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래프 해석 능력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Grade 4, 5, and 6 Students' Making Sense of Graphs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조사)

  • Lee, Jami;Ko, Eun-Sung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3 no.1
    • /
    • pp.169-192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well grade 4, 5, and 6 students understand graphs before formal education is done on graphs. For this, we analyzed students' understanding of graphs by classifying them into 'reading data', 'finding relationships between data', 'interpreting data', and 'understanding situa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have good understanding of graphs that did not have formal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iming of the introduction of the graph. In addition, when we look at the percentage of correctness of each graph, it i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line graph is weaker than the other graphs. The common error in most graphs was that students relied on their own subjective thoughts and experiences rather than based on the data presented.

  • PDF

The Study of the Graph Activity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Using CBR (CBR을 활용한 초등 영재 학생의 그래프 활동에 관한 연구)

  • Kang, Young Ran;Cho, Cheong Soo
    • School Mathematics
    • /
    • v.17 no.1
    • /
    • pp.65-78
    • /
    • 2015
  • This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CBR on the graphic ability through the observation on the 4 math-gifted 5th grade students. The study had designed the graph activity class using CBR based on the theories of graph and progressed it twice for 40 minutes, respectably. The recorded videos of the classes and the interviews of students were collected for analyzing the data, and 2 weeks later, post inspection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was held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rrors that the students had mad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grap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flow change of the graph,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contextualize the dependent variables.

위상그래프와 회로망해석이론 I

  • 장세훈
    • 전기의세계
    • /
    • v.28 no.3
    • /
    • pp.27-34
    • /
    • 1979
  • 회로망을 해석하는데는 i) 지로해석법, ii) 루우프해석법, iii) 메슈해석법, iv) 마디해석법, v) 컷세트해석법및 vi) 상태공간해석법 등이 사용됨은 이미 알고 있다. 다루는 회로가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선형, 시불변 회로망이고 또한 종이와 연필로 회로망해석을 수행하여야 될때에는 익혀온 이들 해석법을 관례대로 따르면 될 것이나, 다룰려는 회로망이 대형인 복잡한 구조의 것이든지 혹은 비선형소자, 시변소자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독립회로방정식들을 체계있게 세워 나가는데에도 어려움이 있거니와, 설혹 회로방정식군을 세웠다 하드라도 이들을 풀어 나가는데에도 이젠 우리가 할 수 있는 능력한계를 느끼게 된다. 전자계산기가 스스로 독립성을 지닌 필요한 개수의 회로망방정식들을 작성하고, 또한 풀이도 요구되는 특성을 갖는 회로망을 설계하여주면, 많은 수고와 번거로움이 덜어진다. 이러한 뜻에서 전산기의 활용에 의한 회로망의 해석, 설계 (computer oriented network analysis and synthesis)이론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이러한 전산기의 사용에 의한 회로망의 해석, 설계이론의 기초가 되는 부분을 가려서 위상 그래프이론에 따른 회로망 해석방법을 해설한다.

  • PDF

통계적 교수 ${\cdot}$ 학습 과정을 통한 그래프 이해력 증진에 관한 탐구

  • Park, Gyeong-Yeon;Choe, Chang-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107-126
    • /
    • 2001
  • 우리는 흔히 21C를 정보화 시대라고 하며 우리에게 주어지는 정보들 또한 일기예보와 같은 일상적인 분야에서 여론 조사와 같은 전문적인 분야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하다. 이런 정보들은 통계영역과 아주 밀접하며 이런 정보들을 통계적으로 바르게 해석하고 추론하여 일반화하는 등 일련의 과정들을 요구한다. 이런 상황아래 본 연구에서는 6차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여러 통계학 영역 중 그래프 형태로 가장 먼저 도입되는 막대그래프에 중점을 두어 현행 교과서에서 학습 내용과 학습 과정의 문제점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아울러 그래프 이해력에 필요한 요소나 인지적 사고 능력, 그래프 이해력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여러 문헌을 통해 본 연구자가 나름대로 구안한 통계적 기법을 사용한 교수 ${\cdot}$ 학습 과정을 실험반에 적용한 후 그래프 이해력 사전 ${\cdot}$ 사후 검사를 비교함으로써 통계적 기법을 사용한 교수 ${\cdot}$ 학습 과정이 그래프 이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PDF

