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General Exercise Enthusiast on Exercise Addiction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

일반운동애호가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Do (Department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Hanlyo University) ;
  • Kim, Young-Hun (School of Protection Science Kyungwoon University)
  • 이승도 (한려대학교 사회체육학과) ;
  • 김영훈 (경운대학교 경호학부)
  • Received : 2020.05.18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xercise addiction and to identify effects of To do thi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elf-evaluating questionnaires on the exercise addiction, th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subjective were distributed to 305 participants in general exercise enthusiast for all, and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used the SPSS Statistics 18.0 program to process dat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validity and Cronbach's α was performed for reliability.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among variables. The significance level in this research was set at=.05 and the followings α are derived outcomes. The following is the comprehensive finding of the effect of general exercise enthusiast exercise addiction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Exercise Addic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but participation in 6 days was the highest in exercise amount per week. Second, Basic Psychological Need(autonomy, competition, relatedness) showed a high difference in Exercise Addiction(withdrawal symptoms, exercise need, emotional attachment). Thir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ll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Basic Psychological Need(autonomy, competition) was found to have a high effect on Exercise Addiction(withdrawal symptoms, exercise need, emotional attach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운동애호가들의 기본심리욕구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생활체육을 하도록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0년 1월에 경남에 소재한 일반 운동애호가들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으로 표본 추출을 이용한 설문지로 시행하였다. 첫째,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실시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중독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의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중독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주일운동량에서 6일 참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는 운동중독(금단증세, 운동욕구, 감정적애착)에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모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는 운동중독(금단증세, 운동욕구, 감정적애착)에 높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욱. (2002).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중독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1(5): 59-70.
  2. 강신욱. (2013).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중독 실태와 운동중독의 사회심리적 특성. 한국체육학회지, 52(5): 121-135.
  3. 곽한병, 유성수. (2011). 레크리에이션 참가자의 참가동기와 몰입경험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행복학회지, 1(1): 17-31.
  4. 권용남. (2014). 웨이트트레이닝 참여자의 운동 중독수준에 따른 긍정적 및 부정적 행동특성.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덕진. (2013). 체육수업에서 중학생의 기본적 심리욕구만족과 운동열정 및 주관적 웰빙간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7(4): 111-125.
  6. 김덕진, 양명환. (2013). 스포츠 상황에서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척도 개발과 자기결정이론의 모형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4(1): 29-58..
  7. 김병준. (2009). 운동심리학 이해와 활용. 서울 : 무지개사.
  8. 김성인. (2017). 자유학기제의 체육활동참여를 통한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영갑, 김상범. (2017). 크로스핏 참가자의 감각추구성향과 몰입경험 및 운동중독의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19(1): 39-47.
  10. 김원태. (2019).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기본심리 욕구, 운동몰입,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윤래. (2017). 골프참여자들의 운동중독과 삶의 질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5(3): 49-58.
  12. 김진아. (2016). 운동중독 여부가 웨이트트레이닝 운동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호. (2015). 마라톤 동호인들의 재미요인과 운동몰입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판규, 홍윤주. (2010). 골프 참여자의 몰입이 운동중독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9(3): 151-162.
  15. 남미소. (2017). 중년여성 자전거타기 활동의 운동몰입과 재미요인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도무환. (2016). 여성의 테니스동호회 참가와 스포츠몰입, 운동재미, 활동지속의 관계.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명신협. (2016). 주짓수 수련생들의 운동중독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종임. (2020). 댄스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동호인의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2): 97-107.
  19. 신규리. (1999). 여가 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중독 척도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신성득, 김응준. (2017).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운동몰입에 따른 운동중독과 탈진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1): 219-229
  21. 신종훈. (2013).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운동중독과 자긍심 그리고 행복감간의 인과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오승희. (2019). 성인여성 취미발레 참여자의 기본심리욕구가 무용몰입 및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오윤선 김상현 임세영. (2007). 에어로빅체조선수들의 몰입이 운동중독과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9(4.): 253-266.
  24. 이명희, 김아영. (2008).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4): 157-174. https://doi.org/10.21193/kjspp.2008.22.4.010
  25. 이민재, 이선민. (2015). 보드게임 프로그램이 뇌졸중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3): 235-249.
  26. 이유진. (2013). 스마트폰 의존 유형이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주수환(2005).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운동중독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최영훈. (2018). 크로스핏 참가자의 운동중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Brown, R. I. F. (1993). Some contributions of the study of gambling to the study of other addictions. In: Eadington, W.R. and Cornelius, J .A. (Eds.), Gambling Behaviour and Problem Gambling, pp. 241-272. University of Nevada Press, Reno.
  30.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31. Deci, E. L., & Ryan, R. M. (1991). Amotivational approach to self: Integration in personality. In R. Dienstbier(Ed.),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Vol. 38. Perspectives on motivation(pp. 237-288).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32. Deci, E. L., & Ryan, R. M. (2002).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N. 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33. Deci, E. L., Ryan, R. M., Gagne, M., Leone, D. R., Usunov, J., & Kornazheva, B. P. (2001). Need satisfaction, motivation, and well-being in the work organizations of a former eastern bloc country: A cross-cultural study of self-determin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8): 930-942. https://doi.org/10.1177/0146167201278002
  34. FU JIAN FENG. (2017). 中國 湖南省 生活體育參與者의 基本心理欲求와 運動中毒의 關係. 龍仁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35. Griffiths, M. (1997). Exercise addiction: A case study. Addiction Research, 5(2): 161-168. https://doi.org/10.3109/16066359709005257
  36. Kowal, Joh & Fortier, M. S. (2000). Testing relationships from the hierarchical model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using flow as a motivational consequenc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1, 171-181. https://doi.org/10.1080/02701367.2000.10608895
  37. Morgan W. P. (1979). Negative addiction in runners. The Physician and Sport medicine. 7(2). 56-63. https://doi.org/10.1080/00913847.1979.11948522
  38.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78.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39. Terry, A., Szabo, A., & Griffiths, M. (2004). The exercise addiction inventory: A new brief screening tool. Addiction research and theory, 12(5): 489-499. https://doi.org/10.1080/16066350310001637363
  40. XIE HAOLIN. (2016). 中國 湖南省 生活體育 參與者의 感覺追求性向 및 參與動機와 運動中毒의 關係. 龍仁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