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8.397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Jeong, Goo-Churl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Jin, Ying-Hua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The study subjects were a total of 300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Korean adolescents showed a high level of autonomy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while Chinese adolescents showed a high level of competenc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grit as well as subjective well-being. Third, we established that the direct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subjective well-being was more potent in Korean adolescents than Chinese adolescents. Fourth, the indirect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gr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was found to be stronger among Chinese youth than Korean youth.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grit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and the approaches to improve Korean youth's competence and Chinese youth's autonomy.
Keywords
Adolescent; Need; Grit; Well-being; Happi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 Messick, Technology and the future of higher education assessment,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Issues of access, quality, student development, and public policy, pp.243-254,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99.
2 D. Goleman, Emotion1al intelligence, NY: Bantam, 2006.
3 이명희, 김아영,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 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2권, 제4호, pp.157-174, 2008.   DOI
4 S. Lyubomirsky and H. S. Lepper,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46, No.2, pp.137-155, 1999.   DOI
5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187-205, 2009.
6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Ed), NY: The Guilford Press, 2013.
7 김혜온, 이진순, "한국과 독일 청소년의 정서적 자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9권, 제2호, pp.21-40, 2006.
8 QI BOYA, 안도희, "한국과 중국 중학생들이 지각한 학교 분위기, 유능감 및 학교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교류연구, 제8권, 제2호, pp.93-118, 2019.
9 마연연, 중국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0 이현이, 김영식, "부모 양육 태도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62-74, 2018.   DOI
11 김영민, 자율성 지지와 유능감, 성취목표 및 자기주도학습의 구조적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2 진병주, 정혜원,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친구 및 교사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5호, pp.141-165, 2020.
13 중국 교육부, 2018年來華留學統計(2018년 재중유학통계), 2019.
14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2019년 6월 기준), http://stat.kita.net/main.screen
15 법무부, 출입국통계, http://www.moj.go.kr/moj/2412/subview.do에서 2020년 5월 19일에 검색.
16 교육부, 2018년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통계, 2018.
17 매일경제, "한국 세계행복지수 156개국 중 54위...핀란드 또 1위", 2019년 3월 21일자,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3/170008/
18 E. L. Deci and R. M. Ryan,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Vol.11, pp.27-268, 2000.
19 E. L. Deci and R. M. Ryan,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3-33, NY, US: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002.
20 이지이, 청소년의 마인드셋, 학업적 그릿,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21 정철상, "청소년의 그릿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675-684, 2020.   DOI
22 허예빈, 김아영,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4호, pp.1075-1096, 2012.
23 주지향, 정구철,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투지 및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240-251, 2019.   DOI
24 조수진, 중학생이 인식한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5 K. M. Sheldon and C. P. Niemiec, "It's not just the amount that counts: Balanced need satisfaction also affects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1, No.12, pp.331-341, 2006.   DOI
26 J. Reeve,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6th ed), NJ, US: John Wiley & Sons, 2014.
27 신종호, 진성조, 김연재, "지각된 부모의 학습지원, 성취기대, 일상통제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1호, pp.121-137, 2010.
28 김은주, 도승이,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유능감 및 관계성의 욕구와 내재동기 및 수업참여의 관계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3권, 제1호, pp.181-196, 2009.
29 G. L. Lavigne, R. J. Vallerand, and P. Miquelon, "A motivational model of persistence in science education: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Vol.22, No.3, pp.351-369, 2007.   DOI
30 구장회, 안도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가정의 심리적 환경,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 참여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1호, pp.21-44, 2015.
31 이수진, "지각된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과 대학생활에서의 학업성취, 정서적 적응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5권, 제4호, pp.903-926, 2011.
32 김왕배, "한국의 교육열," 지식의 지평, 제17권, pp.104-120, 2014.
33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and D. R. Kelly,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No.6, pp.1087-1101, 2007.   DOI
34 M. R. West, M. A. Kraft, A. S. Finn, R. E. Martin, A. L. Duckworth, C. F. O. Gabrieli, and J. D. E. Gabrieli, "Promise and paradox: Measuring students' non-cognitive skills and the impact of schooling,"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Vol.38, No.1, pp.148-170, 2014.   DOI
35 蒋文, 蒋奖, 杜晓鹏, 古典, 孙颖, "坚毅人格与学业成就的关系:学习投入的中介作用," 中国特殊教育, 第4期, pp.91-96, 2018.
36 이수란,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7 김진구, 박다은,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제31권, 제1호, pp.145-162, 2017.
38 官群, 薛琳, 吕婷婷, "坚毅和刻意训练与中国大学生英语成就的关系," 中国特殊教育, 第12期, pp.78-82, 2015.
39 方璐瑶, "坚毅性与尽责性对大学生学业成绩的影响:刻意练习的中介作用--以浙江大学为例," 高教论坛, 第5期, pp.103-109, 2019.
40 A. Salles, G. L. Cohen, and C. M. Mueller,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sident well-being,"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Vol.207, No.2, pp.251-254, 2014.   DOI
41 K. Singh and S. D. Jh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grit as predictors of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Indian Academy of Applied Psychology, Vol.34, No.2, pp.40-45, 2008.
42 B. Jin and J. Kim, "Grit, basic needs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Vol.38, pp.29-35, 2017.   DOI
43 M. M. Vainio and D. Daukantaite, "Grit and different aspects of well-being: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via sense of coherence and authenticity,"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7, No.5, pp.2119-2147, 2016.   DOI
44 胡恒德, 张琰, 戴红, 朱霞, "军校学员主观幸福感、坚毅品质与学业倦怠的关系," 华南国防医学杂志, 第33期, 第3號, pp.181-184, 2019.
45 박현린, 표정민, 김누리,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그릿 과 행복추구경향이 대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6권, 제3호, pp.59-86, 2019.
46 OECD, Social and emotional skills constructs and measures for the OECD longitudinal study of skill dynamics. Paris: OECD,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