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긍정적 신체 이미지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미국 여대생의 신체 이미지가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Clothing Attitude, Fashion Innovativeness, and Shopping in American Female College Students)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69-1078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여대생의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에 신체이미지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으로 측정하였고, 의복에 관련된 변인인 의복태도, 유행혁신성, 쇼핑(점포내 쇼핑관심과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선행연구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로 의복태도와 유행혁신성은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특정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또 신체 특정부위(얼굴)에 만족하면 할수록 의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으며 유행혁신성의 정도가 높았다. 쇼핑의 경우 점포내 쇼핑관심은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의 중요성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카탈로그 쇼핑행동은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과 부적인상관계를 보였다. 즉 신체에 만족할수록, 또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할수록 점포내 쇼핑에 대한 관심은 커지는 반면 이상적인 신체이미지가 중요하면 할수록 카탈로그 쇼핑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내용 분석 (The Content Analysis about Body Image in Adolescents of the Textbook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혜진;이유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7-10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개념을 구성하는 신체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가정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가정과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을 마련하고, 형성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을 통해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하여 신체이미지 교육 내용을 신체이미지의 개념과 구성요소, 신체이미지와 자아개념 형성, 신체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관리행동 등 4가지로 범주화하였고, 이를 다시 신체이미지의 정의, 신체이미지의 구성요소, 자아존중감 형성, 자아개념 형성, 이상적 기준, 사회 문화적 요인, 합리적 신체관리행동, 신체관리 문제 행동 등 8가지로 세분화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의 범주화 및 세분화 항목을 바탕으로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 의생활, 아동 가족생활 세 영역 모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영역 및 개별 교과서에 따라 신체이미지의 부분적 개념만을 제시하거나, 한 영역에서만 제시하였기 때문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사회 문화적 영향으로 인한 개인의 신체 인지 및 행동 양상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총체적 학습을 위한 교과서의 통합적 내용 구성과 함께 교과서 내용의 균형이 필요할 것이다.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와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Relationship of Rhythmic Exercise Participati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among Women)

  • 송강영;구경자;김경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16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와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09년 서울 경기도 지역 2009년 서울 경기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스포츠센터, 일반동호회, 지역동호회, 댄스학원, 일반인을 대상으로 리듬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20~50대 성인여성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300명을 추출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운동 참가여성은 비참가여성에 비해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리듬운동 참가기간은 체형, 만족, 유연성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참가강도는 체형과 근력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리듬운동참가기간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참가빈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정도는 신체이미지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 PDF

일부지역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및 신체이미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Body Imag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 some Regions)

  • 김한홍;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337-347
    • /
    • 2013
  • 본 연구는 치위생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신체이미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4월 1일부터 5월 7일까지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평균은 $2.79{\pm}0.42$점, 신체이미지 평균은 $2.85{\pm}0.53$점, 대인관계능력 평균은 $3.23{\pm}0.48$점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은 외모만족도와 그 하위영역인 신체강도 및 신체이미지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년(p<0.001), 학제(p=0.005), 임상실습경험(p=0.006), 외모만족도(p=0.003), 신체이미지(p=0.002)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5.6%였다. 위의 결과에서와 같이 외모만족도와 신체이미지는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바람직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자신의 외모와 신체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이고 올바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신체활동 참여 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dy Imag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 서수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87-193
    • /
    • 2022
  • 본 연구는 신체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집략 무선표집법을 사용하여 6개월 이상 신체활동에 참여한 남학생 109명, 여학생 189명, 총 298명을 표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남학생은 외모, 체력, 건강요인과 외모향상형, 여학생은 외모관리형과 대인관계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예체능 계열이 외모, 체력에서 용돈이 많은 대학생이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이미지는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신체이미지는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행동은 앞으로 행복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생활양식에 미치는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Body Image,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 하혜진;김은아;김하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61-369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이미지,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생활양식의 관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와 J시에 소재한 3개 대학교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분석, pearson' correlation,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이미지, 자기효능감 순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증진생활양식의 수행을 높이기 위해 신체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자기효능감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체계적 교육전략과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 of make-up according to Women's body image & self-image)

  • 서란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475-489
    • /
    • 2014
  • 외모도 능력의 일부라는 사회적 인식이 자리 잡게 되어 사회적 이미지를 유지해 가는 수단이 되어감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의 외모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에 여성들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를 알아보고자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50세 미만 여성 218명을 대상으로 2012년 4월 10일 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관심도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체중관심도의 경우 세련된 이미지와 순수한 이미지에 따라 화장태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활동 이미지에서는 체중관심도에 따라 화장태도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외모관심도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세련된 이미지가 높은 집단, 순수한 이미지가 높은 집단, 활동이미지가 높은 집단이 화장태도에 더 적극적이었다. 즉,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아이미지가 높을수록 화장태도에 대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신체매력도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신체매력도가 높을수록, 세련된 이미지가 높은 집단이, 활동 이미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화장태도가 긍정적이었다.

