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 선호

검색결과 834건 처리시간 0.027초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선호 분석에 관한 연구 - 전시공간의 화예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eference Analysis on Eating/Drinking Table Decoration - Centering on Floral Art & Design on display space -)

  • 양종열;홍정표;김태호;장영순
    • 감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291-30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개념과 계획에 의한 주관적 연출로 대부분 이루어지는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작가와 관람자 상호 호응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유도로서 관람자의 선호요인, 즉 선호 디자인, 디자인이미지, 디자인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실증연구로 off-line의 대인 면접에 의한 일대일로 설문 조사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관람자 선호도에 대한 조사 분석으로는 조화로운, 따뜻한, 여성적인의 디자인 이미지의 유사색 조화가 선호되었다 디자인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이미지 형용사는 '조화로운과 조화롭지 않은'으로, '조화로운'의 디자인 요소는 유사 색 조화로 '조화롭지 않은'은 혼합 색 조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색채'가 선호 디자인 요소로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 PDF

영유아 부모의 동물형 스마트 토이 디자인 선호도 및 구매요인 (Design Preference & Consumer Trend of Younger Children's Parents for Smart Animal Toy)

  • 현은자;윤현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72-83
    • /
    • 2015
  • 본 연구는 동물형 스마트 토이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디자인 선호 및 토이 구매경험과 구매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이것이 자녀의 성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 6개 기관의 344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문항, 디자인 선호(유형, 외형, 기능, 정체성, 가격), 구매경향(구매 유무, 실제 구매토이, 만족/불만족 요인), 구매요인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예비설문을 통해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그 결과 부모가 선호하는 동물형 스마트 토이는 흰털 또는 갈색의 짧은 털을 가진 20~30cm 크기의 강아지형 토이로, 소리 기능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단순 장난감 외에, 애완동물, 친구, 동생 등의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동물형 스마트 토이로 주로 강아지 토이를 구매했으며, 높은 재미와 상호작용성, 디자인 등에는 만족한 반면, 시끄럽고, 배터리와 내구성에 불만족을 보였다. 주요 구매요인은 안전과 견고성, 가격, 배터리 수명, 장기적 놀이성, 교육성, 세탁가능성이었다. 그리고 동물형 스마트 토이의 선호나 구매경험, 구매요인에 있어서 자녀의 성차나 연령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유아의 동물형 스마트 토이 개발에 있어 기능 구성 및 디자인 등 설계 및 서비스 기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소비자 특성별 실내디자인 선호체계 비교연구-주거공간 실내디자인선호 성향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sidential interior Design Preference according to consumers' characteristics)

  • 신화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호
    • /
    • pp.210-215
    • /
    • 1998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the interior design preference according to age gender and monthly income of subjects. Interior Image Preference Scale was used to measure Interior design preference of consumer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10th 1997. to Nov. 13th 1997. The subjects were 609 adults living in Seoul. Frequency percentage mean Generalized Linear Models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1) the subjects generally preferred feminity complexity and modernity of interior design 2) this study revaled relative difference in interior design preference according age gender and monthly income.

  • PDF

중국내 무선이어폰 디자인 선호도 조사 연구 (A Study on wireless earphones' Design Preference in China)

  • 황신;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5-396
    • /
    • 2016
  • 기존에 중국에 출시된 대부분의 무선 이어폰들은 일반 이어폰보다 크고 무거워 휴대하기가 조금 부담스러운게 단점이다. 본 연구는 기존에 출시된 무선이어폰의 디자인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향후 디자인방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형태는 목에 걸기 편하고 착용이 용이하다는 장점과 음질에 대한 기술적 구현이 가장 뛰어난 일체커널형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신용카드디자인요소가 신용카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업주부 30, 40대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Domestic Credit Card Design Elements on Credit Card Selection -Focusing on 30, 40 Housewives-)

  • 조혜령;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63-269
    • /
    • 2017
  • 신용카드 소지자들은 카드결제수단용을 넘어 본인을 나타내는 심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0, 40대 전업주부가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어떤 디자인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고객 중 연구 대상자를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30, 40대 주부 총 200명을 선정하여 국내 신용카드가 가지고 있는 디자인요소가 신용카드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카드사 자료와 참고문헌,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신용카드 디자인 요소 중 색상은 무채색 계열과 메인 이미지는 이미지나, 로고를 강조하지 않고 컬러로만 사용한 단순한 디자인을 가장 선호했고 다음으로 캐릭터형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카드 장식은 없는 것을 선호하며, 금속 느낌의 카드 재질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카드사에서 30, 40대 주부를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개발 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버스정류장 쉘터 형태의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Visual Preference Factor Analysis for the form of bus stop shelter)

