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대도

검색결과 31,295건 처리시간 0.057초

기대-가치 모델에 근거한 체육수업에서 그릿(Grit)과 성취행동의 관계 이해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hievement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the Expected-Value Model)

  • 송기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29-43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기대-가치와 성취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353명이었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전체연구 단위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생들의 기대-가치 지각은 그릿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취행동에는 성공기대만이 유의미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그릿은 성취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대-가치와 성취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기대가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축적에 미치는 효과 (Retirement-related Subjective Expectations and the Capital Accumulation of the Korean Baby-boom Generation)

  • 이윤수;우석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855-87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가 자산축적에 미친 효과를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고령화패널 1, 2차년도(2006, 2008년) 자료를 이용하여 자산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학력, 성별, 자녀수는 어떤 분위에서도 유의한 결정요인이었다. 특히, 학력과 자녀수는 상위 분위로 갈수록 총자산의 격차를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의 경우, 증여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좀 더 긴 수명을 기대할수록, 베이비붐 세대는 좀 더 많은 자산축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노후 생활에 대한 국가의 보장 정도가 개인의 자산축적을 구축하는 정도는 총자산 하위 분위 보다는 상위 분위에서 증가하였으며, 상위 분위의 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학교적응기대와 부모효능감 및 자녀유능성 인식과의 관계 (Mothers' Expectation on School Adjustment of Their Preschool Children and Mothers' Perception of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Competence)

  • 신호정;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87
    • /
    • 2007
  •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학교적응기대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및 자녀유능성 인식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만 5세반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34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취학 전 유아 어머니의 자녀 학교적응기대는 첫째, 어머니의 학력이 높고, 직장에 다니고 있으며, 자녀를 초등학교에 진학시킨 경험이 있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아보다는 여아에 대해, 첫째 자녀보다는 둘째 이상의 자녀에 대해 높은 학교 적응기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유아의 월령이 높을수록 그 기대가 높았다. 둘째, 취학 전 유아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교사관계, 친구관계, 학교수업과 규칙 등의 학교적응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가 높았다. 셋째, 취학 어머니가 자녀의 사회적 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자녀의 교사관계, 친구관계 적응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인지적 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수업과 규칙적응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직무 기대와 직무 만족의 차이가 전반적인 직원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학 행정직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Differences between Job Expectations and Job Satisfaction on Overall Employee Satisfaction -Focused on University Staff-)

  • 유형규;이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08-317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 행정직원이 직무에 대한 사전 기대와 만족의 차이인 기대 불일치가 직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대 불일치가 행정직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12월17일부터 2018년 12월24일까지 8일 동안 서울지역 S 대학교에 재직 중인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행정직원의 입사전 직무기대와 입사후 직무만족 사이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15개 모든 측정변수에 대해서 유의미한 부(-)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근무대가 요인과 인사제도 요인이 직원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대가와 인사제도의 기대 불일치가 1 늘어나면 직원만족은 각각 0.35, 0.24만큼 낮아진다. 셋째, 근무대가와 인사제도의 하위 항목 중에서도 부서배정과 업무분장, 적절한 보수지급, 보수결정과정의 합리성, 좋은 복지제도 등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 불일치와 직원 만족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재정적인 부담이 낮으면서 직원 만족을 높일 수 있는 항목에 집중하여 행정직원의 기대 불일치 폭을 좁혀나간다면 직원의 만족이 높아지고 결국 교육서비스 품질이 제고될 것이다.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대학생활적응 및 미래성공기대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ontingencies of Self-Worth(Superiority and Others' Approval) o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nd Expectancy for Future Success: The Roles of Cognitive Flexibility as Mediators)

  • 정은선;하정희;이성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26-236
    • /
    • 2017
  • 본 연구는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우월성과 타인승인이 대학생활적응 및 미래성공기대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47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46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우월성은 대학생활적응과 미래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은 대학생활적응 및 미래성공기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완전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우월성은 인지적 유연성의 대안요인을 거쳐 대학생활적응 및 미래성공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은 인지적 유연성의 통제요인을 통해 대학생활적응 및 미래성공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은 인지적 유연성과 부적인 관계에 있으나 인지적 유연성이 높으면 대학생활적응 및 미래성공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가치가 우월성에 기반한 사람일수록 어려움에 당면했을 때 자신과 상황에 적응적인 생각을 취함으로써 대학생활적응 및 미래성공기대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한편 자기가치감이 타인의 승인을 기반으로 한 것일지라도 상황과 사건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고 조력한다면 대학생활적응 및 미래성공기대에 대한 부적응적 측면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우월성 및 타인승인이 현재 대학생활뿐만 아니라 나아가 미래성공에 대한 기대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우월성 및 타인승인이 높은 내담자를 이해하고 조력할 수 있는 개입으로서 인지적 유연성이 핵심 변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축제이벤트에서의 전통향토 음식체험관광에 대한 관광동기가 기대도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ourism Motivation for Traditional Indigenous Foods on Expectation, Community Attachment and Tourism Satisfaction in Festival Event)