Science Gifted Students'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Concept about T-S Diagram (과학영재학생의 수온-염분도에 대한 해석과 개념 이해)

  • Yu, Eun-Jeong;Jeong, Deuk Si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0 no.6
    • /
    • pp.639-65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cience gifted students' level of interpreting the oceanic graph and of understanding the oceanic physical concept through analyzing the Temperature-Salinity (T-S) diagram and inferring the SOFAR (SOund Fixing And Ranging) channel. A total of 106 gifted students in the 3rd year of a science gifted high school, using T-S diagrams published in one of the journals of Oceanology, developed descriptive questions asking the depth of the SOFAR channel to conduc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As a resul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level of graphs interpretation and concepts understanding for each science gifted students such as interpreting, modeling, and converting, and exposed their alternative concepts about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en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understand the levels of science gifted students' graph interpretation in oceanology,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oceanology and als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related to graph analysis.

Analysis of Graph Types and Characteristics Used in Earth Science Textbooks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그래프의 유형 및 특징 분석)

  • Lee, Jin-Bong;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7 no.4
    • /
    • pp.285-296
    • /
    • 2007
  • Graph is a major aspect of science textbook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graph types and characteristics used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subject by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line graph and contour map was the most widely used graph types in earth science. Among line graphs, multiple line graph and YX graph was dominant. Comparing earth science graphs with other science graphs, earth science graphs exhibited superior in the number and variety. In earth science graphs, the portion of line graph was small, but the portion of contour map and scatter graph was larger than that of other science graphs. YX graph was the most specific graph type in earth science textbooks. The results of our study have implications for reform in function and structure of graph. We suggest that future studies be focused on students' ability of earth science graph interpretation.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Based on Measurement and Scales for the Selection and Interpreation of Data and Graphical presentations (중학생들의 자료와 그래프의 선택과 해석에서 측정과 척도에 근거한 비판적 사고 연구)

  • Yun, Hyung-Ju;Ko, Eun-Sung;Yoo, Yun-Joo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2 no.2
    • /
    • pp.137-162
    • /
    • 2012
  • Learn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for statistical data requires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related to measurement in statistical investigation since the choice of representation and the features of the selected graph to represent the data are determined by the purpose and context of data collection and the types of the data collected.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middle school students can think critically about measurement and scales integrating contextual knowledge and statistical knowledge.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students lacked critical thinking related to measurement process of data and scales of graphical representations. In particular, the students had a tendency not to question upon information provided from data and graphs. They also lacked competence to critique data and graphs and to make a flexible judgement in light of context including statistical purpose.

  • PDF

The Translation Ability of Functional Express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Mathematics (수학 성취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함수적 표현의 번역 능력)

  • Chun, You Young;Lim, Daekeun;Ryu, Hyunah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6 no.1
    • /
    • pp.141-155
    • /
    • 2013
  • Process to translate into other forms in the form of expression for function is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thinking. Also it should be emphasized on the teaching of the function.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translation ability of functional expressions and errors in the process to transl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function. To do this, we lead high school students perform the task to examine the translation ability. Then we compute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each question and analyze the types of errors and their causes.

