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aning and Scalability of Citizens' Oral History Archiving: Focusing o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Digital Life History Archiving Project' in 2021

시민 구술 아카이빙의 의미와 확장성 고찰 2021년 문화체육관광부 디지털생활사아카이빙 사업을 중심으로

  • 손동유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 Received : 2024.03.31
  • Accepted : 2024.04.21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activation of citizen oral history. As is well known, research on oral history gradually began in earnest in Korea from the 1980s. Until now, citizen interviews by researchers and elite interviews by researchers have steadily increased in quantity. However, citizen interviews by citizens are insignificant. The "Digital Life-history Archiving" project, which has been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ince 2021, is a new and meaningful attempt. Citizens are educated on archiving and oral history to conduct interviews and produce archives. It is producing high-quality oral archives, securing citizens' archiving capabilities, and building local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is project in 2021, I evaluated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and looked at the implications. I expect it to help reduce trial and error in the future. I also proposed a plan to actively produce and utilize citizen oral archives. To this end, specific cooperation between oral-history institutions and oral archives platforms were also proposed.

본 연구는 시민 구술채록의 중요성과 활성화를 강조하고자 한 글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구술사연구가 서서히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연구자에 의한 시민인터뷰, 연구자에 의한 엘리트 인터뷰는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나 시민에 의한 시민인터뷰는 미미한 수준이다. 2021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 주관으로 진행하고 있는 "디지털생활사 아카이빙"사업은 새롭고 의미 있는 시도이다. 이 사업은 시민들에게 아카이빙과 구술채록에 대한 교육을 거친 시민들이 직접 인터뷰를 수행하고 기록물을 생산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사업을 통해 구술기록 생산, 시민의 아카이빙 역량 확보, 지역 문화자원 구축 등의 성과를 내고 있다. 2021년에 이 사업에 참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며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향후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시민 구술기록의 활발한 생산과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구술 기관 간의 구체적인 협력과 구술기록 플랫폼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소론. 기록학연구, (29), 3-33. https://doi.org/10.20923/KJAS.2011.29.003
  2. 국사편찬위원회 (2009). 구술자료 만들기: 수집, 정리, 활용.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3. 김귀옥 (2014). 구술사연구: 방법과 실천. 서울: 한울아카데미.
  4. 김택호 (2024). 구술 기록의 공공성. 기록학연구, (79), 443-469. https://doi.org/10.20923/KJAS.2024.79.443
  5. 문화체육관광부,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2021). 2021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 사례집 1, 2.
  6.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2021). 2021 문화체육관광부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 완료보고서.(비공개)
  7. 윤택림 (2019). 역사와 기록 연구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서울: 아르케.
  8. 윤택림 (2021). 한국구술사학회 구술채록 매뉴얼. 한국구술사학회.
  9. 한국구술사연구회 (2005). 구술사 방법과 사례. 서울: 선인.
  10. 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구술자료관 (2019). 구술 자료 아카이브 구축 사업 연구 결과물 유형, 자료화, 이관 표준화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