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사체 분석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5초

On-line HPLC/ESI-MS를 이용한 탄수화물제제 (Acarbose) 분석연구 (Carbohydrate Drug (Acarbose) Analysis using by the On-line HPLC/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 조현우;명승운
    • 분석과학
    • /
    • 제15권6호
    • /
    • pp.574-579
    • /
    • 2002
  • 탄수화물 형태의 당뇨치료제인 acarbose 및 그 대사체를 LC/MS를 사용하는 간편하고 감도 좋은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혈장시료를 주사기 필터로 거른후 다른 시료전처리과정 없이 LC/MS에 직접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Acarbose에 대한 검정곡선은 $0.1{\sim}10{\mu}g/m{\ell}$ 농도범위에서 $r^2=0.9963$의 선형성을 나타내었다. ${\alpha}$-Amylase와 ${\beta}$-amylase를 사용한 in vitro 배양 시험을 통해서 생성된 대사체 component-I과 component-II도 정성적으로 확인 가능하였다. 이러한 LC/MS 분석법은 acarbose의 약동력학적 연구는 물론이며 다른 탄수화물 형태 약물의 연구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모세관 전기영동법을 이용한 1,2,4-트리메틸벤젠 대사체의 분석 (Analysis of the Metabolites of 1,2,4-Trimethylbenzene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 강종성;홍정희;임정미;이용문;장재연
    • 분석과학
    • /
    • 제12권4호
    • /
    • pp.326-331
    • /
    • 1999
  • 방향족 탄화수소인 trimethylbenzene (TMB)은 그 사용량이 늘어갈 뿐 아니라 직업적으로 폭로되는 양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생물학적 모니터링 및 흡수, 대사, 배설에 관한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TMB는 간의 산화효소에 의해 하나의 메틸기가 산화되고 이것이 glycine과 포합되어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1,2,4-TMB의 대사체를 합성하고, 모세관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모세관 전기영동법으로 흰쥐의 뇨 중에서 1,2,4-TMB의 대사체인 3,4-, 2,4-, 2,5-dimethylbenzoic acid 및 3,4-, 2,4-, 2,5-dimethylhippuric acid를 분석하기 위하여 내경 $75{\mu}m$, 총길이 36cm (검출기까지 29cm)인 용융실리카 모세관을 $15^{\circ}C$로 유지하면서 양단에 10㎸의 전압을 걸어주고, 전해질로는 15mM ${\beta}-CD$, 3% 2-프로판올을 포함하는 0.1M 인산완충액 (pH 7)을 사용하였으며, 검출신호는 UV 210nm와 254nm에서 동시에 모니터링하였다. 뇨 시료의 분석 결과 배설된 1,2,4-TMB의 대사체의 상대량은 3,4-이성질체가 56.7%, 2,4-이성질체가 30.5%, 2,5-이성질체가 12.8%였다. 이 방법은 노동자의 뇨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사체와 대사물질 구조분석을 통한 Novosphingobium pentaromativorans US6-1의 dibenzofuran 분해 경로 해석 (Investigation of biodegradation pathway of dibenzofuran by Novosphingobium pentaromativorans US6-1 via transcriptomic and mass-spectrometric analysis)

  • 나혜윤;권개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6-52
    • /
    • 2018
  •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 우수 분해균주인 Novosphingobium pentaromativorans US6-1의 dibenzofuran (DBF) 분해경로를 밝히기 위하여 중간대사물질 분석과 전사체 분석을 진행하였다. GC/MS로 중간대사물질을 분석한 결과, 3(2H)-벤조퓨라논이 검출되었는데 이 화합물은 측면 이산소화에 의해 생성된 중간대사산물들의 기본 골격이 되는 물질로써 균주 US6-1에 의한 DBF의 분해가 측면 이산소화로 진행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RNA-Seq 분석 결과, 균주 US6-1이 DBF에 노출되었을 때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대부분이 lateral dioxygenation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N. pentaromativorans US6-1에 의해 일어나는 측면 이산소화를통한 DBF 분해경로와 관련 유전자들을 제시하였다.