  • 김재곤;송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434-448
    • /
    • 2011
  • 본 연구는 축제이벤트에서의 전통향토 음식체험관광에 대한 관광동기가 기대도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체험이벤트에서의 음식체험관광 관광동기가 관광상품에 대한 기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류성, 교육성, 심미성, 탈일탈성, 모험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역애착에는 교류성, 교육성, 심미성, 탈일탈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상품에 대한 기대도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애착이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축제이벤트를 통한 전통음식의 관광자원화가 얻을 수 있는 관광적 가치로 음식관광자원을 다양하게 개발함으로써 관광객들에게 고유한 음식문화를 소개하고, 동시에 미식의 즐거움이나 관광의 즐거움을 더해 줄 수 있으며, 지역의 향토음식을 보존, 계승 및 발전시킬 수 있어 향토애가 높아지고 관련 산업의 발전으로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초등학생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및 흥미 일치도 분석 (Correspo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ticipated Vocations, Perceived Competencies, and Interests)

  • 서지윤;김미경;송수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84-193
    • /
    • 2013
  • 본 연구는 Holland의 RIASEC 모형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및 흥미 일치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659명을 대상으로 직업기대, 능력지각, 흥미 검사결과를 토대로 Kappa 일치 지표를 이용하여 각 변인들의 일치도 분석과 성별, 학년에 따른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기대-능력지각,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 일치도는 일반 Kappa, 가중치 Kappa 두 지표 모두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일치도 분석 결과 직업기대-능력지각에서는 남자, 여자 모두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다.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에서는 남자만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고, 학년에 따른 일치도 분석은 직업기대-능력지각에서는 5학년, 6학년 모두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다.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에서는 5학년만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고, 6학년은 흥미 항목에 대해 C(관습형)로 응답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통계량을 계산할 수 없었다. 전체적으로 초등학생의 직업기대, 능력지각, 흥미 간에는 유의미한 일치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는 초등학교 5, 6학년이 되면 직업인식에서 능력과 흥미요인을 고려한다는 것을 뜻하며, 진로지도와 교육에 있어 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OTT 이용자의 큐레이션 서비스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OTT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Curation Services)

  • 이용준;김원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217-225
    • /
    • 2021
  • 본 연구는 OTT 이용자 320명을 대상으로 큐레이션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콘텐츠 전략을 수립하는데 요구되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혁신성이 성과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혁신성은 성과기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성이 노력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혁신성은 노력기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과기대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과기대는 지속이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력기대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노력기대는 지속이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영향력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영향력은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촉진조건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촉진조건은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OTT 이용자들이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를 높게 인식할수록 지속이용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OTT 큐레이션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고, UTAUT 모델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itudes, Parental Expectations,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cusing on Mathematics)

  • 임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4호
    • /
    • pp.701-7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PISA 학부모 설문의 수학과 관련한 설문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학생의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때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ESCS와 자녀의 성별은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부모의 수학에 대한 학업적 직업적 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부모의 기대는 자녀의 내적 동기, 도구적 동기, 수학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구조적 관계를 발견하였다. 즉, 부모가 수학의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자녀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수학 점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진로를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투입 변수 중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 변수는 도구적 동기였으며, 그 다음은 내적 동기, 부모의 수학에 대한 기대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수학 성취에 대해 부모의 영향이 있다하더라도 학생 스스로가 가진 동기를 넘어서지 않음을 보여준다.

관리자의 기대불일치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과다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Impact of Unmet Expectations on Manager's Job Burnout: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Overcommitment)

  • 신응균;오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11-633
    • /
    • 2017
  • 본 연구는 기대보상불일치이론에 기초하여 기업 내 관리자 그룹을 대상으로 직무활동에서 경험하는 기대불일치와 직무소진, 과다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과다몰입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상대적 LMX의 조절 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민간은행에 재직 중인 172명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 분석하였고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 요인분석을 통해 변수측정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기대불일치는 직무소진과 과다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과다몰입은 기대불일치와 직무소진 간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나 상대적 LMX의 조절효과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다. 조직연구에서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관리자 그룹의 기대불일치현상이 과다몰입과 직무소진과의 인과 관계에 관한 실천적 함의와 직무설계 및 관리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변수의 선행요인 정교화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학제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