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2.18.06.127

The influences of children's perceived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peer competence on children's happiness  

Ye Seul, Kim (전남대학교대학원 생활환경복지학과)
Joo-Yeon, Lee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8, no.6, 2022 , pp. 127-14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s of seni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mmunication level with their fathers and peer competence on their happines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0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Jeollanam-do. They responded to the level of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peer competence, and happiness. For the dat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a sub-factor of happiness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in open-type communication and problem-type communi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children's happiness was high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and peer competence. Third, th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relative influence on overall happiness were in the order of peer competence, open-type communication, problem-type communication, and gender. The variables influencing and the order of relative influence differed according to sub-factors of happi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peer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nvergent programs that can improve communication with fathers, peer competence, and children's happiness are necessary.
Keywords
children's happiness; communication with fathers; peer competence; relative influ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영하 (2008). 초등학생의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초등교육연구, 21(2), 159-177.
2 강종훈 (2000).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강하남 (2013). 아동.청소년의 행복감과 스트레스 관계 연구: 인간관계와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고현선 (2014). 부모와의 관계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권지숙 (2008). 영재의 완벽주의 특성과 또래관계 성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보미, 장경은, 오현미 (2019).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1), 57-73.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1.057   DOI
7 김연화 (2010). 아동청소년의 일상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12), 287-307.
8 김은경, 이진숙 (2010).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3), 1-22.
9 김정연, 정현주 (2008).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 13, 171-190.
10 김춘희 (2002). 또래수용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혜원, 홍미혜 (2007).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질 정도와 설명요인 분석. 청소년학연구, 14(2), 269-297.
12 김혜정 (2022). 부모의 우울 유형에 따른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4), 37-52.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4.037   DOI
13 남현주 (2012). 아동의 행복감과 관련된 자아탄력성과 정서조절능력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민혜영 (1990). Circumflexmodel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청소년 자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5 박소연, 이홍직 (2013).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건강 요인,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스트레스연구, 21(2), 73-84.
16 박정아 (2020).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또래지위, 친구관계의 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박주희, 이은해 (2001). 취학 전 유아용 또래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18 배보미 (2018).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행복감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배지숙 (2017). 아동이 지각하는 아버지의 의사소통유형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백수현 (2008). 아동의 일상생활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대도시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심미경 (1986). 아동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소선숙 (2012).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및 학교적응에 대한 통합모형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송정숙 (2002). 아동의 또래지위에 따른 자아지각 및 사회기술과 심리적 안녕감. 경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24 신승배 (2016). 한국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사회과학연구, 17(3), 135-184. https://doi.org/10.15818/ihss.2016.17.3.135   DOI
25 안윤미 (2012). 아동이 지각한부모-자녀간의사소통 유형과 낙관성 및 행복감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염유식, 성기호 (2021). 2021 제12차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 서울: 한국방정환재단. https://doi.org/10.22687/KOSSDA-A1-2021-0009-V1.0에서 2022년 8월26일 인출   DOI
27 유선진 (201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행복감 향상과 우울성향 감소를 위한 감사교육프로그램개발과 효과성 검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유슬기 (201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낙관성, 부모관련 스트레스, 또래지지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윤연기 (2010). 초등학생의 부모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의매개효과 검증.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윤연정 (2019).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와 모의 양육특성. 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이동주 (2012).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이상진 (2014).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의 행복감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석사학위논문.
33 이상택 (2013). 중학생의 가족의사소통유형과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의 관계. 한양사이버대학교석사학위논문.
34 이은진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행복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석사학위논문.
35 임미지, 문혁준 (2011). 아동이 지각한 행복감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 6학년을 대상으로. 인간발달연구, 18(2), 255-275.
36 이정선 (2013).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역량지각과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정화 (2005). 초등학생의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이진숙, 김은주 (2013). 아동의 기질,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5), 433-445. https://doi.org/10.5934/kjhe.2013.22.5.433   DOI
39 장재숙 (2002). 아동의 친구와의 대인관계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정경수 (2019. 6. 10). 친구. 가족과 놀 시간 부족…한국아동 '삶의 만족도' 6.6점 불과.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90610000207에서 2022년 12월 12일 인출
41 정은우 (2019).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정현아 (2004). 아동이 지각한 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의 스트레스 및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정혜원, 조옥귀 (2011).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몰입경험과 또래애착의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21, 63-85.
44 조성연, 신혜영, 최미숙, 최혜영 (2009).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실태 조사. 아동학회지, 30(2), 129-144.
45 조수진 (2009).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성향,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및 우울간의 관계. 통합치료연구, 1(1), 19-33.
46 조은경 (1992). 부모청소년간의 대인거리 심리적거리 의사소통이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조하영, 박성연 (2013). 아버지의 양육경험과 심리적 안녕감이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에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3), 59-74. https://doi.org/10.5723/KJCS.2013.34.2.59   DOI
48 최혜영, 신혜영, 최미숙, 조성연 (2009). 한국 아동의 행복감 척도 개발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1-11.
49 채경선, 황현주 (2014).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효학연구, 20, 159-190.
50 최영희, 박영애, 박인전, 신민섭 (2002). 아동의 우울 및 불안경향과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과의관계. 가정과삶의질연구, 20(2), 203-214.
51 한명숙 (2013).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아버지-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아동의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한태경 (2012).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황연덕, 이진숙 (2011). 아버지 의사소통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역할. 아동학회지, 33(1), 223-236. https://doi.org/10.5723/KJCS.2012.33.1.223   DOI
54 황현주 (2013).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친구관계 및 행복감과의 관계.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5 황혜자, 최윤화 (2003).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집, 22(1), 285-304.
56 Barnes, H., & Olsen, D. H. (198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flex model. Child Development, 56(2), 438-447. https://doi.org/10.2307/1129732   DOI
57 Dubois, D. L., Bull, C. A., Sherman, M. D., & Roberts, M. (1998). Self-esteem and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ce: social-contextual perspectiv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7(5), 557-583.   DOI
58 Martorell, G., Papalia, D. E., & Feldman, R. D. (2014). A child's world: Infant through adolescence. McGraw Hill.
59 Mckee, L., & O'Brien, M. (1982). The father figure, Tavistock Publications.
60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https://doi.org/10.1037/0003-066X.55.1.5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