고체상 추출과 GC/MS를 이용한 소변 중 대마 대사체 (THCCOOH) 분석 (Determination of 11-nor-9-carboxy-Δ9-tetrahydrocannabinol (THCCOOH) in human urine by solid-phase extraction and GC/MS)

  • 정재철;김진영;인문교;정원조
    • 분석과학
    • /
    • 제19권5호
    • /
    • pp.441-448
    • /
    • 2006
  • 소변 중 대마 남용여부를 판별하는데 기준이 되는 tetrahydrocannabinol (THC)의 대사체 성분인 11-nor-9-carboxy-${\Delta}^9$-tetrahydrocannabinol (THCCOOH)를 고체상 추출법 (solid-phase extraction, SPE)과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GC/MS)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분석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실험은 시험관에 소변 3 mL를 취해 염기성 (pH 10) 조건에서 가수분해 한 후, 양이온교환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THCCOOH 성분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증발 건고한 다음 유도체 반응을 시켜 GC/M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방법의 검출한계 (LOD)는 0.4 ng/mL이고, 정량한계 (LOQ)는 1.2 ng/mL이였다. 검정곡선의 직선성 상관계수 ($r^2$)는 1.2 (LLE는 1.3)~50.0 ng/mL의 농도범위에서 0.999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정밀도 (precision)와 정확도 (accuracy)는 모두 ${\pm}1.20%$ 이내로 안정적이었으며, 회수율(recovery)은 83.6~90.7%로 측정되었다. 액체상 추출법 (liquid-liquid extraction, LLE)과 비교할 때, SPE 방법이 회수율은 낮았지만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도 및 정확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LLE 방법은 추출과정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반면, SPE 방법은 상대적으로 추출 조작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추출되었으며, 추출 잔류물도 깨끗하였다. SPE를 이용한 추출방법을 다수의 대마 흡연자 소변에 적용하였을 때 기존에 사용하던 LLE 방법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대마 대사체 분석이 가능하였다.

FT-IR 스펙트럼 기반 다변량통계분석기법에 의한 두과작물의 대사체 수준 식별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rapid discrimination system of leguminous plants at metabolic level using FT-IR spectroscopy with multivariate analysis)

  • 송승엽;하태정;장기창;김인중;김석원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21-12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중인 대표적인 두과작물(대두, 완두, 강낭콩, 팥, 녹두, 동부)종자로부터 전세포추출물의 FT-IR 스펙트럼 데이터로부터 다변량통계분석(PCA, PLS-DA, HCA)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한 종 구분체계를 확립하였다. 대사체수준에서 팥, 녹두, 동부는 유연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두, 완두, 강낭콩은 비록 두과작물이지만 차이가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얻어진 대사체 정보의 다변량통계분석에 의한 유연관계분석은 흥미롭게도 두과작물의 계통분류학적 유연관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FT-IR 스펙트럼 데이터의 다변량통계분석은 방법의 간편성과 신속성을 고려할 때 두과작물의 계통이나 품종의 신속한 식별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두과작물의 기능성 성분 함량 정보가 성공적으로 연계된다면 본 연구에서 확립된 대사체 기반 신속식별체계는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은 계통이나 품종의 조기 선발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변 중 메트암페타민, 암페타민 및 대마 대사체 LC-MS/MS 정량분석에서 검량선 작성을 위한 R을 활용한 회귀모델 선택 (Regression model for the preparation of calibration curve in the quantitative LC-MS/MS analysis of urinary methamphetamine, amphetamine and 11-nor-Δ9-tetrahydrocannabinol-9-carboxylic acid using R)

