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본심리욕구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생의 게임 이용 행동 군집분류: 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균형을 중심으로 (Game Use Behaviors Classifica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Stress, Satisfaction and Balance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 조의혁;장성호;신성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58-566
    • /
    • 2021
  • 본 연구는 게임 이용 대학생을 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의 만족 및 균형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나뉘어진 군집에 따라 게임 이용 행동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장훈장학회의 도움을 받아 게임 이용 대학생 447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게임 이용 대학생은 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균형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네 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또한, 기본심리욕구 만족 정도에 따라 인터넷 게임장애 수준에 차이가 있고,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기본심리욕구가 만족 수준이 비슷할 때 균형이 높을수록 인터넷 게임장애 수준이 낮았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본심리욕구 만족뿐 아니라 만족된 균형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였고 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균형의 유형에 따라 게임 이용 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생리심리적 관점과 맥을 같이한다.

도박중독자의 문제도박 수준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기본심리욕구의 다중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Problem Gambling and Stress among Gambling Addicts: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 김재환;장성호;신성만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1호
    • /
    • pp.43-59
    • /
    • 2022
  • 본 연구는 도박중독자의 문제도박 수준과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자율감, 소속감, 유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도박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기본심리욕구와 스트레스가 도박중독자에게는 문제도박으로 인한 결과일 수도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박중독 유병률을 구하는 기준에 따라 도박중독 수준에 해당하는 성인 206명을 선별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도박중독자의 성별과 도박 부채 금액을 통제한 후 문제도박수준과 기본심리욕구가 스트레스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도박 수준과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은 스트레스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도박 수준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의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도박 수준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율감, 소속감, 유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본심리욕구와 스트레스가 도박중독의 원인일 뿐만 아니라 문제도박 수준이 심각해짐에 따른 폐해들로 인한 결과일 수 있음을 제시하며 기본심리욕구 결핍(도박이용자)→스트레스(도박이용자)→문제도박→도박중독(도박중독자)→문제도박→기본심리욕구 결핍(도박중독자)→스트레스(도박중독자)라는 심리적 과정의 가능성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여 문제도박 상담에 임상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진성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Basic Pychological Need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Nurs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 조영문;장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19-32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 긍정심리자본, 진성리더십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기본심리욕구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진성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20년 4월부터 2020년 6월까지 M시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 간호사 18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기보고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Program과 SPSS PROCESS MACRO(모텔4번과 모텔 7번)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본심리욕구는 심리적 소진에 부적영향을 주었으며, 기본심리욕구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진성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사의 심리적 소진 감소를 위해서는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긍정심리자본의 향상이 필요하며, 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이 요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심리적 소진 감소를 위해서는 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와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개발과 간호관리자의 진성리더십 개발을 위한 리더십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과 중국 청소년 비교 연구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 정구철;김영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397-407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 각각 150명씩 총 300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청소년들은 기본심리욕구의 자율성이 유의하게 높았고, 중국 청소년들은 유능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와 투지 및 주관적 웰빙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기본심리욕구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한국 청소년들이 중국 청소년들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본심리욕구가 투지를 통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투지의 매개효과는 중국 청소년들이 한국 청소년들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주관적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투지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한국 청소년들의 유능성 증진과 중국 청소년들의 자율성 증진을 위한 접근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업소진의 관계: 욕구지지적 교수행위와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perceived teacher's calling and academic burnout: Need-supportive teaching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s serial mediators)

  • 박상우;박희웅;이수란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3호
    • /
    • pp.399-423
    • /
    • 2021
  •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진 소명의식이 타인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교사의 소명의식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학생 인식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소명의식이 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그러한 영향의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대한민국 고등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생의 학업 소진 간의 관계가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 및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에 의해 매개되는지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생의 학업소진의 직접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를 매개로 학생의 학업소진과 부적인 간접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매개변인 1) 및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매개변인 2)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학생의 학업소진과 부적인 간접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하였다.

댄스스포츠 지도자 매력성이 참가자의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지속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nce Sport Coach's Attractiveness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xercise Adherences Behavioral Intention of Dance Sport Participants)

  • 정성한;이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19-32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댄스스포츠 지도자 매력성에 대하여 참여자의 지각수준이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지속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기본심리욕구가 운동지속 행동예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 소재 댄스스포츠 교육센터 프로그램 중 동호회 활동으로 참여하고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의사를 밝힌 교육센터 6곳을 선정하고 직접 방문하여 총 306명의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타당도, 신뢰도 검증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의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댄스스포츠 지도자 매력성은 참가자의 기본심리욕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댄스스포츠 지도자 매력성은 참가자의 운동지속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댄스스포츠 참가자의 기본심리욕구는 운동지속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부모 양육 태도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Parenting Attitude and Over Dependence on Smart Phon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 이현이;김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2-74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 양육 태도와 기본심리 욕구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기본심리 욕구의 매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7년 인터넷 스마트폰 과의존 장기 추적 조사 데이터 901명의 설문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과의존은 기본심리 욕구의 자율성(r=-.22, p<.001), 유능성(r=-.13, p<.001)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r=-.21, p<.001)에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부정적 양육 태도(r=.15, p<.001)에서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 양육 태도와 기본심리 욕구는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친다. 긍정적 양육 태도는 자율성을 매개하여 스마트폰 과의 존을 낮춰주고, 부정적 양육 태도는 자율성을 매개하여 스마트폰 과의존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사회적 관심 제고를 위한 국가적 정책 방향과 함께 자녀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기본심리 욕구 충족을 위한 부모교육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개입 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일반운동애호가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eneral Exercise Enthusiast on Exercise Addiction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

  • 이승도;김영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51-26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운동애호가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생활체육을 하도록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0년 1월에 경남에 소재한 일반 운동애호가들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으로 표본 추출을 이용한 설문지로 시행하였다. 첫째,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실시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중독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의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중독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주일운동량에서 6일 참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는 운동중독(금단증세, 운동욕구, 감정적애착)에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모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는 운동중독(금단증세, 운동욕구, 감정적애착)에 높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간호사의 기본심리욕구,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Burnout depending on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 조영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413-42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조직의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기본심리욕구,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소진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20년 5월부터 2020년 6월까지 M시에 소재한 5개 중소병원 간호사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기보고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 유형은 기본심리욕구, 긍정심리자본과 정적 상관관계가, 심리적 소진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 문화유형이 간호사의 긍정심리에 정적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를 활성화할 수 있는 간호조직 내 시스템 구축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초기 성인기의 자기은폐,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이성관계 헌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Concealment, Satisfy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Commitment of Romantic Relationship in Early Adulthood)

  • 채지은;박정윤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3호
    • /
    • pp.305-323
    • /
    • 2021
  •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자기은폐,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이성관계 헌신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기은폐와 이성관계 헌신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현재 이성교제 중인 20-29세 성인 19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v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성별, 연령, 이성교제 기간이 이성관계 헌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본심리욕구 중 관계성을 충족하는 것이 이성관계 헌신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자기은폐가 이성관계 헌신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초기 성인기의 자기은폐와 이성관계 헌신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관계성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졌다. 초기 성인기의 이성관계 헌신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자기은폐를 낮추고 기본심리욕구의 관계성을 충족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변인들이 이성관계 헌신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려고 한 것에 의미가 있으며, 초기 성인기의 이성관계 헌신을 증진하기 위한 개입의 근거를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