중장년층이 인식하는 노인 이미지와 노후생활 준비도 (The Images of the Elderly Perceived by Mid and Older-aged Adults and Their Preparation for Later Life)

  • 여연정;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257-262
    • /
    • 2020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35세부터 64세까지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중장년층이 인식하는 노인 이미지와 노후생활 준비도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층이 인식하는 노인 이미지 중 심리적 이미지가 가장 긍정적이었고 다음으로 신체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정규직이거나 부모 모두 생존할 경우, 노인 이미지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기혼일 경우 노인의 심리적 이미지가 좋았으며 노인의 기준 나이를 높게 책정할수록 노인의 심리적, 사회적 이미지가 좋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중장년층의 노후생활 준비도는 정서적 준비, 신체적 준비 순으로 높았다. 반면 준비가 부족한 것은 경제적 준비, 여가·사회적 준비로 나타났다. 여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계수입이 높을수록, 전문직일수록, 정규직일수록, 노인의 나이 기준을 높이 책정할수록 노후생활 준비도가 높았다. 셋째, 중장년층의 노인 이미지와 노후생활 준비도는 하위요인 간에 서로 영향을 주며,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노후생활 준비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바람직한 노인 이미지의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개인과 사회적 지원의 방안을 모색하고 성공적인 노후생활 준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시사한다.

생활무용 참가가 여성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of Leisure Dance Participati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among Women)

  • 곽한병;구경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407-416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무용 참가가 여성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9년 서울 경기도지역에 있는 스포츠센터, 일반동호회, 지역동호회, 댄스학원, 일반인을 대상으로 생활무용에 참여하고 있는 20~50대 성인여성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300명을 추출 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분석결과 Cronbach's $\alpha$ 값이 .70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요인분석, 공변량분석,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무용 참가여성은 비참가여성에 비해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생활무용 참가기간은 체형, 만족, 유연성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참가강도는 체형과 근력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생활무용참가기간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참가빈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의 생활무용 참가정도는 신체 이미지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즉 생활무용 활동 정도는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체이미지 변수를 통하여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에서 보듯이 신체이미지는 생활무용 참가와 자아존중감을 연결해주는 중요한 매개변수 역할을 한다.

정동 이론으로 본 농악의 공감각적 현존과 신체 운동 (The Synesthetic Presence and Physical Movement of Nong-ak as Seen Through Affect Theory)

  • 권은영
    • 공연문화연구
    • /
    • 제40호
    • /
    • pp.5-35
    • /
    • 2020
  • 정동(affect)은 신체가 외부 세계를 감각함으로써 생성되는 강렬함(intensity)과 특질(quality)이다. 이렇게 체험된 정동 중에서 의미와 해석이 부여된 관념이 감정(emotion)이다. 정동 이론(affect theory)은 감정과 정동을 분별하고 정동에 주목함으로써 신체의 반응과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신체를 매체로 하는 공연예술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농악은 '재현'(representation)보다는 정동의 발생 자체에 주력하는 예술이다. 농악은 소리, 색깔, 질감, 신체 운동 등이 중첩되어 공감각적으로 현존하는 공연이다. 여기에는 인간의 신체를 중심으로 악기, 소품, 의상, 무대장치 등 물질적인 것들과 리듬, 기분, 분위기 등 비물질적인 것들이 동원된다. 신체는 이런 것들에 자극되어 공연에 적절하도록 경향성을 띄며, 공연에 몰입할수록 '이미지 없는 신체'(the body without an image)가 되어 '의사-신체성'(quasi-corporeality)을 보이며 행동한다. 마치 의식이 없는 것처럼 자동으로 움직이는 이런 신체는 집단 속에서 더 쉽게 나타난다. 일상의 개인을 집단 속의 '이미지 없는 신체'로 이행(transition)시키기 위해서 농악에서는 '진풀이'라는 집단적인 신체 운동을 수행한다. 이런 신체 운동은 비언어적인 교감과 소통을 높여 정동을 증강시키고, 상호 신뢰와 귀속감 속에서 개개인들의 창조력을 발휘하게 한다. 농악이 일으키는 정동과 감정은 자신과 집단의 존재, 활력, 능력을 확인하고 긍정하는 것으로 작용한다. 이런 긍정성은 집단의 차원에서 농악을 의미 있고 중요한 가치로 기억하게 하였고, 보존하고 전승해야 하는 공연양식으로 인식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