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 능력

검색결과 461건 처리시간 0.025초

디지털 융합 환경에서 IT 중소기업의 제품기획능력과 제조능력: 제품외부 및 내부 디자인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T SMEs' Product Planning Capability and Manufacturing Capability in the Context of Digital Convergence: The Mediating Impacts of the Product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Capabilities)

  • 허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55-62
    • /
    • 2015
  • 디지털 융합 환경에서 제품기획능력, 제품디자인능력 및 제조능력은 IT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주요 능력들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실증 연구들이 거의 부재하여, 본 연구는 IT 중소기업의 제품기획능력, 제품디자인능력 및 제조능력 사이의 관계를 모형화하고 이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IT 중소기업의 제품디자인능력을 제품외부 디자인능력과 제품내부 디자인능력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디자인능력이 IT 중소기업의 제품기획능력과 제조능력 사이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310개의 한국 IT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소자승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IT 중소기업의 제품외부 디자인능력과 내부 디자인 능력은 제품기획능력과 제조능력 사이에 존재하는 양(+)의 관계를 함께 완전 매개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디자인 진로적성검사의 개발 (A Development of Career Aptitude Scale for Design Majoring University Students)

  • 길임주;양성용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283-292
    • /
    • 2006
  • 본 연구는 디자인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이나 디자인내의 세분화된 진로선택을 하는데 갈등이 있는 대학생들을 위하여 '디자인 진로적성검사'를 개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세분화된 전공 및 진로분야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먼저 디자인 진로적성의 하위영역을 '직업공통기초능력', '디자인 기초능력', '디자인 전공심화능력'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문헌 및 자료연구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직업공통기초능력'과 '디자인 기초능력'에 관하여 각 능력에 해당하는 세부요소와 요구되는 능력에 대한 정의를 시도하였다. 그 분류를 기반으로 문항시안 개발에 착수하였고, 개발된 문항은 연구의 단계별로 전문가협의회를 구성하여 3차에 걸쳐 타당성을 검증하고 기초조사가 진행되었다. 디자인 진로적성검사 개발을 위하여 구성된 예비척도(직업 공통기초능력 40문항, 디자인 기초능력 53문항)를 대도시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디자인 전공계열 대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 직업공통기초능력은 네 개의 요인(대인관계능력, 목표 추진력, 문제해결력, 자기개발능력)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기초능력 문항은 다섯 개의 요인(디자인기초 소양, 컴퓨터 활용력, 재질감, 조형력, 색채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척도의 결과는 직업수행을 위한 디자인 진로적성으로써 매우 정교하고 현실감 있는 합당한 요인구조를 반영해주고 있다. 본 척도의 타당성에 대해 관련 타척도 및 준거집단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나아가서 디자인전공심화능력에 대한 척도를 개발한다면, 대학생들의 전공결정과 진로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척도가 될 것이라고 본다.

  • PDF

디자인분야 대학생의 정보문해 교육을 위한 핵심 정보문해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nalysis of Cor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Design Discipline)

  • 김순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39
    • /
    • 2006
  • 디자인분야 대학생들이 학업능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인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 정보문해 교육에서 추구하는 일반적인 정보문해능력 이외에 보다 복잡하고 전문적인 정보문해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4개 대학교의 디자인분야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그리고 미국 디자인분야 교육 인증기관인 국립미술디자인학교협회의 디자인분야 학사학위 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문헌조사를 통해 분석된 디자인분야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디자인분야 전 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분야는 7개 범주 26개의 핵심 정보문해능력을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정보문해능력들은 정보문해 교육의 시기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품디자인 등 세부전공분야별로는 보다 더 전문적인 특정 정보문해능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디자인분야 특정 핵심 정보문해능력 이외에 디자인분야에는 일반영역/기초능력관련 일반학문분야에 대한 정보문해능력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디자인 교육을 통한 공감능력 함양에 관한 예비적 고찰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Study on Fostering Empathy by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Education-)

  • 정원준;김창현;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423-428
    • /
    • 2018
  •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초등교육 때부터 디자인 교육을 통한 공감능력 함양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를 통해 디자인 교육의 정의, 필요성 그리고 국내 디자인 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공감능력의 구성요소, 인공지능 시대에서의 그 필요성 그리고 어린이들이 공감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외 디자인 및 공감능력 교육 사례를 조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사례 분석을 통해 북유럽 국가들은 디자인으로 사회 혁신을 이루고 높은 수준의 공감능력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놀이의 형태로 소통, 토론, 협동하는 과정의 디자인 교육이 초등교육을 받는 어린이들이 공감능력을 함양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의 인재 양성을 위해 해외 사례처럼 공감능력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CSCL 기반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W education applying CSCL-based design thinking o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서영호;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27-438
    • /
    • 2018
  • 본 연구는 CSCL 기반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J대학교 겨울방학 교육기부 신청학생 4, 5, 6학년 2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CSCL기반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SW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행하였다.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42시간에 걸쳐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SW교육을 진행한 후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성 검사도구로는 Torrance의 TTCT 도형 검사지 A, B형을 사용하였으며 문제해결능력 검사도구로는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중 문제해결능력 진단지 초등학생용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증 결과,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 교육 능력 평가 기준과 방향 (Application of New Evaluating Elements for Design Education)