  • PDF

인터넷 실시간 자료를 이용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홈페이지 구축

  • Gu, Ja-Ok;An, Hui-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199-206
    • /
    • 2005
  • 지구과학은 실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되거나 학생들이 친숙하게 생각하는 많은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런 특성은 과학캠프나 자연탐사 활동에서 지구과학과 관련한 탐구주제가 학생들의 큰 호응을 얻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정규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지구과학 실험 수업은 교과서에 제시된 자료해석 위주의 실험이 많아 학생들의 흥미를 반감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자료 측정과정에서 과학자가 느낄 수 있는 중요하고 귀중한 경험을 놓칠수 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는 해양과 대기, 천문, 지질 각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실시간 관측 자료를 제공해 주는 곳이 많으며 이 실시간 자료들을 고등학교의 지구과학 실험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기존의 자료해석 실험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호응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탐구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학습 프로그램의 특징은 탐구 중심 혹은 문제 해결 학습을 강조하는 현재의 교육 목표를 잘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지구과학 관련 실시간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구축한 후 실제로 수업에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실시간 자료를 이용하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을 12개의 주제에 대해서 완성했다. 먼저 지구과학실험 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2차시 분량의 학습 프로그램 6주제를 개발했는데 개발 주제는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진앙으로 판의 경계를 결정하기', '진앙의 위치를 찾아라', '암영대를 찾아라', '태양의 자전 주기를 측정하기', '태양활동' 이다. 각 주제별로 수업소개, 학습목표, 과정, 학습자료(학생 활동지, 기타 자료, 수업 내용과 관련한 실시간 자료 제공 사이트 목록), 평가 자료를 만들었다. 학생들의 활동 내용은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의 주제를 예로 들면 학생들이 실시간으로 전 세계의 지진활동을 모니터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최근에 지진이 어디에서 일어났는지 알아보고 지난 30일 동안에 일어났던 규모 4 이상의 지진 자료를 다운 받아 세계 지도에 점으로 표시한다. 이 때 학생들은 손으로 진앙의 위치를 지도에 그리는 대신 엑셀의 그래프 기능을 이용하여 지도에 진앙의 위치를 나타내게 한다. 또 개인 과제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5가지 개발하여 학생들이 특정한 주제에 대하여 탐구 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했는데 개발된 주제는 '태양 활동으로 오로라 예측하기', '국제 우주 정거장을 찾아내자', '한반도 부근의 해양 기상과 해수의 물리적 상호 관계', '일기도 분석을 통한 태풍의 진로 예측', '우리 나라 조석 예측' 이다. 마지막으로 사이버 학습을 통해서 수업 시간의 제약 없이 과제 형태로 처치 가능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했는데 그 주제는 '태풍이 저위도에서 북상하는 이유?'이다. 개발된 프로그램 중 2차시 학습 프로그램은 과학고 중학생 영재반에게, 개인 탐구 과제는 과학고 1학년 학생들에게, 사이버 수업 형태는 과학고 2학년 학생에게 적용시켰다. 실시간 자료 활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시간 자료들을 이용한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탐구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컴퓨터 활용 능력과 외국어 자료 활용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도 도움을 주었다.

  • PDF

The Circuit Design and Analysis of the Digital Delay-Lock Loop in GPS Receiver System (GPS 수신 시스템에서 디지탈 지연동기 루프 회로 설계 및 분석)

  • 금홍식;정은택;이상곤;권태환;유흥균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9 no.8
    • /
    • pp.1464-1474
    • /
    • 1994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is a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that we can survey where we are, anywhere and anytime. In this paper, delay-lock loop of the receiver which detects the navigation data is theoretically analyzed, and designed using the digital logic circuit. Also logic operations for the synchronization are analyzed. The designed system consists of the correlator which correlates the received C/A code and the generated C/A code in the receiver, the C/A code generator which generates C/A code of selected satellite, and the direct digital clock syntheizer which generates the clock of the C/A code generator to control the C/A code phase and clock rate. From the analyses results of the proposed digital delay-lock loop system, the system has the detection propertied over 90% when its input signal power is above-113.98dB. The influence of input signal variation of digital delay loop, which is the input of A/D converter, is investigated and the performance is analyzed with the variation of threshold level via the computer simulation. The logic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designed system detects precisely the GPS navigation data.

  • PDF