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시민성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3초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방안 (Using of Digital Textbook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Citizenship)

  • 박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111-11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생들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시민성 관련 국내외 연구결과를 고찰하여 디지털 시민성의 정의 및 구성 요소를 분석하였고, 분석내용을 토대로 현장 교사, 교육전문가, 정부 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여 초·중등학생들을 위한 디지털 시민성의 구성 요소, 역량 모델,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의사소통', '디지털 윤리', '디지털 책임감', '디지털 창의성 및 협력' 5가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고,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해 'Triangle competency model'을 구안하였으며, 도출한 디지털 시민성 요소별 디지털교과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중등학생들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및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needs for digital citizenship and perception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 이준;유숙경;이윤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93-103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요구도 도출과 디지털 시민성 교육 현황에 관한 인식 분석을 통해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응답한 245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요구도 분석은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 등을 종합해 우선순위를 정하였으며, 인식 분석은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분석을 종합해 보면, 최우선순위는 '자기보호'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시민성 교육 현황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며, 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높았으며, 전문기관과 학교가 주관하여 비교과나 교직이론 수업에서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강화를 위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시민성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과학수업이 디지털 시민성과 공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cience Instruction Applying Digital Citizenship Learning Model on Digital Citizenship and Empathy)

  • 이준;유숙경;이윤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91-102
    • /
    • 2021
  • 본 연구는 디지털 시민성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과학수업이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과 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중학교 3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실험집단(28명)에는 디지털 시민성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28명)에는 일반적인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용한 측정 도구는 디지털 시민성척도와 공감척도이며, 수집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과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수업에 디지털 시민성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디지털 시민성과 공감점수가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민성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중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과 함께 공감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른 학교급과 타 교과목에 디지털 시민성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후속연구를 시행한 후 그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시민성 프로그래밍: 미국의 미래 도서관 수상 도서관을 중심으로 (Digital Citizenship Library Programming in Award-Winning Libraries of the Future: A case review of publ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 홀리스터 조나단;이지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59-392
    • /
    • 2023
  • 디지털 시민성은 온라인의 타인과 정보 및 미디어와 상호작용함에 있어 변화하는 기술을 효과적이고 윤리적으로 사용하는데 관련된 지식과 기술의 집합체를 포함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기술에 대한 접근과 활용교육을 제공해 온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을 디지털 시민성 관점에서 분석하여 잠재적인 트렌드와 모범실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난 11년동안 미국 ALA가 수여한 미래의 도서관 상을 수상한 공공도서관 7곳을 유의 추출하여 각 도서관 웹사이트에 공개된 2개월 동안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Ribble과 Park(2019)의 디지털시민성 9개 요소를 기준으로 5세 이상부터 노인층까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337개 프로그램 제목과 설명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시민성 요소 중 컴퓨터와 기술 이용 관련 디지털 접근과 디지털 유창성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석 결과와 사례 제시를 통해 공공도서관이 디지털 시민성의 나머지 7가지 요소들을 현행 프로그램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하고, 모든 연령층 이용자를 위한 포용적이고 접근성 높은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제공하며, 다양한 이해당사자와 공동체 협력을 통해 자원과 전문성을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과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자의성과 수평성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gital privacy security awareness and digital civic engagement on digital privacy protection behavior : focusing on volition and horizontality)

  • 이려화;허성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49-358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점진적으로 필요하게 된 디지털 정보보호 개선 전략에 관한 연구적 배경에서 비롯되었고, 연구 목적은 개인적 요소 영역의 자의성과 상황적 요소 영역의 수평성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의 주요 요인에 미치는 유효성을 확인하고, 궁극적으로 정보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자의성과 수평성의 요인설계 바탕이며, 측정 변수는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이다. 연구 결과, 자의성 영역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자의성 조건의 효과성이 저-자의성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분석결과 수평성 영역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수평성 조건의 효과성이 저-수평성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제까지의 성과들을 중심으로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의 적절한 내용들을 기반으로 학술적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시민 구술 아카이빙의 의미와 확장성 고찰 2021년 문화체육관광부 디지털생활사아카이빙 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and Scalability of Citizens' Oral History Archiving: Focusing o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Digital Life History Archiving Project' in 2021)