  • 유상완;온순기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405-412
    • /
    • 2003
  • 본 연구는 이용자 중심의 버스정류장 쉘터를 계획, 설계함에 있어서 필요한 시각적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이 일정할 때 쉘터는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선호되어지는가?”에 대한 연구의문에서 출발하여 버스정류장 쉘터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선호요인을 구명하였다. 본 연구는 등간척도의 점수부가체계를 적용하여 이용자에 의한 쉘터 형태의 시각적 선호를 평가한 후 시각적 선호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선호요인들과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검정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버스정류장 쉘터 형태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는 이용자 중심으로 한 버스정류장 쉘터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는 버스정류장 쉘터의 계획 및 설치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해 주고 이용자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쉘터 디자인과 버스정류장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버스정류장 시설물 관리에 있어서 이용자 중심의 쉘터 관리를 전략적으로 마련하는데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대중교통 이용자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선호요인 분석은 버스정류장 계획에 요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모바일 게임캐릭터 유형별 선호도 분석 -드래곤 빌리지, 쿠키런, 애니팡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reference by Mobile Game Character Type -Focused on Dragon Village, Cookie Run, Ani Pang-)

  • 지세은;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337-342
    • /
    • 2019
  • 본 연구는 IP(지적재산권)의 영향이 큰 모바일 게임캐릭터들의 선호도 요인 조사에 관한 연구이다. 캐릭터의 선호요인에 대해 사용자 측면에서의 진행된 연구 사례는 많다. 하지만, 대부분 거시적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세부적인 측면은 알 수 없기 때문에 좀 더 구체적인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캐릭터의 요소들을 분류하여 리커트 5점 척도 설문을 통해 결과에 따라 세부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캐릭터의 요소들을 캐릭터 구성요소별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캐릭터의 선호요인 중 공통으로 나타난 요소들을 알 수 있었다. 공통요인들은 동물형 캐릭터와 간략화된 유형을 가장 선호하고, 고양이 토끼 등의 익숙한 캐릭터를 가장 선호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게임캐릭터 개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디자인 선호이미지를 고려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Public facilities design considering preferred design image)

  • 허성철;김억;홍성수
    • 감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331-340
    • /
    • 2009
  • 최근 지역 환경의 문화적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지역 주민의 도시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도시디자인을 통하여 지역 주민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대내외적으로 그 지역의 도시이미지를 재정립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도시(포항시)의 현황 및 환경적 특성 그리고 시민의 디자인 이미지 선호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이미지 정체성을 구현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 '가로'를 구성하는 공공시설물의 표준디자인 제안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당 도시의 24개 지역에 대한 경관이미지 및 공공시설물 설치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당 도시의 일관된 이념과 사상,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시민들의 공공시설물에 대한 감성적 디자인 선호이미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총 31종의 공공시설물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으며 표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매력 있는 도시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제공이 가능하고, 향후 포괄적인 도시 경관계획에 반영할 수 있는 자료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디자인개발을 위한 eCRM솔루션구현 (The Implementation of eCRM Solution for Design Development)

  • 홍정표;양종열;이유리;오민권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271-280
    • /
    • 2002
  • 최근 정보기술과 인터넷은 눈부신 발전을 해오고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기존의 오프라인 관점에 근거한 전략이나 마케팅은 더 이상 기업경쟁력 향상의 역할을 수행하기가 어렵게 되어가고 있으며, 기업과 고객 사이에서의 디지털 네트워킹으로 인한 고객들에 대한 정보관리 및 마케팅실행방법 등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발전과 변화는 디자인 연구 방법론 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적인 측면과 사회·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Bloch(1995)가 주장한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반응 프레임웍 즉, 선호정도-디자인이미지형용사-디자인요소들간의 명확한 인과관계모형을 구축한 후, IT기반 인터렉션부분인 eCRM을 결합하여 디자인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실시간 디자인 정보 추출 솔루션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어떤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품디자인을 선호하며 선호하는 제품디자인이 제공하는 이미지는 어떤 디자인요소들로 구성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디자이너들이 좀더 객관적이고 신뢰 할 수 있는 디자인요소들을 선택하여 디자인할 수 있는 지침을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에 제공받을 수 있다.

  • PDF

책표지 디자인에서 시각적 요소가 독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문학도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visual factors on the reader's preference in the book cover design -Focused on the literary books)

  • 남미현;백진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329-338
    • /
    • 2004
  •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표지디자인의 개념 및 기능, 구성요소를 고찰하고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문학부문 베스트셀러 표지디자인의 사례분석을 통해 표지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독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표지디자인에 대한 독자의 선호도를 설문조사와 이미지 평가를 통해 책표지 디자인의 조건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표지디자인의 선호도 조사에서 연령, 성별에 따라 관심있게 읽는 책의 종류와 책을 구매하는 장소, 표지디자인에 대한 관심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여자는 스타일서체를 선호하며, 남녀 모두 한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외의 시각적 요소에대한 선호도 차이가 없는 것은 표지디자인이 여러 요소들로 이루어진 통합적인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SD법을 통해 통합적인 이미지로써 표지디자인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나친 추상적 이미지는 명료성이 떨어져 의미전달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타일 서체가 주를 이룬 표지디자인이 독특성, 명확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비주얼이 뛰어나다고 해도 기능적인 면인 의미전달에서 뛰어난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이 논문은 시각적 요소만을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표지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인 재료, 재본, 형태 등에 따라 독자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