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개인간 갈등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김교정 (동명대학 생활과학복지학부 사회복지과)
  • Published : 2004.10.22

Abstract

In this paper, the proposing a fundamental data for a systematic and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by examining the extent of the levels of conflict perceiving among individuals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the Busan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investigating the related influencing factors ar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t first, it is dysfunctional when the level of conflict is either exceedingly high or low in the interrelational conflict aspect. However, the social welfare workers' working in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the extent of individual conflict is relatively low as 2.37 out of 5 points. Secondly,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is operated for controlling the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s and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nflict factors to the level of conflict.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s the result in the order of greater extent are communication factor, leader's flexibility of leadership factor, spontaneity among personality, confidentiality. As a result, Not like the case that in the technological bureaucratic organizations such as the enterprises or industrial organizations, in the human service organizations includ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se technological bureaucratic paradigm does not applying directly since the material of organization is composed of humans who are given moral values. Therefore, this paradigm should be put as a presupposition of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And, the communication among colleagues, learning a reasonable problem solution method, or the chances of education or training for establishing a sound human relationship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lower the level of the conflict among individuals in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department. Furthermore,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for not only supporting an effective supervision and consultation(consultation with superiors and colleagues), but also, working with confidentiality and pride as a professional.

본 연구는 사회복지 조직 중 부산 지역사회복지관이라는 조직 내에서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갈등수준이 어느 정도로 지각되는지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조사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조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의 상호주의적 관점에서 갈등수준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경우 조직의 유효성이 역기능적이라고 하였으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갈등수준 정도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고 갈등요인들이 갈등수준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은 의사소통 요인, 리더십 요인중에서 리더의 유인성, 퍼스낼리티중 자발성, 자신감의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 및 산업 조직과 같은 기술 관료적인 조직의 경우와는 틀리게 사회복지조직을 포함하는 휴먼서비스 조직의 경우는 조직의 원료가 도덕적 가치를 부여받은 인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 관료적인 패러다임이 그대로 적용되지 않음을 갈등관리전략의 전제로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관 내에서 개인간 갈등의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동료간 의사소통이나 합리적인 문제해결방법의 습득 린 건전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교육, 훈련의 기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효과적인 수퍼비전과 상담(상사와의 상담, 또래 동료와의 상담)을 제공뿐만 아니라 전문가로서의 자신감과 긍지를 지니고 일을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재충전할 수 있는 전문적 교육프로 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