  • 김진영;신동원
    • 분석과학
    • /
    • 제34권6호
    • /
    • pp.241-250
    • /
    • 2021
  • 검량선 작성은 기기분석을 통해 생체시료에서 분석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정량분석법 개발과 측정값의 정확도 향상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R 기반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개별 분석물질 정량에 적합한 가중계수와 회귀모델 선정하기 위한 단계별 선택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국내에서 남용빈도가 가장 높은 필로폰과 대마 복용여부 확인을 위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LC-MS/MS)이 적용되었으며, 분석물질로 마약의 복용 여부를 확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상 마약의 모체와 대사체를 소변 시료에서 분석하였다. 검량선 작성에 있어서 가중계수 적용여부는 원본데이터의 이분산성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고, 가중계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분산분석을 통해 적정 가중계수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편분산분석을 이용하여 회귀모델에 적합한 차수를 결정하였다. 분석물질인 메트암페타민, 암페타민, 대마 대사체에 대해 R 기반 프로그램에 적용한 결과, 단계별 결과 및 최종 모델식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신속하게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서 파일로 저장이 가능하여 보관의 편의성을 제고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제작된 R 기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량선 작성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약물분석 분야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onolithic 칼럼을 이용한 뇨 중 유기용매 대사체의 신속한 HPLC 동시 분석 (Rapid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metabolites of organic solvents in human urin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 monolithic column)

  • 한상범;이상주;이철우;윤서현;정선경;염정록
    • 분석과학
    • /
    • 제19권5호
    • /
    • pp.433-44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톨루엔, 크실렌, 스티렌 등의 폭로에 대한 측정지표로써 체내에서 대사되어 뇨로 배설되는 마뇨산, 메틸마뇨산, 만델산과 페닐글리옥실산에 대한 신속한 동시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일반 충전형 ODS 칼럼과 달리 빠른 유속에서도 고분리능을 구현할 수 있는 monolithic 칼럼을 사용하였고, 이동상으로는 ion-pairing reagent인 tetrabutylammonium bromide 5.5 g과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1.5 g을 증류수 1 L에 녹인 후, 메탄올 0.6 L와 혼합하여 조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유속 2.4 mL/min에서 분석한 결과, 6종의 유기용매 대사체들을 2.5분 이내에 검출하였다. 일정 농도 범위 내에서 6종 화합물 모두 검량선의 상관계수($r^2$)가 0.9993 이상으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각 화합물별로 5가지 농도에 대하여 하루에 5번 반복 실험하여 구한 일내 정밀성 %C.V.와 정확성은 0.01~7.32%, 83.9~116.3%이고 5일간 반복 실험하여 구한 일간 정밀성 %C.V.는 0.01~7.16%이다. 본 분석법은 뇨 중 유기용매 대사체의 분석에 필요한 충분한 감도와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 및 정밀성을 가지며, 한국산업안전공단 산하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병연구센터의 정도관리 소변시료를 분석 비교하여 그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식물 대사체 연구의 진보 (Advances in Plant Metabolomics)

  • 김석원;정회일;유장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3호
    • /
    • pp.161-169
    • /
    • 2006
  • 식물대사체학은 식물세포, 조직, 기관, 혹은 개체수준에서 주어진 시간과 조건에서 발견되는 모든 대사물질을 밝히고, 시간의 경과 혹은 조건의 변화에 따른 metabolic profiling의 변화를 연구하는 식물학 분야이다. 식물대사체학은 생물에 대한 전체론적 접근을 위한 가장 최근에 발달된 omics분야의 하나로서 일종의 시스템 생물학이다. 전체론적 접근과 이해를 위해서 대사체학은 metabolic profiling의 계량화학 혹은 다변량분석 방법을 자주 사용한다. 식물학분야에서 대사체학은 애기장대나 벼와 같은 모델식물에 tag를 도입하여 형질전환시킨 돌연변이체에 대해 DNA microarray와 함께 사용하여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총설에서는 식물대사체학의 기본 개념과 1H NMR 혹은 FTIR으로 얻은 metabolic profiling의 다변량분석에 대한 실용적인 사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