  • 손동유
    • 기록학연구
    • /
    • 제80호
    • /
    • pp.129-165
    • /
    • 2024
  • 본 연구는 시민 구술채록의 중요성과 활성화를 강조하고자 한 글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구술사연구가 서서히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연구자에 의한 시민인터뷰, 연구자에 의한 엘리트 인터뷰는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나 시민에 의한 시민인터뷰는 미미한 수준이다. 2021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 주관으로 진행하고 있는 "디지털생활사 아카이빙"사업은 새롭고 의미 있는 시도이다. 이 사업은 시민들에게 아카이빙과 구술채록에 대한 교육을 거친 시민들이 직접 인터뷰를 수행하고 기록물을 생산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사업을 통해 구술기록 생산, 시민의 아카이빙 역량 확보, 지역 문화자원 구축 등의 성과를 내고 있다. 2021년에 이 사업에 참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며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향후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시민 구술기록의 활발한 생산과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구술 기관 간의 구체적인 협력과 구술기록 플랫폼도 제안하였다.

시민참여를 위한 스마트 도시 플랫폼의 개념모델 (The Conceptual Model of the Smart City Platform for the Citizen Participation)

  • 서동조;김미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63-73
    • /
    • 2021
  • 스마트 도시를 실효성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다양한 정보가 개방되고 연계되어야 하며, 각 구성원이 공유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시민과 시민협의체의 참여가 가능한 협력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시민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도시를 만들기 위하여 스마트 도시 플랫폼의 구성요소와 개념모델을 제안하였다. 그 구성요소로는 실세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 정보 저장 및 관리, 정보공유 및 표준체계, 시민의 개인정보 보호 및 관리체계, 활용 및 서비스 등을 포함하고 있다. 개념모델에 대해서는 시민중심의 참여와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스마트 도시 구성원 간의 역할을 정의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수집, 정보연계 및 공유방안, 서비스 구성 체계 등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시민은 데이터 수집 및 공급자, 서비스 기획가 또는 요구자, 서비스 수혜자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시민들과의 자유로운 소통과 의견교환은 스마트 도시 성공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사회혁신의 정당성과 민주주의 발전: 온라인 청원과 공공문제 해결 사례를 중심으로 (Legitimacy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and Democracy: Case of Online Petition and Public Problem Solution Project)

  • 조희정;이상돈;류석진
    • 정보화정책
    • /
    • 제23권2호
    • /
    • pp.54-72
    • /
    • 2016
  • 이 글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온라인 청원과 공공문제 해결을 위한 크라우드 소싱 등 디지털 사회혁신(Digital Social Innovation) 사례를 분석하여 시민의 정책 관여가 민주주의에 기여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디지털 사회혁신은 크라우드 소싱이나 온라인 청원과 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정책 수립과 집행 과정에 시민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시민의 적극적인 정책 개입을 통해 정책 수립 과정은 물론 정책 자체의 민주성을 강화하는 일련의 과정은 개입 정당성(Throughput Legitimacy)이 강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시민의 동의와 협의 과정은 정책의 투명성, 효과성을 강화함으로써 정책 거버넌스의 질과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개입 정당성이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경험 연구로 증명하기 위해 디지털 사회혁신의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 동안 산발적이고 다양하게 시도되었던 디지털 사회혁신이 민주주의의 발전적 요소를 가지고 있고, 다양한 가치를 내재하고 있는 현대 사회의 시민의 참여 효능감을 높이는데 일조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한 개입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디지털사회혁신이 가지는 함의에 대해 제시하였다.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L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ediating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

  • 이웅희;김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151-162
    • /
    • 2015
  • 본 연구는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요인을 찾고, 그리고 LMX(leader-member exchange)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것이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본 연구는 조직시민행동과 LMX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분배, 절차 공정성), 그룹(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그리고 조직(조직구조의 복잡성)수준으로 분류하였다. 산업단지 공단에 근무하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773부의 설문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절차적 공정성, 변혁적 리더십, 그리고 팀 임파워먼트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조직구조의 복잡성은 LMX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LMX는 5개의 독립변수(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조직구조의 복잡성)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ervisor's Authentic Leadership on OCB and Job Performance for Employees)

  • 탁진규;노태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171-17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진성리더십의 하위 구성요인과 조직시민행동, 직무성과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진성리더십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 448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진성리더십에서 상사의 자아인식은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투명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직무성과에는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보이지 못했다. 넷째, 균형잡힌 정보처리는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진성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과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사의 내면화된 도덕관점과 관계적 투명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둘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