceived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peer competence on children's happiness)

  • 김예슬;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27-144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s of seni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mmunication level with their fathers and peer competence on their happines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0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Jeollanam-do. They responded to the level of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peer competence, and happiness. For the dat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a sub-factor of happiness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in open-type communication and problem-type communi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children's happiness was high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and peer competence. Third, th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relative influence on overall happiness were in the order of peer competence, open-type communication, problem-type communication, and gender. The variables influencing and the order of relative influence differed according to sub-factors of happi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peer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nvergent programs that can improve communication with fathers, peer competence, and children's happiness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