  • 김원경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5
    • /
    • 1999
  • 21세기 디자인 교육의 중요한 과제는 다원화되어 가는 미래의 정보 및 국제사회에서 다양하고 독특한 문화를 창조하는 창의적인 인간을 양성하는 일이며 유능한 예비 디자이너로서 타고난 재능과 독창적인 조형표현의 잠재성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게 계획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중략)

  • PDF

멀티미디어 디자인 교육의 기초 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damental Course of Multimedia Design)

  • 이지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223-230
    • /
    • 2002
  •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디자인 관련 산업 분야를 변모시켰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환경이 필요로 하는 능력을 갖춘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 내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라는 새로운 표현양식의 습득을 위한 기초 디자인 교육 과정의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교과 계획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멀티미디어 디자인은 여러 측면의 디자인 문제들을 위해 조직화 능력, 정보 표현력, 상호작용 설계 능력 등의 통합적 해결 능력을 요구한다. 이에 기초과정에서는 정보 표현력의 배양을 중심으로 이후의 계속되는 교육과정과 보다 연계성을 가지는 학습내용이 포함되도록 한다. 학생들은 여러 매체들의 표현요소와 표현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활용한 창의적 구성과 다양한 표현의 방법을 경험하고, 인지적ㆍ심미적 측면의 작용에 대해 연구하도록 한다. 이러한 개발 방향에 따라 기초과정 교과 내용을 크게 두 가지로 설정하였는데, 첫째는 정보 표현력 배양을 위한 학습내용, 둘째는 조직화 및 상호작용 설계 부분과 연계성 있는 학습내용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는 3단계의 학습내용으로 계획된다. 1단계에서는 정서적ㆍ심미적 효과를 중심으로 표현 요소들을 결합하고, 2단계에서는 여러 지식 유형의 정보 전달을 연습하여 다양한 내용영역의 표현을 위한 기초 능력을 기른다. 3단계에서는 단순한 형식의 상호작용 매개체를 구성하도록 한다.

  • PDF

시각디자인을 전공한 직업능력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중국 장쑤성 S 대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ob competency standards majoring in visual design -Focused on S University in Jiangsu Province, China -)

  • 증영;김영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321-331
    • /
    • 2022
  • 최근 중국 시각디자인 분야 기업들은 학교인재 양성의 질적 저하, 졸업생의 개인 능력은 기업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진국처럼 완전한 시각디자인 분야 NCS 제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자기 평가, 기업의 직업 요구, 학교 교육 방식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한국 시각디자인 분야의 국가직업능력표준을 참고해 중국 시각디자인 분야의 직업능역표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한국 시각디자인 분야의 국가직업표준을 바탕으로 중국 장쑤성 S 대학의 시각디자인학과 교육제도를 분석하고 시각디자인학과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중국 시각디자인회사의 직업요건을 참고해 중국 시각디자인 분야의 국가직업표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분석해서 연구결과는 중국 시각디자인 분야 국가직업능력표준의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시각디자인 교사역량 평가 모델 연구 (Visual design teacher competency evaluation model study)

  • 손붕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2권1호
    • /
    • pp.29-41
    • /
    • 2022
  • 최근 시각디자인 전공은 많은 국가에서 생산적 가치를 창출하는 신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시각디자인 교사는 디자이너의 발전과 디자인 산업의 트렌드에도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시각디자인 전공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대학의 시각디자인 전공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며 그들의 직무를 수행할 때 갖춰야 할 역량의 구성 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문서 분류를 통해 지식 능력, 교학 능력, 실무능력, 관리능력, 직업윤리인 5가지 역량군을 기반으로 한다. 시각디자인 업계 전문가 10명과의 인터뷰와 2회의 델파이 방식 인터뷰를 통해 시각디자인 교사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도록 한다.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apstone Design Program on Creative Lead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 김지숙;최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06-41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에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P시 U 대학교 간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한 18명 실험군과 K 대학교 2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 캡스톤디자인 수업 전 후에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창의적리더십이 높아지면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캡스톤디자인 교육 실시 후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성향 등을 반복적으로 조사하여 이를 간호교육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